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장기 미제’ 형사피고인 4781명 달해… 민사사건은 7746건으로 6년새 3.2배 급증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김명수 대법원장 6년 재직 중 정치적 논란이나 쟁점이 된 사건뿐만 아니라 일반 사건 처리도 크게 늦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해 기준 1심 재판에서부터 유·무죄 여부 또는 선고 결과를 받지 못한 '장기미제' 형사 피고인이 4700여 명에 달하는 한편, 선고 결과가 나오지 못한 민사사건도 7746건으로 파악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신속한 재판 권리’ 에도 역행
김명수 대법원장 6년 재직 중 정치적 논란이나 쟁점이 된 사건뿐만 아니라 일반 사건 처리도 크게 늦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해 기준 1심 재판에서부터 유·무죄 여부 또는 선고 결과를 받지 못한 ‘장기미제’ 형사 피고인이 4700여 명에 달하는 한편, 선고 결과가 나오지 못한 민사사건도 7746건으로 파악됐다. 1심 사건의 평균 처리 기간도 길어져 재판 지연에 따른 법원 행정에 대한 불신과 국민들의 피해가 커졌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우리 헌법(제27조 제3항)이 규정한 ‘신속한 재판 받을 권리’와 ‘형사피고인의 신속한 공개재판 받을 권리’에도 역행한다는 비판이 나온다.
8일 장동혁 국민의힘 의원이 대법원으로부터 받은 ‘연도별 장기미제 사건 건수 및 사건처리 평균 일수’(1심) 자료에 따르면, 사건이 접수된 지 2년이 넘도록 선고가 완료되지 않은 장기미제 피고인 숫자는 최근 6년 새 큰 폭으로 늘어났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7년 1709명에서 2022년 4781명으로 김 대법원장이 취임한 2017년 이후 2.8배로 늘었다. 개인 간 법적 다툼도 길어져 심리 기간이 긴 민사사건은 사건 접수 후 2년 6개월이 넘도록 선고를 내리지 못하는 사건도 2017년 2440건에서 2022년 7746건으로 3.2배가량으로 증가했다.
민사사건은 지난 2016년 대법원 예규가 변경되면서 장기미제 기준이 2년에서 2년 6개월로 바뀌었다.
한편 형사공판 1심의 평균 처리 기간은 2017년 4.2개월(126일), 2020년 5.2개월(156일), 2022년 6.0개월(180일)로 최근 6년 사이 54일 늘었다. 민사사건(1심)은 2017년 4.8개월(144일), 2020년 5.5개월(165일), 2022년 5.9개월(177일)로 같은 기간 33일 늘어났다.
이창현 한국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정치적인 사건뿐만 아니라 중요하거나 신속한 판결이 필요한 사건은 ‘집중심리제’ 등을 도입해 사건 처리를 단축하는 등 법원 행정의 개선이 시급한 시점”이라고 설명했다.
최지영 기자 goodyoung17@munhwa.com
Copyrights ⓒ 문화일보 & www.munhw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임미숙, 남편 70세 생일에 슈퍼카 선물… 김학래 “일종의 치료제”
- [단독]“대한민국이 뻘겋다…창원간첩단 하부조직 전국 68곳”
- 아나운서 이지연 “결혼합니다”…신랑 공개
- 中 삼중수소도 만만치 않다는데…이재명, 中대사와 후쿠시마 방류 저지 논의
- ‘가상의 적이 누구?’…나토, 美전투기 등 250대로 역대 최대 방공훈련 예정
- 중국, 세계최고 윈드터널 완공… ‘마하30 미사일’ 머지않았다
- 충북대 교수, “후쿠시마 처리 오염수 마시겠다…소모적 논란으로 국민공포만 키워”
- [단독]한국형 항모 국산 함재기 탑재 6∼7만t급 대형화…캐터펄트 방식 채택 추진
- 세슘기준치 180배 日우럭에 “국민 우려 日수산물 차단”
- [단독] ‘또래살해’ 정유정 사이코패스 지수, ‘연쇄살인범’ 강호순과 맞먹는 수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