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우물 안 개구리”…뭉쳐야 생존 가능하다는 이 분야

나현준 기자(rhj7779@mk.co.kr) 2023. 6. 7. 17:2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현석 베스핀글로벌 본부장 인터뷰
글로벌 보안 트랜드는 ‘SaaS’
국내업체, 생태계 전환 시급
“국내 보안업체는 여전히 시스템통합(SI) 시대에 머물러 있다. 해외에 판매할 서비스형소프트웨어(SaaS) 보안솔루션을 적극적으로 육성해야 한다.”

최근 강남역 인근 베스핀글로벌 본사서 만난 정현석 베스핀글로벌 보안사업본부장(사진)은 클라우드 시대에 맞는 국내 보안업계의 변화를 촉구했다. 기업 내부망과 외부망을 분리하는 SI서, 언제어디서든지 접속이 가능한 클라우드로 기업IT 인프라가 급속히 바뀌고 있는데, 여전히 국내 보안업체는 클라우드에 소프트웨어를 얹는 SaaS가 아니라 기존의 SI 기반 보안서비스를 고수하고 있다는 것이다.

베스핀글로벌은 국내 클라우드관리기업(MSP)에서 메가존클라우드 이어 2위 업체로, 클라우드 관리(비용절감 및 보안)와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클라우드 기반 SaaS로 만들어 판매하고 있다. 보안 SaaS 국내 선도주자 역할을 하고 있는 베스핀글로벌은 올해 출시한 보안 SaaS를 기반으로 벌써 30여 고객사를 확보했으며 곧 해외업체와의 수출 계약을 앞두고 있다.

정 본부장은 “보안분야서 가장 권위있는 RSA 컨퍼런스(샌프란시스코서 지난 5월 개최)를 다녀와보니, 팔로알토 크라우드스트라이크 등 현지 유망 보안기업들이 너도나도 SaaS 솔루션을 내놓으며 보안SaaS 생태계를 확장하고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후발주자인 우리 보안업체들은 아직 글로벌 시야로 봤을 땐 우물안 개구리다. 이번 RSA 주제인 ‘Strong Together(함께할수록 강해진다)’를 벤치마킹해 우리 보안업체도 SaaS서비스를 내놓으며 함께 뭉쳐야 살아남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전세계 클라우드 시장은 오는 2027년 약 1200조원까지 성장할 전망이다. 언제 어디서나 접속이 가능한 클라우드 특성상 보안 취약점이 나날이 늘고 있어서, 이와 관련된 특화된 보안 SaaS가 우후죽순 생겨나고 있다. 미국 이스라엘 업체들이 보안SaaS 생태계를 장악하고 있는데, 후발주자인 우리도 적극적으로 SaaS로 전환해서 기회를 찾아야한다는게 정 본부장 생각이다.

베스핀글로벌의 경우 수년간 축적한 클라우드관리 노하우를 기반으로 △계정권한 관리(직급에 맞게 접근권한 설정) △계정접속시 멀티인증(모바일·PC 동시 인증) △회사에 맞는 보안정책 설계 등을 SaaS로 만들었다. 각 기업 보안담당자가 손쉽게 클라우드 보안을 신경쓸 수 있도록 만들어 최근 인기를 얻고 있다.

정 본부장은 “베스핀글로벌은 최신 보안 트랜드를 기반으로 600여개의 보안정책을 가지고 있다”며 “기업규모, 업종별로 어떤 보안정책이 더 필요한지를 알고 있기 때문에 고객사에 맞는 맞춤형 보안정책을 설계할 수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