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매운동으로 번질라…"지역 축제 바가지요금 대책 시급"

윤슬빈 여행전문기자 2023. 6. 8. 06:0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옛날과자 1봉지에 7만원? 올해만 네 번째 바가지 논란
비싼 부스 참가비 문제…예산 40% 이상 가수 초청비로
양양연어축제에서 연어맨손잡기 체험에 참가한 외국인 관광객이 연어를 들어보이고 있다. (양양군 제공)2019.10.27/뉴스1 ⓒ News1

(서울=뉴스1) 윤슬빈 여행전문기자 = 3년 넘게 기다리며 기대감이 높아진 탓일까. 올해부터 정상 재개한 국내 유명 축제들이 잇따라 '바가지 요금'으로 논란이다. 최근 높아진 물가를 감안해도 높게 책정된 가격에 여론이 크게 실망한 분위기다.

관광업계에선 '휴가철'과 '축제의 계절' 가을을 앞두고 '바가지 요금 근절'에 대한 실질적인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자칫 국내관광 이미지 훼손과 국내 축제 불매운동까지 불거질 수 있어서다.

8일 관광업계에 따르면 올해 들어 바가지 요금 논란이 크게 불거진 축제만 네 건이다. KBS 예능프로그램 '1박 2일'에서 옛날 과자를 1봉지에 7만원에 판매한 영양산나물 축제를 비롯해 경남 진해 군항제와 전북 남원 춘향제, 전남 함평 나비대축제가 바가지 논란이 일어 빈축을 샀다.

전남 함평군 나비대축제 전시관.(함평군 제공)2023.5.8./뉴스1

◇비싼 부스 참여비 원인…배경엔 유명 가수 섭외 부담? 업계에선 국내 축제의 '바가지 요금'을 초래한 데엔 한철 장사를 노리는 전문 상인들의 태도가 문제이지만 가장 큰 요인으로 높은 부스 참가비를 꼬집었다.

축제에 참가하는 판매 상인은 대부분 전국을 돌아다니는 전문 상인들이다. 이들은 각 축제에 참가할 때마다 한 부스당 최소 20만원에서 최대 200만원까지 주최 측에 부스 참가비를 지불한다.

높은 가격의 부스비를 냈을 경우 짧은 시간 내에 적자를 내지 않기 위해서 이익률을 높이게 된다. 예를 들어 어묵 한그릇당 순수익이 1000원일 경우 200만원의 부스비를 회복하려면 2000그릇을 팔아야 하는데 순수익을 5000원으로 올리면 400그릇만 팔면 된다.

높은 부스비는 사실상 유명 가수 섭외비에 따른 경우가 허다하다. 유명 가수 초청에 따라 지자체장의 민심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지역 축제에서 가수 초청에 적극적인 곳은 우리나라밖에 없을 것"이라며 "축제는 관광객을 모으기도 하지만, 지역민을 모을 수 있는 계기가 되기 때문에 지자체장의 엄청난 홍보 수단이 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지역 축제에서 가장 돈을 많이 쓰는 부분이 가수 섭외비로 예산의 40% 이상 나간다"며 "입장료로는 결코 수익을 얻을 수 없다보니 결국은 부스비를 과도하게 받게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양심적인 지역 축제도 많아 바가지 요금은 모든 지역 축제에 해당되는 것은 아니다. 참여 부스비를 낮추고 지역민과 관광객들이 마음 놓고 즐길 수 있는 축제들도 있다.

지난해 가을에 개최한 강원도 양양송이축제는 모든 부스 참여비를 20만원으로 통일하고 사회단체 및 공익 부스는 무상으로 운영했다. 바가지 요금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필수 요건으로 전반적인 교육 청취를 내세웠다.

송종표 양양문화재단 팀장은 "영업하는 이들에게 사전에 단가를 높이고 물량을 속이면 안 된다는 내용의 교육을 하고 고객 응대에 대한 모든 것을 공지했다"며 "또 참여 상인들 대상으로 개인 정보를 활용하며 관리하는 데 동의한다는 서약서를 받았다"고 말했다.

이어 "20만원은 어느 정도의 진입 장벽을 위한 장치"라며 "수익 사업이었으면 턱도 없지만, 목적은 관광객에게 쇼핑거리 등 현지의 새로운 즐길 거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상관없다"고 말했다.

맑은 날씨를 보인 30일 오전 제주시 애월읍 한담해변 해녀상에서 관광객들이 사진 촬영을 하고 있다. 2023.4.30/뉴스1 ⓒ News1 오현지 기자

◇"비싸더라도 투명하게 가격 공개해야" 업계에선 바가지요금을 규제를 통해 근절하는 것은 사실상 어렵다는 의견이 나온다.

우리나라는 시장경제체제를 따라 공급자가 재화나 서비스의 가격을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다. 수요에 따라 가격이 결정되므로 수요가 몰리는 시기에 공급자가 가격을 인상하는 것은 자연스럽다. 또 사업자가 가격을 올렸다고 해서 행정기관이 사업자에게 불이익을 줄 수는 없다.

정란수 프로젝트 수 대표 겸 한양대학교 겸임 교수는 "관광은 성수기와 비수기가 존재하다보니 정찰제가 안 된다"며 "대신 가격에 대해 전반적으로 공시하므로써 소비자가 선택할 수 있게 해야한다"고 말했다.

또 "비싸면 안 찾아가거나 안 사먹는 등 소비자에게 권한을 줄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면 된다"며 "축제가 더욱 투명해질 필요가 있다"고 했다.

지속적으로 높은 물가에 대해 지적받아온 제주도의 경우 제주특별자치도와 제주연구원, 제주관광공사가 함께 관광 물가지수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 중이다.

제주관광공사 관계자는 "객관적으로 물가를 비교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하기 위해서다"라며 "조만간 관광객들의 인식 제고를 위해 '저렴한 제주 여행'을 알리는 마케팅을 선보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문화체육관광부도 지난달 9일 조용만 2차관 주재로 17개 시도 관광국장회의를 개최하고 주요 안건으로 '바가지요금 근절'을 내세웠다. 세부적으로 음식, 기념품, 지역 특산물 할인 모색에 협조하고 주차 공간과 합리적 숙박 요금을 협조해줄 것을 요청했다.

문체부 관계자는 "관광 직접적인 규제를 할 수 없기 때문에 간접적으로 지역 축제가 개도할 수 있도록 방안을 마련 중"이라며 "축제가 활발한 가을을 기점으로 바가지요금 근절 캠페인이나 셀럽을 활용할지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seulbin@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