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이 지휘자 대체할 수 있을까? 국립국악관현악단 '부재'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립극장 전속단체 국립국악관현악단은 관현악시리즈 Ⅳ '부재'(不在)를 오는 30일 서울 중구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공연한다.
이번 공연은 '로봇이 지휘자를 대체할 수 있을까?'라는 호기심에서 출발했다.
최수열 지휘자는 "로봇에게 가장 도전적인 영역은 실시간으로 이뤄지는 교감과 소통, 그로 인해 완성되는 음악이 아닐까"라며 사람 지휘자의 통솔력과 해석력으로 로봇과는 차별화된 공연을 선보이겠다는 각오를 전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로봇 '에버6', 최수열 지휘자와 한 무대
30일 국립극장 해오름극장
[이데일리 장병호 기자] 국립극장 전속단체 국립국악관현악단은 관현악시리즈 Ⅳ ‘부재’(不在)를 오는 30일 서울 중구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공연한다.
이번 공연은 ‘로봇이 지휘자를 대체할 수 있을까?’라는 호기심에서 출발했다. 로봇 기술은 현재 빠른 속도로 우리 일상을 파고들고 있다. 빠른 기술 발전에 분야를 막론하고 급격한 변화가 예고되는 상황에서 국립국악관현악단은 로봇의 예술 활동으로 시야를 넓혀 인간의 고유 영역이라 불리던 예술, 그중에서도 ‘지휘’ 분야에 도전하는 로봇을 개발하고 이를 실험하는 무대를 만들었다.
‘에버6’가 지휘할 곡은 국립국악관현악단 레퍼토리로 많은 사랑을 받은 비얌바수렌 샤라브 작곡의 ‘깨어난 초원’, 만다흐빌레그 비르바 작곡의 ‘말발굽 소리’다. 두 곡 모두 몽골 대초원을 달리는 말의 모습을 연상시키는 밝고 경쾌한 곡이다. 빠른 속도로 반복적인 움직임을 정확히 수행하는 로봇의 특징과 강점에 초점을 맞춘 선곡으로 새로운 예술적 경험을 제공한다.
최수열 지휘자는 황병기 작곡의 가야금 협주곡 ‘침향무’와 김성국 작곡의 국악관현악곡 ‘영원한 왕국’을 지휘한다. ‘침향무’의 가야금 협연에는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이지영 교수가 함께한다.
최수열 지휘자는 “로봇에게 가장 도전적인 영역은 실시간으로 이뤄지는 교감과 소통, 그로 인해 완성되는 음악이 아닐까”라며 사람 지휘자의 통솔력과 해석력으로 로봇과는 차별화된 공연을 선보이겠다는 각오를 전했다.
이밖에도 손일훈 작곡의 위촉 신작 ‘감’을 선보인다. 인간과 로봇이 함께 지휘해 완성할 실험적인 곡이다. 작곡가가 2014년부터 시도하고 있는 ‘음악적 유희 시리즈’의 연장선에 있는 곡이다. 연주자들은 정해진 시나리오 없이 무대 위에서 게임을 하듯 즉흥적으로 새로운 음악을 만들어 낸다. 두 지휘자가 음악을 만들어 나가는 과정은 무대 양쪽 스크린을 통해 실시간으로 중계된다.
공연 관계자는 “‘부재’는 예술과 과학 기술의 결합이 열어줄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며, 지휘자가 부재(不在)하는 무대를 통해 지휘자의 역할과 존재에 대해 역으로 질문하는 공연이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티켓 가격 2만~5만원. 예매 및 문의는 국립극장 홈페이지 또는 전화로 하면 된다.
장병호 (solanin@edaily.co.kr)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머스크, 몽골 총리와 화상회담…몽골 "배터리 투자해달라"
- ‘제로백 3.3초’ 괴물 엔진…겉모습이 다가 아니다
- 알고보니 두 아이 아빠?...도연스님, 돌연 "자숙하겠다"
- 40대 女 ‘날아차기’하고 영상 찍으며 ‘낄낄’…중학생들 집행유예
- 임신한 부인 배 난타한 남편...경찰, 구속 영장 신청
- "이번역은 타이베이역 입니다" 대만 지하철서 한국어 안내방송 나온다
- "죽으면 책임질게"…응급환자 이송 11분 막은 30대 보험사기꾼[그해 오늘]
- 할머니집서 8살 성폭행한 오빠…피해자 일기장에 적힌 ‘그날’
- "옛날과자 7만원? 칼만 안든 강도"…분노한 인간극장 '과자왕'
- 임영웅, 미국 본격 진출하나… "세계적 도전 하고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