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한식이 좋은 것이여~

2023. 6. 8. 14:1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아이를 낳으면 4~6개월쯤 이유식을 시작합니다.

 쌀에 채소, 고기 등의 식재료를 추가해 부드럽게 만들어 아이에게 줍니다.

이유식을 시작하고 점차 고형식으로 바꿔 아이가 비로소 밥을 먹게 됩니다.

강의를 듣고 제철음식을 포함한 좋은 먹거리를 아이들 눈높이로 접하게 해주겠다고 다짐했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이를 낳으면 4~6개월쯤 이유식을 시작합니다. 쌀로 만든 미음을 먹으며 처음으로 모유와 분유 외의 음식을 먹게 되지요. 쌀에 채소, 고기 등의 식재료를 추가해 부드럽게 만들어 아이에게 줍니다.

한식에 대한 소개.

‘이유식(離乳食)’이란 단어에는 이별(離別)에 쓰이는 떠날 리(이, 離)자가 들어있습니다. 아기가 태어나면 입 안에 이가 하나도 없어요. 아기가 커가면서 유치가 나게 되지요. 이유식을 시작하고 점차 고형식으로 바꿔 아이가 비로소 밥을 먹게 됩니다.

대형마트의 김과 김부각 매대.

아이 키우는 집에서 요긴한 반찬으로 ‘김’이 있습니다. 김이 밥 싸먹기에 좋잖아요.^^ 우리나라의 김이 세계에서 잘 팔리고 있다고 하죠. 

롯데마트 서울역점에 갔었는데요. 김 매대 앞에서 외국인들이 ‘김부각’을 시식하고 사가는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김부각은 김에 찹쌀풀을 발라 튀겨낸 전통식품입니다. 이처럼 우리나라 농식품(K-푸드)의 위상이 높아지고 있어 기쁩니다.

안국역에 있는 ‘한식문화공간 이음’ 홍보 전광판의 모습.

한식 전문 공공기관으로 2010년 첫걸음을 시작하여 현재 서울 북촌에 자리잡은 ‘한식진흥원’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한식 문화를 홍보하고 교육하는 역할을 합니다. 여기서 계절의 기운을 담은 제철 식재료와 전통 발효식품을 활용한 한식을 직접 배우고, 만들고, 먹어볼 수 있는 곳을 만들었습니다. 바로 2022년 8월에 문을 연 ‘한식문화공간 이음’이라는 곳이지요. 서울 지하철 3호선 안국역 2번 출구에서 조금만 걸어 올라가면 됩니다. 헌법재판소 맞은편에 있어요.

한식문화공간 이음 건물 모습.

한식문화공간 이음 건물로 들어가니 1층에 ‘카페 이음’이 있었어요. 북콘서트 참석차 갔는데 조금 일찍 도착해서, 카페에 들어가 메뉴를 살펴보았습니다. 특이한 세트메뉴가 눈에 띄었어요.

카페 이음의 메뉴판, 식품명인체험홍보관의 전통식품이 메뉴에 들어있다.

‘부각리카노’와 ‘술떡리카노’라고 들어 보셨나요. 김, 감자 부각과 허니버터기정떡을 아메리카노와 함께 먹는 메뉴랍니다. 이곳은 식품명인체험홍보관으로 운영되어 명인이 만든 음식과 차를 카페에서 맛볼 수 있어요. 저는 허니버터기정떡과 아이스 카페라떼를 주문했어요. 명인의 기정떡을 꿀과 버터와 함께 먹는 달달하고 부드러운 식사 대용 디저트였어요. 출출한 상태라 맛있게 먹고 행사가 열리는 지하1층 이음홀로 향했답니다.

허니버터기정떡(구경숙 명인)과 아이스 카페라떼.

‘미각 교육 식판식’의 저자 박보경 소장님의 ‘건강하고 똑똑한 아이로 키우는 미각 교육’ 강의를 들었습니다. 미각 교육을 통해 아이의 식습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내용이었습니다. 강의를 듣고 제철음식을 포함한 좋은 먹거리를 아이들 눈높이로 접하게 해주겠다고 다짐했습니다. 

이음홀에서 열린 북콘서트의 모습.

옛 어른들은 ‘논두렁에 물 들어가는 것과 자식 입에 밥 들어가는 것만큼 보기 좋은 것이 없다’고 말하셨습니다. 자식 입에 들어가는 밥을 현명하게 준비해야겠습니다. 

지하1층에는 이음홀과 더불어 한식도서관이 있습니다. 한식 관련한 내용을 찾아볼 때 좋겠군요. 2층에는 식품명인체험홍보관이 있습니다. 안내데스크 앞에 ‘식품명인과 함께하는 체험 프로그램’ 6월 일정이 안내되어 있었습니다. 예약 경쟁이 치열하며 체험이 정말 즐겁다는 후기를 찾아볼 수 있었습니다.

2층 식품명인체험홍보관의 6월 명인체험 안내.(사전에 네이버 예약 필요)

아이가 평소에 된장찌개를 좋아합니다. 집에서 전통 방식으로 만든 재래식 된장으로 끓여주고 있지요. 구수한 된찌와 밥 한그릇을 뚝딱 먹는 걸 보면 엄마 마음이 참 흐뭇합니다. 된장은 우리나라의 발효식품입니다. 고유한 ‘장 문화’를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에 등재하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만날 수 있었습니다. 

‘한국의 장 담그기 문화’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등재 추진.

한식문화공간 이음을 통해 한식과 K-푸드의 위상을 높여갔으면 합니다. 한식진흥원의 누리집(www.hansik.or.kr)을 방문하면 현재 진행하고 있는 행사와 교육 정보를 알 수 있습니다. 더불어 한식 아카이브 등 다양한 한식 관련 자료가 있으니 관심있으신 분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오늘도 저녁에 된장찌개를 끓여 온 가족이 함께 먹으려고 합니다. 

대한민국 정책기자단 한지혜 soulofaqua@naver.com

Copyright © 정책브리핑.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