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취재] 대학교수 창업 전성시대 열리나?

이용순 2023. 6. 7. 19:5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BS 대전] [앵커]

앞서 보신 기사와 관련해 취재기자와 좀 더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보도국 이용순 경제팀장 나와 있습니다.

이 기자! 앞선 기사 내용을 추리면 과거에는 교수들이 기업에 기술을 이전하는 데 집중했지만 최근 들어서는 아예 회사를 차리는 추세로 변화가 시작됐다는 거죠.

[기자]

네, 그 바탕에는 정부 차원의 창업 육성 정책이 깔려있습니다.

대학 교수가 기업체 기술 지원을 계속하되, '회사 차리는 것에도 적극 나서라!' 라는 게 정부의 새 방침이랄 수 있습니다.

교수가 기업 기술 개발을 돕고 스타트업 성장을 돕도록 하는 교육부 정책이 링크(LINC), 즉 산학연 협력 사업인데요.

충남대와 공주대, 목원대 등 전국 135개 대학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중소벤처기업부도 교수와 대학원생, 대학생 창업을 염두에 두고, '창업중심대학' 사업을 지난해 시작했습니다.

대학 구성원이 창업에 적극적으로 뛰어들고, 또 대학 밖에 있는 창업 준비자와 스타트업을 다방면으로 돕도록 하는 건데요.

충청권에서는 호서대와 한남대가 이 사업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대전, 세종, 충남, 충북 소재 대학 교수나 학생 가운데 창업을 염두에 두고 있다면 이 두 대학 사업단에 자금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또 대학 구성원이 아니라도 창업했거나 창업을 준비 중인 사람도, 온라인, 오프라인을 막론하고 관련 자금과 컨설팅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앵커]

자신이 개발한 기술을 활용해 창업까지 하는 이런 식의 기술창업이라면 대덕특구도 빼놓을 수 없잖아요.

[기자]

연구기관마다 온도 차가 있겠습니다만, 역시나 근래 들어 창업 흐름이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가장 적극적인 데가 한국생명공학연구원입니다.

생명공학연구원은 지난해부터 창업을 적극 앞세우고 있는데요.

외부 투자자인 벤처 캐피털은 돈을 대고 주식 지분을 갖지만, 연구원 측은 돈이 아닌 기술을 출자해서 일정 지분을 갖는 방식으로 창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벌써 10여 개 연구중심 스타트업이 설립됐습니다.

카이스트 또한 이 방법을 쓰고 있습니다.

앞으로 10년 동안 교수 250명의 창업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요.

교수 또는 대학당국이 기술을 출자하고, 벤처 캐피털은 자금 공급을 통해 지분을 취득하는 방식으로 공동 창업을 진행하는 방식이라서 투자자 물색에도 적극적입니다.

카이스트는 아예 산하 기구 창업원에 변리사 10여 명을 고용해서 교수들의 논문을 분석하고 있는데요.

교수 창업을 염두에 두고 특허청의 특허 출원 대상인지를 들여다보고 있습니다.

[앵커]

카이스트 교수가 몇 명이기 교수 250명이 창업하도록 하겠다는 건가요?

[기자]

대략 650명쯤 됩니다.

비율로 보면, 38%쯤 되는데요.

교수 10명 중 4명꼴로 '회사를 차리라!'는 것이 대학당국의 주문입니다.

[앵커]

그렇다면 카이스트에서 시작한 교수와 학생 창업 장려 정책을, 중소벤처기업부가 모델로 삼아서 전국 대학으로 확산시켜 가고 있다고 봐야 할까요?

[기자]

전체적인 모양새는 그렇습니다.

첨단 기술을 잘 아는 교수가 회사를 차려서 부가가치를 창출하면서 기업을 점점 더 키운다면 일자리가 더 많이 생긴다는 논리입니다.

이런 맥락에서 교수는 물론이거니와 대학원생, 그리고 대학생 창업에 정부 돈을 지원하겠다는 건데요.

하지만, 교수가 창업에 매달릴수록 수업 준비에 소홀할 수 있고, 그러면 학생들은 손해를 보는 것 아니냐 하는 말이 당연히 나옵니다.

이와 관련해 정부는 학내에서 교수를 중심으로 창업문화가 확산하면, 대학생들도 가까이서 창업 과정을 눈여겨볼 테니까 이게 손해만은 아니라는 입장입니다.

또 교수가 창업한 스타트업이 성장하면 우선적으로 제자들을 직원으로 고용할 것이라는 점도 강조합니다.

지난달 한남대가 전국 아홉 번 째로 창업중심대학에 선정됐는데, 로드맵을 보니까 정부 자금과 민간 투자를 포함해 5년 동안 9백억 원을 집행해서 스타트업 4백 개에 대한 발굴과 육성, 일자리 2천 개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비록 이 과정에서 여러 부작용이 드러나겠지만 지역대학이 산업혁신의 거점 역할을 해야 한다는 기조는 바뀌지 않을 것 같습니다.

이용순 기자 (sh6558@kbs.co.kr)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