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대 교수 "후쿠시마 오염수 희석해서 마시겠다" 나선 까닭은?

김승준 기자 2023. 6. 7. 16:5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30년 가까이 방사성의약품학을 강의한 약학대학 교수가 "내가 해도 좋고 누구라도 방류 농도의 희석수를 직접 마셔 국민의 식탁을 안심시키는 일이 절실히 필요한 때"라고 주장하고 나섰다.

박 교수는 "(과도한 오염수 공포로) 우리나라 어민들이나 요식업 종사자분들이 당장 힘들게 된다"며 "어느 누구라도 방류 농도의 희석수를 직접 마셔 국민의 식탁을 안심시키는 일이 절실히 필요한 때"라고 강조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박일영 충북대 약대교수 "어민·요식업 피해 우려…일본에 자료 요구해야"
최근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시기가 임박하면서 수산물 오염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자 소금 가격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천일염 20㎏짜리 한 포대 산지 가격은 약 2만 원대에 거래되고 있다. 올해 들어 본격적인 생산에 들어간 지난 4월 초 대비 40% 오른 셈이다. 사진은 이날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판매되는 소금. 2023.6.6/뉴스1 ⓒ News1 구윤성 기자

(서울=뉴스1) 김승준 기자 = 30년 가까이 방사성의약품학을 강의한 약학대학 교수가 "내가 해도 좋고 누구라도 방류 농도의 희석수를 직접 마셔 국민의 식탁을 안심시키는 일이 절실히 필요한 때"라고 주장하고 나섰다.

7일 과학계에 따르면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에 박일영 충북대학교 약학대학 교수가 "나는 처리된 후쿠시마 오염수를 가져오면 방류농도로 희석해서 마시겠다"는 글을 3일에 게시했다.

박 교수는 "병원의 핵의학과에서 사용되는 방사성의약품의 특성과 인체에 대한 영향을 30년 가까이 '방사성의약품학'이란 과목으로 공부하며 강의해 왔다"며 "이 글을 쓰는 이유는 후쿠시마 오염수의 방류를 막을 수 있는 실질적 수단도 보이지 않는 이 소모적 논란이 국민의 공포만 키워가고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박 교수의 설명에 따르면 일본 정부가 제시한 방류농도인 리터당 1500 Bq로 희석한 물 1리터를 마실 때 그 속에 들어있는 삼중수소로 인해 내가 받는 위험도를 계산해 보면 실효선량은 0.000027 mSv(밀리시버트)다. 이는 바나나 1개를 먹을 때 칼륨 동위원소로 받는 실효선량의 4분의 1이다.

이어 그는 "일본 정부의 발표대로 ALPS로 기타 핵종들을 제거한 처리수를 1500 Bq/L가 되도록 약 487배의 상수에 희석한 물이 있다면 마실 수 있다고 판단된다. 나는 한두 컵 주저 없이 마시겠다"고 강조했다.

<뉴스1>과의 통화에서 박 교수는 정부 및 정치권의 책임 있는 대응을 주문했다.

그는 "정부가 우리 국민들이 이렇게 이야기하니까 (일본에) 데이터와 시료를 받아와 직접 분석해 보겠다고 강하게 나왔어야 한다. 그래야 국민이 그 데이터를 신뢰할 수 있다"며 "야당의 경우에도 문제 있다고만 할 것이 아니라 (문제라고 생각한다면) 실질적으로 막을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박 교수는 일본과 도쿄 전력에는 투명한 자료 공개와 주변국의 이중 요청시 허용이 필요하다고 봤다.

박 교수는 "(과도한 오염수 공포로) 우리나라 어민들이나 요식업 종사자분들이 당장 힘들게 된다"며 "어느 누구라도 방류 농도의 희석수를 직접 마셔 국민의 식탁을 안심시키는 일이 절실히 필요한 때"라고 강조했다.

seungjun241@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