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렵지만 가야 할 길, 사회적 타협[광화문에서/유성열]
유성열 사회부 차장 2023. 6. 7. 23: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은(한국은행) 총재가 왜 이런 얘기를 하느냐고 하는데, 다 관련이 있다." 지난달 25일 한은 금융통화위원회 관련 유튜브 영상에 한동안 눈길이 머물렀다.
무엇보다 그의 발언엔 '도대체 왜 우리는 사회적 타협을 도출해내지 못하는가'에 대한 안타까움이 묻어 있었다.
한국은 이 총재의 진단처럼 사회적 타협의 경험이 거의 없는 사회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은(한국은행) 총재가 왜 이런 얘기를 하느냐고 하는데, 다 관련이 있다.”
지난달 25일 한은 금융통화위원회 관련 유튜브 영상에 한동안 눈길이 머물렀다. 이 영상엔 이창용 한은 총재가 금통위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한 배경과 이유를 설명하다 쏟아낸 발언이 담겨 있었다.
이날 한 기자는 “한국 경제의 저성장 국면이 장기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정부의 연금·노동 개혁 등 구조 개혁 추진 상황에 대해선 어떻게 평가하느냐”고 물었다. 그러자 이 총재는 “우리는 이미 장기 저성장 구조에 와 있다”며 작심한 듯 말을 이어갔다.
그는 “노동·연금·교육을 포함해 구조 개혁이 필요하다. 우리의 문제는 개혁해야 한다는 것을 알지만 이해 당사자 간 사회적 타협이 어려워 진척이 안 된다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우리 경제가 앞으로 잘되느냐는 구조 개혁, 이해 당사자들이 어떻게 사회적으로 타협해 나갈지 해결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며 “거기서 해결하지 못하는 것을 재정·통화 정책으로 해결하라고 하면 나라가 망가지는 지름길”이라고 지적했다.
날이 서 있었지만 명확한 발언이었다. 무엇보다 그의 발언엔 ‘도대체 왜 우리는 사회적 타협을 도출해내지 못하는가’에 대한 안타까움이 묻어 있었다. 사회적 타협과 구조 개혁에 대한 간절한 바람도 녹아 있었다.
한국은 이 총재의 진단처럼 사회적 타협의 경험이 거의 없는 사회다. 1998년 2월 외환위기 당시 양대 노총이 참여해 정리해고 법제화 등에 합의한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사회협약’이 사실상 유일한 ‘대타협’이다. 이 협약은 외환위기 극복에 큰 힘이 됐지만, 1999년 내부 반발에 직면한 민노총이 노사정위원회(현 경제사회노동위원회)를 탈퇴하면서 빛이 바랬다. 2015년 박근혜 정부는 저성과자 해고와 고용안전망 확충을 맞바꾸는 9·15협약을 도출했지만, 정부의 강경 노선에 반발한 한국노총이 파기를 선언하면서 휴지 조각이 됐다.
거야(巨野)의 벽에 막힌 윤석열 정부는 사회적 타협을 거의 포기한 모습이다. 정부와 전문가그룹이 52시간제·중대재해처벌법 개편 등을 추진 중이지만 입법 없는 노동 개혁은 공허한 메아리로 들린다. 여기에 7일 한국노총은 간부 구속에 반발해 경사노위 불참을 선언했다. 연금 문제도 마찬가지다. 윤석열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 국민연금 개혁을 공언했으나 정부는 국회에 논의를 떠넘긴 채 지금까지 정부안조차 만들지 않았다.
사회적 타협은 국민의 일상에도 꼭 필요하다. 지하철 등 대중교통 만성 적자를 해소하고 요금을 적게 올리려면 고령층 무임승차 제도를 개편해야 한다. 서울시는 이를 공론화해 세대 간 타협을 이끌어보려 했다. 하지만 정부는 “지자체가 해결할 문제”라며 뒷짐만 지고 있다. 내년 총선을 앞둔 국회 역시 아무 관심이 없다.
네덜란드와 아일랜드 등 유럽의 강소국들은 일찌감치 사회적 타협을 통해 구조 개혁에 성공하고 다음 세대를 위한 일자리를 만들었다. 우리 사회는 지금 사회적 타협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가. 이 총재의 진심 어린 제안을 모두가 깊이 새겨들을 시점이다.
지난달 25일 한은 금융통화위원회 관련 유튜브 영상에 한동안 눈길이 머물렀다. 이 영상엔 이창용 한은 총재가 금통위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한 배경과 이유를 설명하다 쏟아낸 발언이 담겨 있었다.
