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카오후카 댐 붕괴, 미국·우크라이나 자작극”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우크라이나 남부 헤르손주의 노바 카오후카 댐이 파괴된 데 대해 북한이 미국과 우크라이나의 자작극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북한 관영매체 조선중앙통신은 오늘(9일) 국제문제연구원 연구사 오성진 명의의 글을 통해 "카오후카 댐 붕괴는 제2의 '북부 흐름(노르트스트림)' 사건에 불과하다"고 주장했습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우크라이나 남부 헤르손주의 노바 카오후카 댐이 파괴된 데 대해 북한이 미국과 우크라이나의 자작극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북한 관영매체 조선중앙통신은 오늘(9일) 국제문제연구원 연구사 오성진 명의의 글을 통해 “카오후카 댐 붕괴는 제2의 ‘북부 흐름(노르트스트림)’ 사건에 불과하다”고 주장했습니다.
북부 흐름이란 러시아에서 유럽을 잇는 해저 가스관인 발트해의 노르트스트림을 의미하는 단어로, 지난해 9월 노르트스트림에서 폭발이 일어나며 가스관 3개가 파손돼 대규모 가스가 누출된 바 있습니다.
그 배후를 놓고 러시아를 비롯해 미국, 친우크라이나 세력 등이 연관돼 있다는 보도가 잇따랐지만 아직까지 정확한 사실관계가 드러나진 않았습니다.
매체는 이어 “카호우카 댐의 수문 중 절반 이상이 심히 파괴되고 저수지의 물이 방류된 결과 드니프로 강 수위가 10m 이상 상승하고 2만여 명의 수재민이 발생했다”며 “전 세계가 인적, 물적 피해를 걱정하고 있을 때 우크라이나와 미국 등 서방 세계는 모든 책임을 러시아에 넘겨 씌우기 위해 놀아대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번 폭발로 러시아의 크림 공화국에 대한 식수 공급이 마비되고, 새로 통합된 지역의 주민들이 막대한 피해를 보았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오히려 젤렌스키 당국이 미국의 묵인하에 이번과 같은 특대형 범죄를 자행할 동기는 충분하다”고 덧붙였습니다.
현지 시각 지난 6일 러시아가 점령 중인 헤르손주의 카오후카 댐이 파괴되면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서로를 폭파의 배후로 지목하고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카카오 '마이뷰',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양민철 기자 (manofsteel@kbs.co.kr)
저작권자ⓒ KBS(news.kbs.co.kr)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 김은중호, U-20 월드컵 준결승에서 이탈리아에 2대 1로 석패
- [오늘 이슈] 손이 더 바쁜 이탈리아…‘밟고, 때리고’ 파울만 26개
- “AI가 불러올 인류 최악의 악몽은?”…과학자들에게 물었다
- [잇슈 키워드] 조계종 소속 승려, ‘출가 뒤 둘째 아이’ 의혹…“사실 무근”
- 뉴욕 ‘최악의 대기질’ 불러온 이것, 우리나라에도?
- ‘제네시스’ 조상은 ‘포니’?…‘포니의 시간’서 확인
- “완전 범죄 꿈꿨는데”…2천만 열광한 ‘범인’의 정체 [잇슈 키워드]
- “잘못 걸렸어”…해병대 출신 70대 한인 반격에 강도 줄행랑 [잇슈 SNS]
- [잇슈 키워드] “왕복 6시간을 왔다갔다 하라는 거냐”…농막 규제에 ‘폭발’
- 서로 포격 주장, 구조작업도 난항…자포리자에선 격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