삼겹살 2만원 시대에 ‘고기판’ 불티…김치회사까지 온라인 정육점 여는 이유 [푸드360]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김치브랜드 종가를 운영하는 대상그룹이 스테이크 전문몰 운영에 나선다.
실제 지난해 '육백점'에 이어 대기업들이 온라인 정육장 시장 참여에 속도를 내고 있다.
온라인 정육점 시장은 아직은 축산물 시장 점유율이 10%가 넘지 않는 '틈새 시장(niche)'이다.
온라인 정육점을 이용하는 30대 직장인 이모 씨는 "맛에 민감한 지인의 추천으로 이용해 봤는데 신선도와 맛에서 품질이 좋았다"며 "특히 아이 이유식용으로 마트 대신 꾸준히 구매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헤럴드경제=김희량 기자] 김치브랜드 종가를 운영하는 대상그룹이 스테이크 전문몰 운영에 나선다. 실제 지난해 ‘육백점’에 이어 대기업들이 온라인 정육장 시장 참여에 속도를 내고 있다. 사업 다각화의 일환에서다. 고물가에 외식 대신 ‘집에서 고기 먹는’ 문화’가 활발해진 상황에서 온라인 정육점 시장의 볼륨이 커질지 관심이 주목된다.
9일 업계에 따르면 대상은 지주사 대상홀딩스의 자회사인 혜성프로비전을 통해 냉장 스테이크 전문 브랜드 ‘미트프로젝트’의 공식 쇼핑몰을 론칭했다. 대상홀딩스는 자회사인 대상네트웍스를 통해 2021년 정육 O2O(온·오프라인 연계)플랫폼인 ‘고기나우’를 출시함에 이어 혜성프로비전을 인수하며 육류 가공 사업을 확대해 왔다.
온라인 정육점 시장은 아직은 축산물 시장 점유율이 10%가 넘지 않는 ‘틈새 시장(niche)’이다. 축산물품질평가원 축산물소비정보분석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국내산 돼지고기 구매처의 9.2%(PC 1.2%·모바일 7.6%)가 온라인 시장이었다. 신선식품 특성상 아직은 바로 눈으로 볼 수 있는 ▷슈퍼마켓(37.3%) ▷대형마트(20.4%) ▷정육점(17.3%)의 비율이 75%에 달한다. 이에 업체들은 특정한 관심사를 가진 고객층을 공략하는 ‘버티컬플랫폼’으로 소비자에게 다가가고 있다.
그럼에도 기업들이 온라인 정육점 사업에 뛰어드는 이유는 성장 가능성 때문이다. 통계청 온라인쇼핑 동향에 따르면 올해 4월 식품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3조161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9% 증가했다. 이 중 농축수산물 거래액도 783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6% 성장했다. 4일 내 도축 신선육 제공을 내세운 ‘정육각’은 2016년 론칭 이후 2021년 401억원, 2022년 415억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수요에 대응하고 있다.
여기에 외식 삼겹살 가격이 오르면서 집에서 고기를 먹는 수요가 커졌다. 외식 삼겹살 가격은 올해 4월 기준 1인분 1만9236원까지 치솟으며 2만원 돌파가 시간 문제인 상황이다. 집에서 고기를 직접 구워 먹는 일은 이른바 ‘홈고기’ 문화는 홈술·혼술 같은 또 다른 문화로 주목 받고 있다. 11번가에 따르면 올해 1~5월 누적 기준 ‘고기판’ 거래액이 전년 대비 57% 늘었다. 고품질의 고기를 찾는 영향도 있다. 온라인 정육점을 이용하는 30대 직장인 이모 씨는 “맛에 민감한 지인의 추천으로 이용해 봤는데 신선도와 맛에서 품질이 좋았다”며 “특히 아이 이유식용으로 마트 대신 꾸준히 구매하고 있다”고 말했다.
온라인에서 축산물을 파는 경로와 함께 판매자도 많아지면서 시장도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품질을 차치하더라도 일단 배송이 간편한 덕에 관련 분야에서 소비자의 선택지는 계속 늘어나고 있는 모양새다. 올해 3월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우유 배달망을 통한 육류 배송을 허가하면서 축산관련법 규제가 사실상 완화된 상태다. 이에 유통기업 hy는 프레시매니저를 활용한 삼겹살·한우·생닭 배송 확대를 준비 중이다.
향후 온라인 정육점 승부의 관건은 가격 또는 품질을 기반으로 한 차별성이 될 것으로 보인다. ‘온라인 정육점’을 내세우지 않았지만 이미 오아시스, 11번가 신선밥상 등 이커머스에서는 빠른 배송을 기반으로 한 축산물 판매가 이뤄지고 있는 상황이다. 대신 온라인 정육점들은 D2C(direct to customer, 소비자와 기업 간 직거래)를 강조한다. 현재 가공→도매→소매에 이르는 유통 단계를 줄이는 것으로 신선도와 가격 경쟁력을 내세우고 있다.
실제 업체마다 차별화를 위한 대목이 조금씩 다르다. 미트프로젝트는 스테이크 전문점이라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토마호크, 티본, 엘본 등 외식 메뉴로 인기가 높은 부위를 제공한다는 것도 특징이다. 육백점의 경우 2021년 신설한 동원홈푸드 축육부문이 보유한 자체 육가공장과 기존 유통망을 활용해 가격이 합리적이란 점을 내세우고 있다. 정육각은 구매 데이터 기반으로 수요 예측을 하는 자동 발주 시스템을 통해 도축 4일 이내 초신선 돼지고기만을 제공한다는 점이 다른 업체들과 다르다.
hope@heraldcorp.com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우주소녀 성소, 36살 연상 양조위 아이를?…"터무니없는 소리"
- ‘하트4’ 김지영 선택, 신민규일까 한겨레일까…명확하게 푸는 방법[서병기 연예톡톡]
- 굴 따러간 김혜수, ‘이 시계’ 건지러 풍덩! 1등 밀수품 롤렉스의 비밀 [김유진의 브랜드피디아]
- “‘수십억’ 퇴직금 주고 내보내면 뭐하나”…갈수록 늙어가는 은행원들[머니뭐니]
- “애들도 있는데 무슨 짓” 서프보드 커플 ‘꿈틀’, 도넘는 애정행각 눈살
- “엄마가 사라졌다, 속이 시원했다”던 그녀도 실종…1년뒤 ‘뜻밖’의 발견[이원율의 후암동
- “배꼽까지 가짜 스티커로?” 中여성들 화제, ‘올해 최고 발명품’ 찬사까지
- “스카우트 ! 왓츠 유어 ETA”…뉴진스 등장에 떼창 터졌다 [2023 잼버리 폐영식]
- “그 돈 언제 다 써요?” 연봉 말고, 월급만 5억원 꼴…낯익은 ‘얼굴’ 누군가 했더니
- 손흥민 곁 떠난 케인, 바이에른 뮌헨 입단…이제 김민재와 호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