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너지는 공공의료 확충 시급” 보건의료노조 인천부천본부 촉구

김지혜 기자 2023. 6. 7. 16:52
음성재생 설정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7일 오전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인천부천지역본부 노조원들이 인천시청 현관 앞에서 '보건의료인력확충과 지역공공의료 강화'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김지혜기자

 

“인천의료원은 2년 전부터 신장 내과 전문의를 구하지 못해 투석 진료를 못하고 있습니다.”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인천·부천지역본부가 7일 인천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공공의료 확충을 위한 의대 정원 확대와 감염병전담병원에 대한 지원을 촉구했다. 

이날 열린 기자회견에서 이주승 인천의료원지부장은 “인천의료원의 현재 병상 가동률은 고작 40%다”며 “코로나19가 발병할 때는 지방의료원 없이는 안 될 것 같았지만, 이제 외면 당하고 있다”고 했다. 이 지부장은 “신장 내과 전문의를 구할 수가 없어 투석을 못하고 있다”며 “의료원이 의사를 구하려고 노력을 다하고 있지만, 열악한 지방의료원사정과 부족한 의사정원으로는 한계”라고 했다.

현재 전국 의대에 입학하는 신입생 정원은 3천58명이다. 정부는 이를 3570명으로 512명 늘리는 방안을 확정했으나, 의협 등 의사단체들이 반발할 것으로 보인다. 이 지부장은 “부족한 의료진 확보를 위해 의대 정원을 늘리고, 지방의료원에 대한 지원을 해야 한다”며 “지난해 5월부터 6개월 동안만 이뤄진 코로나19 전담 병원에 대한 지원을 늘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원종인 보건의료노조 인천부천지역본부장은 “지역의 의료체계도 붕괴하고 있다”며 “의료를 시장에 맡기다 보니 필수의료분야에서 의료체계를 구축하기 쉽지 않다”고 했다. 이어 “공공병원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지원 요구는 묵살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감염병전담병원 역할을 하던 곳들은 병상가동율이 40%를 밑돌며 일상회복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임시방편 식의 공공병원 지원으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또 이날 노조는 공공의료 확충과 함께 의사인력 부족으로 인한 진료보조인력인 PA가 만연해 있다는 점도 지적했다. 

임희연 부천성모병원 사무장은 “의료인력이 부족하다보니 간호사가 의사가 하는 일을 대신하는 불법의료행위도 이뤄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고 했다. 이어 “간호사는 매일 뽑아도, 또 다시 나가버리는 악순환에 조직원들은 힘을 잃는다”고 했다. 

김지혜 기자 kjh@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