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포라면서’ 대만 맘대로 못 가는 중국인들…“관광 허용하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중단된 중국인 관광객의 대만 관광 재개를 요구하는 공식적인 목소리가 제기됐다.
당시 중국 당국은 베이징, 상하이, 광둥, 저장, 닝샤, 장시, 쓰촨, 푸젠 등 8개 지역에 거주하는 중국인들의 대만 단체 여행을 중단했고, 이 외의 47개 중국 도시 주민의 대만 개인 여행을 중단하는 조치를 강행해 대만을 방문하는 중국인 관광객의 수를 총 30만 명 이하로 제한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코로나19 사태 이후 중단된 중국인 관광객의 대만 관광 재개를 요구하는 공식적인 목소리가 제기됐다. 중국은 지난달 19일 대만인의 중국 단체 관광을 허용한 반면 2020년 끊어진 중국인들의 대만 관광은 여전히 불허하고 있는 상태다.
8일 자유시보 등 대만 매체들은 중국과 대만 양안 사이의 관광객 교류 문제는 정치적인 이유로 차단돼서는 안된다는 취지의 발언을 해 이목을 집중시킨 대만 교통부 장관의 지적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대만 교통부 왕궈차이 장관은 최근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린 ‘2023년 관광업 북부지역 포럼’에 참석해 “양안 간의 관광은 정치적 고려 대상이 되어서는 안 된다”면서 “대만 교통부는 양안 관광 교류와 관련해 어떠한 경우에도 정치적 고려를 하지 않고 있다”고 거듭 중국 관광객들의 대만 관광 재개를 촉구했다.
그는 현재 대만인들의 중국행에 대해서만 허용, 상호주의 측면에서도 한쪽으로 치우쳐 있는 중국 당국을 겨냥해 “중국이 하루 빨리 호의를 보여주기를 기대한다”면서 거듭 중국인들의 대만 관광행을 추진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냈다. 왕 장관은 또 “양안의 단체 관관객들이 서로 대등한 방식으로 방문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중국은 코로나19 사태 이전이었던 2019년 8월에도 대만 지역에 대한 중국 개인 관광객의 방문과 단체 관광을 중단하는 방식으로 대만에 대한 압박을 강화했던 바 있다. 당시 중국 당국은 베이징, 상하이, 광둥, 저장, 닝샤, 장시, 쓰촨, 푸젠 등 8개 지역에 거주하는 중국인들의 대만 단체 여행을 중단했고, 이 외의 47개 중국 도시 주민의 대만 개인 여행을 중단하는 조치를 강행해 대만을 방문하는 중국인 관광객의 수를 총 30만 명 이하로 제한했다.
임지연 통신원 cci2006@naver.com
Copyrightsⓒ 서울신문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국남자와 사귄다”…태국 아내의 질투심 유발이 비극 낳았다 [여기는 동남아]
- 놀다 주웠는데 ‘유물’…노르웨이 8세 소녀, 3700년 전 단검 발견
- 현대판 몸종?…월 2700만 원 ‘가사도우미’ 채용 논란 그후 [여기는 중국]
- 공항 엘리베이터서 실종 女, 사흘 뒤 시신 발견 장소는? [여기는 동남아]
- “성적 잘 줄게, 선생님이랑…” 여학생들 건드린 男교사, 무사히 학교 탈출한 사연[여기는 남미
- 여성 목에 감겨있던 시한폭탄…23년 전 콜롬비아 최악의 폭발사건 [여기는 남미]
- 70살 할머니와 결혼한 27살 청년의 사연…7년 열애 결실 [월드피플+]
- “18세 몸 갖겠다”며 17세 아들 ‘피’까지 수혈받은 美 억만장자의 사연
- “내 발 냄새인줄”…中호텔 침대 아래서 시체 발견 [여기는 중국]
- 400년 전 초상화 속 소년이 나이키를?…영국서 ‘시간 여행자’ 그림 화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