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방과 후 전쟁활동’ 성용일 감독 “입시 전쟁 내몰린 고3, 어른이 꿈 향해 끌어줘야”

이복진 2023. 6. 8. 19:3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이들이 스스로 어려움을 헤쳐나가는 흐뭇한 결말로 갈 수 있겠지만, 처음부터 그리고 싶었던 이야기는 그게 아니었어요. 고3 학생들을 통해 수십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대학 갈 때 고생하고, 왜 지금도 힘든지. 대학은 넘치는데 왜 아이들은 힘들어하는지. 이 상황이 맞는 것인지를 ‘방과 후 전쟁활동’을 통해 보여주고 싶었죠.”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티빙은 3월31일과 4월21일 오리지널 시리즈 ‘방과 후 전쟁활동 파트1·2’를 공개했다. 동명의 웹툰이 원작으로, 하늘을 뒤덮은 괴생명체의 공격에 맞서 싸우기 위해 입시 전쟁이 아닌 ‘진짜 전쟁’을 시작한 고3 학생들(3학년 2반)의 이야기를 다뤘다.
티빙 오리지널 시리즈 ‘방과 후 전쟁활동 파트1·2’을 연출한 성용일 감독은 “수십년이 지나도 바뀌지 않은 학생들의 어려움, 힘듬을 이야기하고 싶었다”라며 “어른들이 사라진 이후 폭주하는 학생들을 통해선 어른의 중요성을 표현했다”고 말했다. 스튜디오드래곤·CJ나눔재단 제공
연출을 맡은 성용일 감독의 전작은 OCN ‘미스터 기간제’다. 상위 0.1% 명문고에서 벌어진 의문의 살인 사건을 속물 변호사가 파헤치는 드라마로, 학교 내에 존재하는 계급과 암투 등을 다루면서 학원물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방과 후 전쟁활동’도 마찬가지 학원물. 하지만 최근 온라인 화상으로 만난 성 감독은 “전작과 달리 학생들이 가진 순진한 모습을 담고 싶었다”고 말했다.

“‘미스터 기간제’ 때는 계급이 나눠지고 이를 이용하는 어른들보다 더 무섭고 영악한 학생들을 표현하려고 했어요. 반면 ‘방과 후 전쟁활동’에서는 정반대로 가고 싶었어요. 외부로는 괴물과 싸우지만 안에서는 또래의 천진하고 순수한, 그리고 서로를 의지하는 모습을 담으려 했지요.”

웹툰과 차별점에 대해선 “작든 크든 3학년 2반 학생들이 모두 화면에 각자의 역할을 하기를 바랐다”라며 “신인 배우들이기 때문에 주인공을 지정하기 힘들었고, 모두가 주인공이라는 마음으로 연기해달라고 주문했다”고 말했다. 

이러한 연출 의도와 신인 배우들의 열정, 그리고 웹툰이 가지고 있는 인지도 등으로 드라마는 국내는 물론이고 해외에서 많은 인기를 얻었다. 하지만 3학년 2반 학생들이 대거 죽고, 살아남은 주인공(김치열) 마저 수능 당일 시험장을 나오면서 끝나는 결말에 대해선 호불호가 갈렸다. 이에 대해 성 감독은 “희생한 사람들에 대해 고마워하지 않고 그것조차 반발하는, 남들을 밀쳐내고 경쟁으로 내모는 사회를 지적하고 싶었다”라며 “(죽은) 친구들을 생각하면 수능을 치르지 못하고 시험장을 나온 치열(김기해)이도 그런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학생들을 이끌었던 이충호(신현수) 중위의 죽음에 대해서도 “믿을만한 어른이 사라진 이후 아이들이 자신들만의 힘으로 살아남을 수 있을지를 그리고 싶었다”며 “‘사회’라는 한 치 앞도 볼 수 없는 안갯속에서 누군가 이끌어줘 마음의 안정을 가졌지만, 그 사람이 사라지면서 폭주하는 모습을 통해 앞서간 사람, 어른의 중요성을 표현했다”고 말했다.

성 감독은 인터뷰 내내 어른의 중요성을 언급했다. 청년들을 이끌어줄 어른이 필요하다고 했다. 그런 면에서 그는 지난해부터 청년들을 위한 멘토링도 하고 있다. ‘CJ도너스캠프 청소년 문화동아리’로 방송, 영화, 음악, 공연, 요리, 패션·뷰티 6개 분야에서 청소년들이 스스로 창작자가 되어 기획부터 창작까지 작품을 완성하는 CJ나눔재단의 대표 지원사업이다. 성 감독은 방송 분야 멘토로 청소년과 대학생봉사단에게 업계 이야기를 알려줬다. 그는 “이 일(방송)을 처음 하고 싶었을 때 주변에서 이 일을 하는 사람이 있었다면 조언을 구해 내가 판단을 내릴 때 마음이 편했을 것 같았다”며 “그런 생각을 가지고 있다가 이번 지원사업 이야기를 듣고 함께하게 됐다”고 참여 계기를 밝혔다. 

“좋은 멘토나 선배는 꼭 필요한 것 같아요. 특히 중·고등학생들에게요. 대학에 가기 전에 업계 조언을 누군가 해준다면 학생들은 꿈을 명확하게 꿀 것이고, 그러다보면 다른 길로 가지 않고 자신이 원하는 길로 갈 수 있지 않을까요. 그런 면에서 ‘방과 후 전쟁활동’처럼 어른들의 위치가 정말 중요한 것 같습니다.”

지금도 작년 멘토링을 했던 학생들로부터 연락을 가끔 받는다는 성 감독은 “연출이나 기획 등 방송 쪽 일을 종종 알려주고 있다”며 “나도 젊은 친구들을 통해 생활 습관이나 콘텐츠 소비 패턴 등을 배우고 있다. 많은 도움이 된다”고 밝혔다.

이복진 기자 bok@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