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화두는 ‘한국의 인태 전략’… 中 역할 논의는 ‘시들’ [한반도 인사이트]

홍주형 2023. 6. 6. 19:0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제주포럼으로 본 국제 정세
48개 세션 중 11개 세션 ‘인태’ 주제
경제·안보·아세안 미래 등과 연계
한류·AI 챗GPT·기후변화도 주목
美·中 대사 나란히 포럼 참석 ‘긴장’
골드버그 “한·미 포괄적 동맹 확장”
싱 “美 가치관 명목 줄세우기” 비판
지난달 31일부터 2일까지 제주 서귀포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2023 평화와 번영을 위한 제주포럼’이 열렸다. 평화·안보문제 전문 포럼으로 2001년 출범한 제주포럼에는 전 세계에서 토론자들이 초청되는데, 그해 한반도와 세계 정세 상황을 반영하는 경향이 짙다.
‘인도태평양 지역의 지속가능한 평화와 번영을 위한 협력’이라는 부제가 붙은 올해 포럼에서 가장 많이 다뤄진 주제는 단연 지난해 12월 발표된 한국의 인도태평양 전략이었다. 총 48개 세션 중 11개 세션 이름에 직접적으로 ‘인도태평양’이라는 단어가 들어갔다. 간접적으로 인도태평양이 다뤄진 세션까지 더하면 더 많다. 상반기 한·미 및 한·일 정상회담을 열고 연이어 자유주의 연대와 밀착하는 윤석열정부의 외교 기조와 맞아떨어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상대적으로 한·중 관계나 한·중·일 협력을 이야기하는 세션은 적었고, 관심도 적었다.
지난 2일 싱하이밍 주한 중국대사가 ‘지속가능한 평화를 위한 동북아(한·중·일) 청년들의 목소리’ 세션에 참석해 축사를 하는 모습. 서귀포=홍주형 기자
◆싱하이밍 中 대사의 날선 발언

올해 제주포럼에는 필립 골드버그 주한 미국대사와 싱하이밍(邢海明) 주한 중국대사가 다녀갔다. 현 시점 한반도 주변에서 가장 첨예한 갈등을 만들고 있는 미·중 대사가 나란히 포럼을 찾아 긴장감을 더한 것이다.

골드버그 대사는 1일 ‘한·미동맹 70주년 특별세션’으로 마련된 ‘글로벌 포괄적 전략동맹: 파트너십의 확대’에서 기조연설을 통해 “주로 안보에 초점을 뒀던 동맹에서 포괄적인 글로벌 전략 동맹으로 변화하는 것이 주목할 만한 확장”이라고 강조했다. 한·미 동맹이 공급망, 기술 등 다양한 분야로 뻗어나가는 것에 초점을 둔 것이다. 미국이 주창하는 ‘가치연대’를 염두에 둔 발언이다.

싱 대사는 다음날인 2일 바로 반격했다. 그는 ‘지속가능한 평화를 위한 동북아(한·중·일) 청년들의 목소리’ 세션 축사에서 “미국이 가치관이라는 명목으로 특정 국가를 배척하는 ‘소그룹’을 만들고 다른 국가에 줄 서기를 강요하고 있다”고 작심 발언을 쏟아냈다. 한·중·일 청년들이 모이는 공공외교 세션에서 다소 어울리지 않게 한국을 향해 가시 돋친 발언을 한 것을 두고 ‘격에 맞지 않는다’는 비판도 나왔다.

