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시간 후 댓글창 폭파"…다음 뉴스 댓글 개편 '엇갈린 반응'

윤지혜 기자 2023. 6. 8. 15:3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카카오의 포털 다음(DAUM)이 처음 선보인 '신데렐라'식 뉴스 댓글 서비스에 이용자 반응이 엇갈린다.

유홍식 중앙대 커뮤니케이션대학원장은 "댓글 초기엔 공론장 역할을 했으나 현재는 각종 부작용으로 무용론이 나온다"라며 "특히 정치 뉴스의 경우 갈등을 부각하는 내용이 많아 포털 이용자에게도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뉴스 댓글 대신 새로운 형태의 공론장이 필요하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포털 다음, 뉴스댓글 서비스에 '타임톡' 도입
포털 다음이 뉴스댓글 서비스에 적용한 '타임톡' /사진=다음 캡처

카카오의 포털 다음(DAUM)이 처음 선보인 '신데렐라'식 뉴스 댓글 서비스에 이용자 반응이 엇갈린다. 댓글의 부작용을 최소화했다는 평가와 사실상 공론장이 사라졌다는 비판이 맞선다.

8일 다음 CIC(사내독립기업)는 새로운 뉴스 댓글 서비스 '타임톡'을 출시했다. 기존 게시판 형식의 댓글 서비스를 실시간 채팅형식으로 바꾸고, 기사 발행 시점부터 24시간이 지나면 댓글창이 사라지는 게 골자다. 이에 따라 24시간 이전에 발행된 모든 과거기사에 댓글이 사라졌다. 이용자는 24시간 동안 최대 50개의 톡만 입력할 수 있다. 댓글이 금지된 연예·스포츠 뉴스엔 타임톡도 적용되지 않는다.
0.02%가 쓴 댓글이 전체 10%…"여론왜곡 우려"
/사진=다음
다음이 댓글 개편에 나선 이유는 소수의 의견이 다수를 대표하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을 줄이기 위해서다. 카카오에 따르면 지난해 7월 다음뉴스 이용자 중 하루에 1회 이상 댓글을 단 이용자는 전체 2% 이하에 불과했다. 이 중에서도 단 1%가 하루 21개 이상의 댓글을 썼는데, 이들이 쓴 댓글이 전체 댓글의 1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다음뉴스 이용자의 98%는 하루 단 1건의 댓글도 쓰지 않는 데다, 0.02%의 이용자가 쓴 댓글이 전체의 10%를 차지한 셈이다.

기존 게시판 방식은 인격모독·명예훼손 등 악성댓글이 그대로 남는다는 점도 문제다. 이에 네이버·카카오는 연예·스포츠 뉴스의 댓글을 원천 차단했으나, 최근엔 일반인 대상 악플도 느는 추세다. 경찰청이 발표한 국내 사이버 명예훼손 및 모욕 건수는 2014년 8880건에서 2020년 1만9388건으로 두 배가 됐다. 지난해 이태원 참사 직후 열흘간 달린 뉴스댓글의 약 60%가 혐오표현을 포함했다는 분석도 있다.

댓글이 공론장이 아닌 극단적 대립 공간으로 변질했다는 지적도 있다. 유홍식 중앙대 커뮤니케이션대학원장은 "댓글 초기엔 공론장 역할을 했으나 현재는 각종 부작용으로 무용론이 나온다"라며 "특히 정치 뉴스의 경우 갈등을 부각하는 내용이 많아 포털 이용자에게도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뉴스 댓글 대신 새로운 형태의 공론장이 필요하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24시간 뒤 '펑'…자칫 배설공간 될라
타임톡 참여하기 버튼을 누르면 이런 별도 창이 뜬다. /사진=다음 캡처
반면 '공론장이 사라졌다'라는 비판도 만만치 않다. 24시간이 지나면 기사의 모든 댓글이 사라진다는 점에서 사실상 댓글 폐지라는 설명이다. 더욱이 타임톡은 기사 하단에 실시간 채팅이 그대로 뜨는 게 아니라 별도의 창에서 대화를 나누는 형태다. '참여하기' 버튼을 누르지 않는 이상 댓글을 볼 수 없다.

온라인에선 내년 총선을 앞두고 정치권의 포털규제가 심화하자 댓글을 폐지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줄을 잇는다. '세이프봇' 등 AI 기술로 악성 댓글을 가리거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강화로 댓글의 역기능은 줄이면서 순기능을 강화하는 방안으로 대안을 마련해야 하는데, 타임톡은 토론의 장을 없애 표현의 자유를 침해했다는 비판이다.

30대 직장인 김모씨는 "댓글로 건설적인 논의가 이뤄질 때도 있는데 모든 댓글을 악플로 간주한 처사"라며 "총선을 앞두고 정치권이 댓글을 눈엣가시로 여기자 폐지한 것이 아닌가"라고 꼬집었다. 또다른 이용자 이모씨는 "같은 논리라면 각종 커뮤니티와 SNS까지 규제 대상이 된다"며 "하루가 지난 뒤 댓글창이 폭파돼 오히려 배설 공간이 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카카오 관계자는 "타임톡에도 AI로 악성댓글을 가려주는 '세이프봇'을 적용해 악성댓글을 줄일 것"이라며 "현재 베타테스트 기간으로 이용자 의견을 수렴해 반영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윤지혜 기자 yoonjie@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