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생·전공의 10명 중 7명 “공보의 싫다, 현역 갈 것”

민서영 기자 2023. 6. 7. 11:2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98% “장기복무 부담”
게티이미지

의과대학 재학생(의대생)과 전공의 10명 중 7명은 공중보건의(공보의)나 군의관으로 군 복무를 할 생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37~38개월인 공보의·군의관 복무기간에 큰 부담을 느낀다며 현역 복무를 선호한다고 답했다.

대한공중보건의사협의(대공협)와 대한전공의협의회, 젊은의사협의체 권익위원회는 지난달 18~31일 병역 의무를 이행하지 않은 전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과 전공의(인턴·레지던트) 1395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를 7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를 보면, 응답자의 74.7%(1042명)가 군의관이나 공보의가 아닌 일반 병사로 입대하겠다고 밝혔다. 일반 병 입대 선호 이유를 묻는 문항엔 98.2%(복수 응답)가 ‘장기간 복무에 대한 부담’이라고 답했다. 개선되지 않는 처우(65.4%), 불합리한 병역 분류(30.7%)가 뒤를 이었다.

응답자의 92.2%는 주변에 일반 병사로 입대한 의료인이 있다고 답했다. ‘후배에게 현역(일반병) 복무를 권유할 의사가 있느냐’는 질문엔 85.6%가 ‘그렇다’고 답했다.

현재 일반 병의 복무 기간은 18개월이다. 공보의는 1979년 이후 37개월을 유지하고 있다. 군의관은 38개월이다. 일반 병사 월급이 130만원(육군병장 기준)인데 공보의는 206만원(일반의 기본급 기준) 수준이다. 윤석열 정부는 2025년까지 병사 월급(지원금 포함)을 205만원으로 올릴 계획이라 차이는 더 줄어든다.

젊은 의사들이 일반병 복무를 선호하면서 의과 공보의 수는 점차 줄고 있다. 신규 편입 의과 공중보건의 수는 2017년 814명에서 2023년 450명으로 6년 만에 45% 감소했다.

신정환 대공협 회장은 “현역병의 처우는 복무기간 및 급여 등 여러 방면에서 지속해서 개선됐지만 공보의와 군의관의 처우는 수십 년째 제자리”라며 “복무기간을 포함해 근본적인 처우와 환경의 개선 없이는 공보의와 군의관의 숫자가 지속해서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민서영 기자 mins@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