이날 한 기자는 “한국 경제의 저성장 국면이 장기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정부의 연금·노동 개혁 등 구조 개혁 추진 상황에 대해선 어떻게 평가하느냐”고 물었다. 그러자 이 총재는 “우리는 이미 장기 저성장 구조에 와 있다”며 작심한 듯 말을 이어갔다.
그는 “노동·연금·교육을 포함해 구조 개혁이 필요하다. 우리의 문제는 개혁해야 한다는 것을 알지만 이해 당사자 간 사회적 타협이 어려워 진척이 안 된다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우리 경제가 앞으로 잘되느냐는 구조 개혁, 이해 당사자들이 어떻게 사회적으로 타협해 나갈지 해결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며 “거기서 해결하지 못하는 것을 재정·통화 정책으로 해결하라고 하면 나라가 망가지는 지름길”이라고 지적했다.
날이 서 있었지만 명확한 발언이었다. 무엇보다 그의 발언엔 ‘도대체 왜 우리는 사회적 타협을 도출해내지 못하는가’에 대한 안타까움이 묻어 있었다. 사회적 타협과 구조 개혁에 대한 간절한 바람도 녹아 있었다.
한국은 이 총재의 진단처럼 사회적 타협의 경험이 거의 없는 사회다. 1998년 2월 외환위기 당시 양대 노총이 참여해 정리해고 법제화 등에 합의한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사회협약’이 사실상 유일한 ‘대타협’이다. 이 협약은 외환위기 극복에 큰 힘이 됐지만, 1999년 내부 반발에 직면한 민노총이 노사정위원회(현 경제사회노동위원회)를 탈퇴하면서 빛이 바랬다. 2015년 박근혜 정부는 저성과자 해고와 고용안전망 확충을 맞바꾸는 9·15협약을 도출했지만, 정부의 강경 노선에 반발한 한국노총이 파기를 선언하면서 휴지 조각이 됐다.
거야(巨野)의 벽에 막힌 윤석열 정부는 사회적 타협을 거의 포기한 모습이다. 정부와 전문가그룹이 52시간제·중대재해처벌법 개편 등을 추진 중이지만 입법 없는 노동 개혁은 공허한 메아리로 들린다. 여기에 7일 한국노총은 간부 구속에 반발해 경사노위 불참을 선언했다. 연금 문제도 마찬가지다. 윤석열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 국민연금 개혁을 공언했으나 정부는 국회에 논의를 떠넘긴 채 지금까지 정부안조차 만들지 않았다.
사회적 타협은 국민의 일상에도 꼭 필요하다. 지하철 등 대중교통 만성 적자를 해소하고 요금을 적게 올리려면 고령층 무임승차 제도를 개편해야 한다. 서울시는 이를 공론화해 세대 간 타협을 이끌어보려 했다. 하지만 정부는 “지자체가 해결할 문제”라며 뒷짐만 지고 있다. 내년 총선을 앞둔 국회 역시 아무 관심이 없다.
네덜란드와 아일랜드 등 유럽의 강소국들은 일찌감치 사회적 타협을 통해 구조 개혁에 성공하고 다음 세대를 위한 일자리를 만들었다. 우리 사회는 지금 사회적 타협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가. 이 총재의 진심 어린 제안을 모두가 깊이 새겨들을 시점이다.
유성열 사회부 차장 ryu@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르포]“화성 온듯 무섭다” 오렌지색 뉴욕…아이들 울고 마스크 동나
- [김순덕 칼럼]‘5공 청산’ 원치 않는 세력이 있다, 아직도
- [단독]선관위 고위간부들, 주말 호텔서 업무추진비 썼다
- 김의철 KBS 사장 “수신료 분리징수 철회하면 사퇴”
- [단독]한미 특수전 수장, 동반 고공강하…“굳건한 연합방위태세 완비해 조국 지킬 것”
- 분당선 수내역 에스컬레이터 역주행…3명 중상·11명 경상
- 국민의힘, ‘천안함 막말’ 권칠승 국회 윤리위 제소
- ‘코인 논란’ 김남국, 與 김성원·장예찬 고소…“허위사실로 악의적 발언”
- [단독]韓, 기술 탈취범 80%가 집유… 美선 ‘경제스파이’ 간주 30년형도
- 車 개소세 감면 조치 이달 말 종료…“자동차 업황 호조 고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