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 배출 '사상최고 경신 중…최근 10년간 0.2℃ 상승"(종합)

이주영 2023. 6. 8. 18:4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세계 각국 과학자들이 온실가스 배출량이 매년 사상 최고 기록을 경신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최근 10년간 지구 기온이 0.2℃ 이상 상승하는 등 온난화가 전례 없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고 경고했다.

영국 리즈대학 피어스 포스터 교수를 중심으로 한 세계 각국 주요 과학자 50여명은 8일 과학저널 '지구 시스템 과학 데이터'(Earth System Science Data)에서 유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6차 평가 실무그룹 1이 보고서를 발표한 2021년 이후의 주요 온난화 관련 지표 변화를 공개하며 이같이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제 연구팀 "온난화 속도 전례 없이 빨라…대응 방식·정책 바꿔야"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세계 각국 과학자들이 온실가스 배출량이 매년 사상 최고 기록을 경신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최근 10년간 지구 기온이 0.2℃ 이상 상승하는 등 온난화가 전례 없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고 경고했다.

지구온난화로 빠르게 녹고 있는 북극해 얼음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영국 리즈대학 피어스 포스터 교수를 중심으로 한 세계 각국 주요 과학자 50여명은 8일 과학저널 '지구 시스템 과학 데이터'(Earth System Science Data)에서 유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6차 평가 실무그룹 1이 보고서를 발표한 2021년 이후의 주요 온난화 관련 지표 변화를 공개하며 이같이 밝혔다.

분석 결과 온실가스 배출량은 계속 연간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온난화 속도도 전례 없이 빨라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0~2019년 전 세계 연평균 온실가스 배출량은 이산화탄소 환산 53기가톤(GtCO₂e = 530억t)에서 2012~2021년에는 이산화탄소 환산 54기가톤으로 증가했다. 1초에 1천700t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되고 있는 셈이다.

2010~2019년 인간 활동으로 인해 상승한 기온 폭도 산업화 이전 대비 1.07℃(IPCC 6차 평가보고서)에서 2013~2022에는 1.14℃로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3년부터 2022년까지 인간에 의한 온난화로 기온이 0.2℃ 이상 상승한 것으로 이런 기온 상승은 전례 없이 빠른 속도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처럼 온실가스 배출량이 계속 증가하면서 지구 온난화를 산업화 이전 대비 1.5℃로 억제할 확률을 50% 이상으로 높이기 위해 앞으로 배출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량도 500기가톤(2020년 IPCC 보고서)에서 올해 초 기준으로 250기가톤으로 절반가량 감소했다.

1.5℃ 억제 확률을 3분의 2 또는 5분의 4로 높이려면 앞으로 배출할 이산화탄소 총량을 각각 150기가톤과 100기가톤으로 줄여야 한다. 이는 현재의 온실가스 배출 속도로는 2~3년 내 배출될 양과 맞먹는 것이다.

연구팀은 이 결과는 오는 12월 기후 전문가들이 아랍에미리트에 모여 지구온난화를 2050년까지 1.5℃로 억제하기 위한 노력을 재점검할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를 앞두고 현 기후변화 행동의 속도와 규모가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일깨워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 지구 기후 시스템의 변화 속도를 고려할 때 정책입안자와 기후 협상가, 시민사회단체는 의사 결정의 근거가 될 최신의 과학적 증거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구 기후변화 지표 프로젝트가 개설한 기후변화 추적 사이트 [Climate Change Tracker 홈페이지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연구팀은 현재의 기후 상태에 대한 가장 권위 있는 과학적 정보의 출처는 유엔 IPCC이지만 주요 지표 평가에 5년에서 10년이나 걸쳐 빠르게 변하는 기후 지표와의 '정보 격차'가 발생한다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영국 리즈대학을 중심으로 개방형 데이터, 개방형 과학 플랫폼인 '지구 기후 변화 지표 및 웹 사이트'(https://igcc.earth/)를 개설, 매년 주요 기후 지표 정보를 업데이트할 것이라고 밝혔다.

리즈대학 프리스틀리 기후 미래 센터 소장으로 앞으로 지구 기후변화 지표 프로젝트를 이끌 포스터 교수는 "지금부터 10년이 기후변화에서 중요하다"며 "지금 내리는 결정은 기온이 얼마나 상승할지, 기온 상승의 영향이 얼마나 심각할지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기후변화에 발 빠르게 대처해야 한다. 기후 시스템 상태에 대한 최신 증거에 맞춰 정책과 접근 방식을 바꿔야 한다. 시간은 더 이상 우리 편이 아니다"라며 "그런 점에서 기후변화와 관련한 최신 정보에 대한 접근은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scitech@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