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담해진 수법, 일반인도 끌어들였다…전세사기 털어보니

오원석 기자 2023. 6. 8. 20:3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전세 사기를 당한 피해자 가운데 절반 이상이 2, 30대 청년층인 걸로 나타났습니다. 정부가 오늘(8일) 발표한 특별단속 결과인데요, 처음으로 집 계약을 하는 청년층이 믿을 건 공인중개사일 텐데 전세사기 혐의자의 40%가 공인중개사나 중개보조원이었습니다. 전세사기꾼들의 수법은 갈수록 대담해지면서 이젠 온라인에 매물을 올린 일반인까지 사기에 끌어들이고 있습니다.

오원석 기자입니다.

[기자]

서울 장안동의 한 오피스텔 건물입니다.

원래 집주인은 이 집을 1억500만 원에 팔겠다고 인터넷에 올려놨는데, 그 게시물을 보고 전세사기 일당이 접근한 겁니다.

결국 원래보다 6천만 원이나 비싼 값에 '업 계약서'를 썼습니다.

서모씨를 비롯한 사기꾼 일당은 브로커를 통해 구한 가짜 집주인을 앞세워 오피스텔 집을 사들였습니다.

이들은 허위로 작성한 '업계약서'를 근거로 전세금을 올려받았습니다.

전세 세입자는 이들에게 속아 시세보다 6천만 원이나 비싼 보증금을 내고 전세 계약을 맺었습니다.

뻥튀기한 전세보증금은 사기 일당이 나눠가졌습니다.

이들은 이런 수법으로 빌라나 오피스텔 175채에서 총 390억 원에 달하는 부당이득을 챙겼습니다.

이들이 사기 행각을 반복할 수 있었던 건 오피스텔이나 빌라는 시세 파악이 어려웠기 때문입니다.

온라인 플랫폼에 매물을 올린 집주인들도 잘 안 팔리는 집을 팔아준단 유혹에 넘어가 사기극에 가담했습니다.

서씨는 업계약서에 속아 웃돈을 치른 전세사기 피해자들의 돈으로 슈퍼카 여러 대를 모는 등 호화생활을 누렸습니다.

공인중개사를 모집책으로 삼아 매매가격보다 전세가격이 높은 '깡통전세'만 골라 사들인 임대업자도 있습니다.

이런 수법으로 자기 돈 한 푼들이지 않고 29채의 오피스텔을 가졌는데, 정작 세입자들의 보증금은 떼어 먹었습니다.

경찰은 이들을 포함해 6개 전세 사기 조직 41명에 '범죄단체 조직' 혐의를 처음으로 적용했습니다.

(영상디자인 : 오은솔)

Copyright © JT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