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교과서 띄웠지만 교사·디지털기기 부족 어떻게?
정부가 2028년까지 국어와 수학, 영어, 사회 등 예체능을 제외한 대부분 과목에서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를 도입하겠다고 발표한 가운데 현장에선 교원 역량과 제반 현장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디지털교과서 현장 검토까지 1년 남짓 남아있는 상황에서 교원 전체와 학생, 학부모가 이를 활용할 역량을 갖춰야 하기 때문이다. 교과서 개발에 나선 사교육 업체의 경우 학생들의 학습 데이터 활용도 막을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신기술을 안전하고 책임감있게 사용하면 모든 아이들이 평균의 함정에서 벗어나 개인 맞춤형 학습을 지원받을 수 있다"며 이같은 내용의 'AI디지털교과서 추진 방향'을 발표했다.
당장 종이 교과서가 사라지는 것은 아니지만 교육부는 디지털교과서 적용 과목을 대폭 확대할 방침이다. 2025년에는 초등 3~4학년과 중1, 고1이 수학, 영어, 정보 과목에서 디지털교과서를 먼저 사용하고 이후 3년간은 함께 서책 교과서를 병행한다. 국어와 사회, 과학은 2026년 초등과 중학교에서 우선 적용되고 2028년에는 초중고에 도입된다. 발달 단계와 과목 특성을 고려해 초등 1~2학년과 고교 선택과목, 예체능과 도덕은 디지털교과서를 쓰지 않는다.
교육부가 단계적으로 대상을 확대하겠다고 했지만 현장에서는 혼란을 우려하는 분위기다. 디지털교과서 현장 검토까지는 1년 정도밖에 남지 않은 상황에서 오는 8월에 개발 가이드라인이 발표되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이를 활용할 교사들이 짧은 시간 안에 적응해야 하는 게 선결 과제다. 2025년 우선 도입되는 특수교육 국어, 수학, 영어, 정보 교과를 담당하는 연수 대상은 16만5000여명에 이른다. 이 부총리는 "교과서는 개발 전이지만 우선 교사들이 이에 익숙해지도록 유사한 AI 디지털 코스웨어들을 활용해 훈련할 예정"이라며 "교과서 개발 이후 짧게라도 추가적인 연수 기회는 반드시 보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당장 2년 후부터 적용될 과목인 정보 교과목의 경우 교사 수가 부족한 점도 문제로 꼽힌다. 교육부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전체 국공립 초·중·고(직업계고 제외)는 약 1만여개인데 정보 관련 교사는 순회교사를 포함해 3400여명 뿐이다. 정부가 앞으로 모든 중·고등학교에 최소 1명의 정보교과 교원을 배치하고, 일정 규모 이상 초등학교에도 정보 교과전담교원이 배치되도록 지원할 방침이지만 현장에선 부족하다는 의견이 제기된다.
서울의 한 고등학교 정보 교사는 "전담 교원이 없는 경우 한명의 교사가 학교 4~5곳을 돌며 1000명이 넘는 아이들을 담당하는 경우도 있다"며 "정부가 교원 수급 계획에서 정보 교원을 늘리겠다는 기조이지만 디지털교과서 도입이 임박한 만큼 교원 공급이 적시에 이뤄지는 게 중요해 보인다"고 강조했다.
디지털 기기 보급도 관건이다. AI 디지털교과서의 우선 조건은 학생 1인당 디지털 기기 1개 보급이다. 그러나 17개 시·도별 디지털 기기 보급 현황을 보면 지역마다 상황이 제각각이다. 부산의 경우 올해 2월 기준으로 이미 100% 보급을 완료했지만 지난해 12월 기준 전북(21.1%)과 세종(16.6%), 서울(31.8%) 등은 보급률이 현저히 떨어진다.
특히 올초엔 서울시교육청과 서울시의회가 디지털 기기 예산을 둘러싸고 갈등을 빚기도 했다. 교육청은 디지털 기기 보급 사업인 '디벗' 사업을 추진해 왔으나 시의회 반대로 올해 본예산에 편성된 예산 923억원이 전액 삭감된 바 있다. 이후 올해 첫 추가경정예산으로 디벗 보급 예산 1059억원을 편성했다. 교육청 관계자는 "추경에서마저 디벗 예산이 삭감되면 준비 기간이 길어져 추진에 부담이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교과서 개발에 참여하는 업체들이 학생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는 우려도 존재한다. AI 디지털 교과서 개발을 위해 정부와 공공기관은 통합학습기록저장소를 구축하고, 과목별 AI 디지털 교과서는 민간이 개발하게 된다. 학생 개인 맞춤형 학습을 조언을 해주는 AI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상 학습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교과서 개발 민간업체들이 이용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 부총리는 "학습 데이터가 AI 기능의 핵심이기 때문에 에듀테크 기업의 경쟁력이 있어야 교과서의 질이 좋아질 것"이라고 전제한 뒤 "데이터의 공익성이 우선 고려돼야 하기 때문에 훼손되지 않도록 노력해 나가겠다"면서 "균형점을 찾는 부분은 가이드라인을 발표할 때 구체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유효송 기자 valid.song@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오로라공주' 배우, 子 극단적 선택→폐암 재발…"따라가고 싶다" - 머니투데이
- "너 뭐가 되려고 그래"…나영석이 놀리던 인턴 '재벌 3세' 였다 - 머니투데이
- 이선희, 집 인테리어 비용도 회삿돈으로?…또 터진 '횡령' 의혹 - 머니투데이
- '연수입 83억' 유재석 "가장 비싸게 산 물건은 슈퍼카"…얼마? - 머니투데이
- 흔적도 없이 사라진 부산 신혼부부…박지선 "아직도 미스터리" - 머니투데이
- '조건만남 절도' 의혹 터지자 통편집…'나솔' 정숙 직접 입 열었다 - 머니투데이
- "주민들 연 80만원 넘게 준대" 우르르…이 섬, 인구가 늘어났다 - 머니투데이
- "14조원 안 내면 주한미군 철수"…트럼프 컴백, 상·하원 싹쓸이 땐 악몽 - 머니투데이
- 화사, '과감' 옆트임+초밀착 드레스…모델과 같은 옷 다른 느낌
- 자존심 굽힌 삼성전자, TSMC와도 손 잡는다…파운드리 '어쩌나'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