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멘트 가격 인상에 레미콘·건설업계 반발… 건설현장 셧다운 우려에 ‘네 탓 공방’ 이어져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시멘트 업계에서 2년 새 네 번째 시멘트 가격 인상을 결정하면서 레미콘과 건설업계의 반발이 커지고 있다.
업계에서는 시멘트 가격 인상으로 인해 건설 현장 '셧다운'이 더욱 심화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시멘트 가격을 올리면 레미콘도 가격을 인상하고, 건설사는 분양가 상한제가 없다고 하더라도 가격을 올리는 데 한계가 있어 이익이 줄어든다"면서 "책임소재가 명확하지 않기에 가격 인상 이슈가 나올 때마다 서로 '네 탓 공방'을 하는 것"이라고 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시멘트 “전기료 올라 작년 대비 이익 크게 줄어 인상”
레미콘·건설업계 “전기료 올라도 유연탄 떨어져 상쇄”
시멘트 업계에서 2년 새 네 번째 시멘트 가격 인상을 결정하면서 레미콘과 건설업계의 반발이 커지고 있다. 이들 업계는 불과 몇 개월 전 시메트 가격 인상과 관련해 ‘네 탓 공방’을 벌이며 언성을 높였다가 과열 양상에 일단락됐지만, 이번 가격 인상으로 다시 시작된 것이다. 업계에서는 시멘트 가격 인상으로 인해 건설 현장 ‘셧다운’이 더욱 심화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8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시멘트업계 1위 기업인 쌍용C&E는 다음 달부터 1종 벌크시멘트 가격을 톤(t)당 10만4800원에서 11만9600원으로 인상하겠다고 발표했다. 업계 3위인 성신양회도 t당 10만5000원에서 12만원으로 가격을 올리겠다고 거래처에 통보했다.
시멘트 회사들은 지난 2021년 6월 이후 최근 2년 새 4번째 가격을 인상했다. 2021년 6월 당시 t당 7만5000원이었던 시멘트는 현재 10만5000원 선으로, 약 40% 올랐다. 이번 가격 인상분이 반영될 경우 2년 사이에 60%가 오르는 셈이다.
시멘트업계가 가격 인상의 근거로 제시하는 요인은 전기료가 지난해 대비 크게 올라 이익이 줄었다는 것이다. 제조원가에서 전기요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20~25%에 달한다. 올해 1월 1일부터 전기요금이 kWh당 평균 13.1원(9.5%) 올랐고, 2분기에는 다시 8원(5.3%) 상승하는 등 전기료가 급등해 비용이 커졌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레미콘업계와 건설업계는 이 같은 주장에 동의하지 못하겠다는 입장이다. 시멘트 업계가 제조원가의 40%를 차지한다고 했던 유연탄 가격이 최근 크게 하락한 만큼 가격 인상 요인이 적다고 주장한다. 한국수입협회 국제원자재가격정보에 따르면 국내 시멘트업체가 주로 수입하는 호주 유연탄 t당 가격은 지난달 말 기준 135달러로 지난해 9월 말 436달러 대비 3분의 1 수준으로 하락했다.
한 레미콘업계 관계자는 “유연탄 가격이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고, 오른 전기요금은 이로 인해 상쇄될 수 있음에도 지금 가격을 올리는 게 논리적으로 맞지 않다”면서 “하지만 시멘트 수급이 어려운 현실을 감안하면 구매력이 현재는 레미콘보다는 시멘트 쪽에 더 있는 상황이어서 일단은 추이를 지켜보자는 입장”이라고 했다.
원자잿값이 상승하자 이로 인한 건설 현장 셧다운이 더욱 확산될 것이라는 우려가 일고 있다. 통상 시멘트업체가 시멘트 가격을 올리면 레미콘 제조업체들은 통상 레미콘 단가 인상을 건설사에 요구한다. 건설사들이 이를 받아들이지 않으면 파업으로 번지기도 한다.
한 대형 건설사 임원은 “대형 건설사의 경우 통상 연 단위로 시멘트 계약을 하기 때문에 당장은 영향이 덜하지만, 중소 건설사는 당장 큰 문제”라면서 “건설사가 분양가를 인상하는 데에도 한계가 있기 때문에 레미콘 업체에 가격 인하를 요구하게 되고, 결국 파업이 벌어지는 등 셧다운이 일어날 수 있다”고 했다.
실제로 최근 자재를 확보해 두지 않은 신규 사업장을 중심으로 시공계약이 해지되는 등 공사비 갈등은 벌써 현실화하고 있다. 경기 성남시 산성구역재개발조합은 시공 사업단과 공사비 갈등으로 지난달 계약을 해지했고 서울 강남구 대치선경3차아파트 역시 공사 계약 해지로 사업이 중단됐다. 경기 수원시 권선6구역재개발조합도 공사비 갈등으로 일반 분양이 연기된 상황이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시멘트 가격을 올리면 레미콘도 가격을 인상하고, 건설사는 분양가 상한제가 없다고 하더라도 가격을 올리는 데 한계가 있어 이익이 줄어든다”면서 “책임소재가 명확하지 않기에 가격 인상 이슈가 나올 때마다 서로 ‘네 탓 공방’을 하는 것”이라고 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삼성전자, 4분기는 더 추웠다… 영업이익 전망치 줄줄이 하향 조정
- [중견기업 해부] ‘쿠쿠 2세’ 구본학...‘밥솥 명가’ 넘어 중형 가전 도전
- “절체절명 위기”… 韓 배터리·소재, 투자 늦추고 비용 절감 몰두
- 우유 무관세 시대 성큼… 다각화·고급화로 수비 나선 유업계
- [2025 신차] 슈퍼카도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면에
- 금감원 퇴직자 절반 이상 민간 금융사行
- [빈 집 쇼크]① “노인 떠나면 텅 빈다”…부산 주택 열 곳 중 한 곳은 빈 집
- ‘얼죽신’도 부동산 한파에 휘청… 서울 아파트 분양권 ‘마피’ 속출
- [똑똑한 증여] 자녀에게 21억원 빌려주고 세금 안 내는 방법 있다
- 전차·로켓·전투기… 방산 수출 올해 역대 최대 노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