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밭 귀퉁이 묻었던 4·3 희생자 유해, 75년 만에 가족 품으로"

2023. 6. 7. 17:4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4·3의 광풍이 일었던 시기에는 시신조차 제대로 수습하지 못하는 일이 다반사였습니다.

일가족 12명을 급하게 밭 한귀퉁이에 묻었다는 한을 품고 숨졌던 한 4·3 유족의 후손들이 75년 만에 희생자 시신들을 가족묘지로 모시게 됐습니다.

4·3 당시 희생됐던 일가족의 묘를 이장하는 작업이 시작됐습니다.

[안봉수/4·3희생자 유족 : 우리 밭 귀퉁이에 묘를 만들고 제를 지냈었는데 이제 어엿하게 양지바른 곳으로 모시게 돼서 우리 가족들은 무척 편안한 마음.]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4·3의 광풍이 일었던 시기에는 시신조차 제대로 수습하지 못하는 일이 다반사였습니다. 일가족 12명을 급하게 밭 한귀퉁이에 묻었다는 한을 품고 숨졌던 한 4·3 유족의 후손들이 75년 만에 희생자 시신들을 가족묘지로 모시게 됐습니다.

권민지 기자가 현장 취재했습니다.

<기자>

4·3 당시 희생됐던 일가족의 묘를 이장하는 작업이 시작됐습니다.

한데 모인 후손들이 경건한 마음으로 제를 올립니다.

조심스럽게 묘지로 옮겨지는 유해들.

봉분을 쌓고 다지기를 거듭합니다.

이 가족묘에는 제주의 아픈 역사가 깃들어 있습니다.

이곳 표선면 가시리는 제주 4·3 당시 420여 명의 주민이 목숨을 잃을 정도로 피해가 컸습니다.

9연대 군인들의 대규모 초토화 작전이 전개된 1948년 11월.

가시리 달랭이모루에서는 고 안흥규의 아내와 자녀, 동생과 조카 등 일가족이 한꺼번에 학살됐습니다.

[안봉수/4·3희생자 유족 : 그때 우리 형제분들, 어머니, 고모 해서 12분이 돌아가셨고요.]

사건 보름 만인 새벽, 고 안흥규는 급하게 시신을 수습해 밭 인근에 묻었습니다.

희생자 가운데는 당시 미처 도망가지 못했던 여성들과 아이들이 대부분이었습니다.

심지어 아직 이름도 짓지 못한 젖먹이 아기를 포함해 절반이 영유아와 어린이였습니다.

고 안흥규의 아들인 안봉수 씨는 당시 겨우 목숨을 건졌던 아버지의 뜻을 받들어 75년 만에 선조들의 유해를 가족 묘지로 옮기기로 한 겁니다.

[안봉수/4·3희생자 유족 : 우리 밭 귀퉁이에 묘를 만들고 제를 지냈었는데 이제 어엿하게 양지바른 곳으로 모시게 돼서 우리 가족들은 무척 편안한 마음….]

안 씨 일가 희생자들이 75년 만에 다시 세상 밖으로 나와 가족들과 함께 깊이 잠들게 된 가운데, 유해조차 찾지 못하고 있는 수 천 명의 희생자를 찾는 일은 여전히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영상취재 : 고승한)

JIBS 권민지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