한반도 문제를 보는 두 대사의 시각은 확연히 달랐다. 골드버그 대사는 지난달 31일 북한 정찰위성 발사를 비판했지만 싱 대사는 “현재 한반도의 긴장 국면이 소용돌이치듯 고조되고 있다”며 “관련국들은 이 기회를 틈타 긴장을 부추기지 말고, 하루속히 긴장을 완화시킬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외교적 언어를 사용했지만 한·미·일이 한반도 긴장을 부추긴다는 뜻이다. 북한이 정찰위성을 발사한 직후였으나, 싱 대사는 원론적 입장인 ‘쌍궤병진’(雙軌竝進: 비핵화 프로세스와 평화협정의 동시 진행)만 언급했다.
◆인태전략·美 관련 세션 ‘인기’

올해 제주포럼에 참석한 한 외교가 인사는 “확실히 예전보다 중국에서 온 손님이 적다”고 말했다. 한·중 양자관계를 다룬 세션은 국립외교원이 2일 주최한 ‘공동 번영을 위한 한·중 전략협력: 기회와 과제’였는데 이 자리에 참석한 퍄오둥쉰 옌볜대 교수, 둥샹룽 중국사회과학원 교수 정도가 중국 측 연사로 제주포럼에 참석했다. 이 세션은 싱 대사도 잠시 찾아 플로어를 지켰다.

반면 가장 큰 관심을 모은 세션은 골드버그 대사가 기조연설을 한 ‘글로벌 포괄적 전략동맹: 파트너십의 확대’였다. 특별세션이었던 이 자리는 다른 세션에서 발언한 연사들도 찾는 등 관심이 집중됐다. 이 자리에선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에서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선임부보좌관으로 최선희 북한 외무상 등을 접촉한 앨리스 후커 미국 세계전략연구소 부회장이 토론을 맡아 “궁극적 목표는 (우리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라는 목표에 머물러 있어야 한다는 것”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올해 제주포럼의 부제 자체가 인도태평양 전략과 관계된 만큼 ‘인도태평양’이라는 단어가 제목에서 사용된 세션 주제도 다양했다. 외교부와 제주평화연구원이 주관한 특별세션 ‘인도태평양 시대: 자유·평화·번영을 위한 협력과 비전’, ‘인도태평양 지역의 글로벌 협력 확대’ 외에도 동아시아재단 등이 주관한 ‘전략적 포지셔닝의 딜레마: 인도태평양 전략과 아세안의 미래’, 국립외교원이 주관한 ‘인도태평양 지역의 상호의존성과 경제안보: 양립가능한가’ 등 다양한 주제를 인도태평양 전략과 연계시키는 시도가 있었다. 제주포럼에 참석한 한 전직 외교관은 “인태전략을 제외하고는 외교정책을 설명하기 어려워진 시대를 반영한다”고 말했다.
필립 골드버그 주한 미국대사(왼쪽)가 지난 1일 제주 서귀포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3 평화와 번영을 위한 제주포럼’의 한·미 동맹 70주년 기념 특별세션 ‘글로벌 포괄적 전략동맹: 파트너십의 확대’에 참석해 있다. 오른쪽은 앨리슨 후커 미국 세계전략연구소 부회장. 서귀포=홍주형 기자
◆한류, AI, 기후변화도 다뤄

제주포럼이 한반도와 관련된 다양한 의제를 다루는 만큼 외교가나 국제무대에서 새롭게 주목받는 주제들도 다수 다뤄졌다. 손지애 외교부 문화협력대사가 좌장을 맡은 ‘주한 방송인의 눈으로 본 한류와 한국’ 세션에서는 마크 테토, 럭키 등 방송을 통해 얼굴을 알린 외국인이 참석해 공공외교 자산으로 주목받고 있는 한류와 관련한 토론을 진행해 눈길을 끌었다. 생성형 인공지능(AI) 챗GPT 등 AI 및 우주기술과 관련한 세션은 이 문제들이 산업계뿐 아니라 외교가에서도 주목받는 이슈인 만큼 제주포럼에서도 인기 주제였다. 제주 해녀 문화 등 토속적인 지역 문화를 활용해 기후변화와 환경오염을 경고하는 스토리텔링 기법의 새로운 세션이 시도되기도 했다.

서귀포=홍주형 기자 jhh@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