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재난안전 스마트 시티로 도약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북도가 재난안전 스마트 시티로 거듭난다.
도는 8일 도청 안민관에서 '경상북도 재난안전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2단계 구축' 완료보고회를 열었다.
도 재난안전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은 도와 시·군, 중앙정부·관계기관의 재난예방, 대응, 복구, 조사 분석 등에 활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 재난정보 공동 활용 시스템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재난안전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이 도정 전반 상호 연계·협력의 구심점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방범용 CCTV 3만 2000여대, 도민 생명·재산 지키는 파수꾼 역할
강수·수위·적설·지진 데이터 센서 등을 표준화해 수집하는 ‘재난센스 허브’
재난현장 위성·항공 영상, 드론영상의 ‘재난서비스 허브’ 구축
경북도가 재난안전 스마트 시티로 거듭난다.
도는 8일 도청 안민관에서 ‘경상북도 재난안전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2단계 구축’ 완료보고회를 열었다.
도 재난안전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은 도와 시·군, 중앙정부·관계기관의 재난예방, 대응, 복구, 조사 분석 등에 활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 재난정보 공동 활용 시스템이다. CCTV 영상, 사물인터넷(IOT) 등 경북에 산재된 데이터를 한 곳에서 통합·연계해 스마트 안전도시를 구현한다.
통합플랫폼은 ▲23개 시군과 연계된 스마트 시티망을 통해 3만 2000대의 CCTV영상을 수집하는 ‘광역 영상 허브’ ▲시군에 산재된 강수·수위·적설·지진 데이터 센서 등을 표준화해 수집하는 ‘재난센서 허브’ ▲국토지리정보원과 연계된 재난현장 위성·항공 영상, 드론영상의 ‘재난서비스 허브’ 등으로 구성됐다.
통합플랫폼의 각종 정보는 재난예측, 재난상황 실시간 정보 제공, 재난 복구, 조사 분석에 활용한다. 사건현장 영상지원·수배차량추적(경찰), 119출동 영상지원서비스(소방), 전자발찌 위반 신속검거 서비스(법무부) 등 사건사고 예방에도 제공한다.
이날 이철우 경북도지사와 조우석 국토정보지리정보원장, 최주원 경북경찰청장은 ‘재난·안전 분야 공간정보 활용 확대’ 업무협약도 맺었다. 도는 2023년 재난분야 공간정보 활용 확대 최초 시범 광역도로 선정됐다.
이번 협약을 통해 경북도는 공간 정보를 활용해 피해 규모를 신속히 산정하고, 2차 재난 상황을 관제할 수 있을 전망이다.
재난발생 시점에 해당 지역의 위성·항공 영상, 가공정보(수치지형도, 인구·건물 통계)를 핫라인으로 제공받는 등 재난현장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재난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재난안전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이 도정 전반 상호 연계·협력의 구심점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안동 김상화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sⓒ 서울신문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男 속옷 안에 김치 넣는 영상 보여준 교사 ‘직위해제’
- “수컷 없어서” 스스로 임신한 암컷 악어, 알 낳았지만…
- 사형수 “교도소 좁아 스트레스” 소송…법원 판단은
- 정유정 실물 ‘매서운 눈매’…동창도 몰라본 ‘신상공개’[사건파일]
- “셋째 낳으면 무조건 특진”…출생 장려에 진심인 기업
- “‘밥, 카페, 영화’ 반복 데이트…게임하자니 화를 냅니다”
- 우크라, 사실상 대반격 개시…3개 전선서 ‘동시다발 공세’
- 지구대에 폭죽 던진 중학생…편의점 직원 협박 혐의도
- “먹고 살기 힘들어서”…‘옛날과자 14만원’ 상인 사과
- 괌 쑥대밭 태풍 ‘마와르’ 가고 ‘구촐’ 온다…예상경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