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7회 BIFAN, 이원석·김선영·가진동 등 심사위원 위촉

윤기백 2023. 6. 9. 10:4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 리치 클린, 키에르-라 재니스, 김선영, 코나카 카즈야, 이원석(사진=BIFAN)
[이데일리 스타in 윤기백 기자] 제27회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BIFAN)가 9일 올해의 심사위원 위촉 명단을 공개했다. 국내외 감독·배우·프로듀서·작가·프로그래머·비평가 등 영화산업 각 분야 전문가 16인으로 구성됐다.

BIFAN은 부분 경쟁을 도입한 비경쟁 국제영화제다. 16인은 ‘부천 초이스: 장편’, ‘부천 초이스: 단편’, ‘코리안 판타스틱: 장편’, ‘코리안 판타스틱: 단편’, ‘멜리에스국제영화제 연맹(MIFF) 아시아 영화상’, ‘넷팩상’(NETPAC) 등을 나누어 심사한다.

‘부천 초이스: 장편’은 국제경쟁 섹션이자 BIFAN의 색깔을 드러내는 핵심 프로그램이다. 심사는 리치 클린, 키에르-라 재니스, 김선영, 코나카 카즈야, 이원석 감독(이하 영문 성 알파벳순) 5인이 맡는다. 작품상, 감독상, 심사위원 특별상, 장편 관객상을 선정한다.

리치 클린은 영국비평가협회 회장이자 비평가로 다양한 매체에 영화리뷰를 기고했다. 베니스·베를린·런던·토리노 등 해외 유수 영화제 심사위원으로도 활동했다. 키에르-라 재니스는영화 작가이자 프로그래머 겸 프로듀서다. 올해 BIFAN ‘포크 호러 특별전’에서 상영되는 다큐멘터리 ‘포크 호러의 황홀한 역사’의 연출과 제작을 맡았다. 코나카 카즈야는 ‘울트라맨’시리즈의 연출로 잘 알려진 감독 겸 제작자다. 아마추어 시절의 자전적인 이야기를 그린 ‘싱글 에이트’를 올해 BIFAN에서 선보인다.

국내에서는 김선영 배우와 이원석 감독이 참여한다. 김선영은 영화 ‘허스토리’, ‘말모이’ 등으로 주목받았다. 특유의 섬세한 현실 연기를 통해 최고의 신스틸러로 자리매김했다. 이원석 감독은 호평을 받은 장편 데뷔작 ‘남자사용설명서’에 이어 ‘상의원’까지 우디네극동영화제 관객상을 수상하며 특유의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올해 개봉한 ‘킬링 로맨스’에서도 자신만의 매력적인 색깔을 뚜렷하게 보여준 바 있다.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 조영각, 리나 다마얀티, 박대민, 가진동, 이진희, 알렉산더 잘텐(사진=BIFAN)
‘코리안 판타스틱: 장편’ 심사는 조영각, 리나 다마얀티, 박대민 3인이 맡는다. 조영각은 서울독립영화제 집행위원장·인디포럼 프로그래머 등을 역임했다. 독립영화계에서 활동, ‘사이비’, ‘돼지의 왕’ 등에 프로듀서로 참여했다. 리나 다마얀티는 자카르타 필름위크 집행위원장으로, 장·단편 영화·다큐멘터리·광고 영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프로그래머로 활동하고 있다. 박대민은 ‘공중곡예사’를 통해 작가로 데뷔했고, 2009년 동 시나리오를 영화화한 ‘그림자 살인’을 연출했다. 이후 ‘특송’, ‘봉이 김선달’ 등 꾸준하게 장르 영화를만들고 있다.

‘부천 초이스: 단편’과 ‘코리안 판타스틱: 단편’은 는 가진동, 이진희, 알렉산더 잘텐이 심사위원을 맡는다. 가진동은 ‘그 시절, 우리가 좋아했던 소녀’로 금마장영화제 신인배우상을 수상하고, 이후 ‘만달레이로 가는 길’, ‘머니보이스’ 등 작품에서 다재다능한 배우로 이름을알렸다. 올해 ‘부천 초이스: 장편’에서 상영하는 ‘흑교육’을 연출, 장편영화 감독으로 데뷔했다. 이진희는 2018년 제작사 씨앗필름을 설립해 영화 ‘킹메이커’, ‘길복순’을 제작했고 시리즈 ‘사냥개들’을 공동 제작했다. 이 외에도 ‘불한당: 나쁜 놈들의 세상’ 등 다수의 작품에 참여했다.

아시아 장르영화의 발굴을 위한 ‘멜리에스국제영화제연맹(MIFF) 아시아 영화상’은 MIFF 관계자 2인이 심사위원을 맡는다. 호세미 벨트란은 스페인 산세바스티안 시의회 영화 부서 책임자로, 다양한 영화 행사를 조직하며 영화 큐레이터로도 활약하고 있다. 패트릭 반 하우워트는 벨기에 브뤼해의 레이저 릴 플랜더스 영화제 창립자이자, 브뤼해 로열 극장의 프로그래머로 활동 중이다.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 호세미 벨트란, 패트릭 반 하우워트, 굴나라 아비키예바, 김영우, 이안(사진=BIFAN)
아시아영화진흥기구 넷팩(NETPAC)이 수여하는 ‘넷팩상’은 넷팩 멤버와 문화·산업계 전문가로 구성한 3인의 심사위원이 심사를 맡는다. 굴나라 아비키예바는 카자흐스탄의 영화 평론가 겸 연구자이다. 김영우 프로그래머는 부산국제영화제·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서울독립화제 등 다양한 국내의 영화제와 영상기관에서 프로그래머와 큐레이터를 맡았고 최근에는 사우디아라비아 레드씨국제영화제 프로그래머로 활동했다. 이안 위원장은 서울국제실험영화제·서울국제여성영화제 등 다수의 영화제 프로그래머와 운영위원을 역임했다. 현재는 싸이파이안 페스타 위원장으로 새로운 독립 SF 영화제를 준비하고 있다.

제27회 BIFAN은 오는 29일부터 7월 9일까지 부천시 일대에서 개최한다. 상영작은 부천시청(잔디광장·어울마당·판타스틱큐브)·한국만화박물관·CGV소풍·메가박스 부천스타필드시티와 온라인 상영관 웨이브(wavve)에서 만날 수 있다. XR 전시 ‘비욘드 리얼리티’는 부천아트벙커B39에서 열린다.

윤기백 (giback@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