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생 없어 운영난” 전국 어린이집 5곳 중 1곳 폐업 [심층기획-출산 장려 팔걷은 기업·지자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집 근처에 있는 어린이집이 올해 초 문을 닫는 바람에 여간 불편한 게 아닙니다."
전북 전주에 사는 워킹맘 김모(35)씨는 8일 "걸어서 5분도 안 되는 곳에 20년 이상 자리한 어린이집이 원생 부족으로 문을 닫아 아침마다 차로 20∼30분 떨어진 곳까지 데려가느라 너무 힘들다"며 "친구도 아이를 새로 보낼 만한 어린이집을 찾느라 애를 먹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전주시의 경우 아파트 어린이집은 같은 기간 20곳 넘게 문을 닫아 93개소로 줄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영아 대상 가정어린이집은 35% ↓
부모들 “차로 30분 걸려 등원시켜”
전북 전주에 사는 워킹맘 김모(35)씨는 8일 “걸어서 5분도 안 되는 곳에 20년 이상 자리한 어린이집이 원생 부족으로 문을 닫아 아침마다 차로 20∼30분 떨어진 곳까지 데려가느라 너무 힘들다”며 “친구도 아이를 새로 보낼 만한 어린이집을 찾느라 애를 먹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저출생 기조가 지속되면서 전국 곳곳의 어린이집이 원생을 모집하지 못해 문을 닫고 있다. 특히 만 2세 이하 영아가 다니는 가정어린이집은 최근 5년 새 3곳 중 1곳가량이 운영난으로 줄줄이 폐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령 8일 전북도 관내 어린이집은 2018년 1397곳에서 올해 4월 말 현재 964곳으로 5년 새 433곳(31.0%)이 감소했다. 이 지역 어린이집은 2019년 1288곳, 2020년 1195곳, 2021년 1115곳, 지난해 1024곳 등으로 해마다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1000곳 이하로 줄어든 것은 올해가 처음이다.
전주시의 경우 아파트 어린이집은 같은 기간 20곳 넘게 문을 닫아 93개소로 줄었다. 사회복지법인이 운영하는 어린이집 중에는 원아가 1명도 없으나, 마지못해 빈 시설만 운영 중인 곳도 있다. 또 같은 지역이더라도 국공립과 사설, 구도심과 신도시 간 원생 수급 불균형도 커지고 있다.
어린이집 폐원은 저출산 분위기가 지속하면서 원아 모집이 갈수록 줄어들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호남통계청에 따르면 전북지역 출생아는 2017년에만 해도 1만1348명이었으나 해마다 줄어 지난해는 7026명에 그쳤다. 한국 합계출산율은 지난해 0.78명으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1984년 합계출산율 1.74명을 기록한 이래 40년째 저출산 상황이 이어지는 것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국 가운데 최하위 수준이다.
가정어린이집 등 사립기관의 경영난에 따른 피해는 부모들에게 고스란히 돌아간다.
대구에 사는 이모(29·여)씨는 “아이를 집 가까이에 있는 어린이집에 보내려 했는데 최근 폐원하는 바람에 난감하다”며 “출산율을 높이려면 이런 보육 문제부터 해결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전주·대구=김동욱·김덕용 기자, 송민섭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