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 자살 학생 70% 이상이 검사에서 '정상'으로 나왔던 이유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달 경기도교육청은 도내 초중고교 2천여 곳에 '학생 자살 징후 체크리스트를 적극 활용해달라'는 제목의 긴급 공문을 보냈습니다.
내용인즉슨 최근 조사에서 자살 학생 70% 이상이 정서행동특성 검사에서 '정상군'으로 나타났으니 교직원들에게 학생들을 별도로 세심하게 관찰해달라는 내용이었습니다.
그랬더니 50여 명의 자살 학생 가운데 70% 이상이 생전에 치른 정서행동특성 검사에서 고위험군이 아닌 '정상군'으로 나왔던 겁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달 경기도교육청은 도내 초중고교 2천여 곳에 '학생 자살 징후 체크리스트를 적극 활용해달라'는 제목의 긴급 공문을 보냈습니다. 내용인즉슨 최근 조사에서 자살 학생 70% 이상이 정서행동특성 검사에서 '정상군'으로 나타났으니 교직원들에게 학생들을 별도로 세심하게 관찰해달라는 내용이었습니다.
무슨 상황인데?
경기도교육청은 자살 예방 대책을 세우기 위한 첫 번째 단계로 지난해 자살한 학생들을 조사해 봤습니다. 그랬더니 50여 명의 자살 학생 가운데 70% 이상이 생전에 치른 정서행동특성 검사에서 고위험군이 아닌 '정상군'으로 나왔던 겁니다. 참고로 정서행동특성 검사는 자살 고위험군을 가려내 예방 조치를 하기 위해 교육부가 매년 전국적으로 실시하는 검사입니다.
좀 더 설명하면
한 걸음 더
학생 스스로 검사 문항에 답을 하고 그 결과는 부모에게 통보되는 방식으로는 학생들의 속내를 100%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습니다. 자살 원인이 가정 불화나 부모와 관련돼 있다면 검사에서 거짓응답을 할 수 있고, 어차피 말해도 도움이 안 된다는 절망감이 클수록 속내를 숨길 가능성이 큽니다.
'죽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구체적으로 자살 계획을 세운 적이 있다.'
검사 문항이 지나치게 단조롭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실제로 위 두 문항에 대한 답을 통해서 '자살 고위험군' 여부를 판단하고 있는데, 직설적인 질문에 익숙하지 않은 학생들이 그렇다, 아니다로 답변하는데 거부감이 들 수 있다는 겁니다. 미디어 의존도가 높고 사이버 폭력이 급증하고 있는 청소년 현실을 검사 문항이나 방식이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단 의견도 있었습니다.
(남은 이야기는 스프에서)
임태우 기자 eight@sbs.co.kr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내 돈 따고 어딜?" 후배 몸에 불 지른 60대, 생명보험 수백 탔다
- 모르는 여성에 '날아차기' 후 "낄낄" 웃던 중학생들, 선처받았다
- [U-20] 경기장에 쓰러진 이영준…팔꿈치로 얼굴 가격한 이탈리아
- [U-20] "이게 어떻게 파울이 아니죠?" 경기 종료 직전 황당 상황
- [U-20] "모든 걸 쏟아부어준 선수들에 고마워" "후회 없는 경기"…김은중 감독 인터뷰
- 암행단속반 먹던 반찬도 '재활용'…"이거 뭡니까?"
- 일상에 파고든 마약, '하수'로 역추적해 보니
- [U-20] "와 이걸 막네요"…코너킥 혼전 상황 김준홍 슈퍼 세이브
- [단독] "영수 형님과 소주"…'선정 축하 술자리' 정황
- 출근길 수내역 에스컬레이터 역주행…14명 중경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