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24시] 중국에 잠식된 서빙로봇 시장

최재원 기자(himiso4@mk.co.kr) 2023. 6. 6. 17:2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3년 전 서울 성북구의 한 고깃집에서 서빙로봇을 처음 보고 무척 신기했던 기억이 떠오른다. 서빙로봇이 커다란 접시를 한 번에 5~6개 담아오자 식당 직원이 테이블에 내려놓았다. 직원은 "로봇이 있으니 한결 힘이 덜 들어 좋다"고 말했다.

요즘 외식업을 하는 자영업자에게 가장 큰 고민은 심각한 인력난이다. 식당에서 일하겠다는 사람을 찾기가 갈수록 어려운 데다 설사 구한다고 해도 월급 300만원 이상을 줘야 할 정도로 비싼 인건비도 부담이다. 이런 이유로 최근 서빙로봇은 식당은 물론 카페와 스크린골프장 등으로 빠르게 보급되고 있다. 지난해 말 5000대 수준이던 서빙로봇은 올해 말까지 1만대를 넘어설 전망이다. 렌탈 방식으로 한 달에 30만~50만원이면 쓸 수 있는 서빙로봇은 외식업 점주에게 꼭 필요한 보조직원으로 자리 잡았다는 평가다.

다만 현재 국내에 도입된 서빙로봇의 60~70%가 중국산이란 점은 아쉽다. 서빙로봇 한 대에 일괄 구매가격 기준은 싸게는 1300만원, 비싸게는 2000만원이 넘는다. 정부는 자영업자 지원 차원에서 서빙로봇이나 테이블오더 등 스마트기기 구매대금의 70%를 보조금으로 지급한다. 이렇게 쓰이는 정부 예산이 연간 약 300억원인데, 그 돈의 상당액이 중국 로봇회사와 유통·관리회사의 주머니로 고스란히 들어가고 있는 것이다.

중국산 서빙로봇이 국내 외식 시장을 잠식한 것은 우리 기업의 서빙로봇 개발이 중국보다 한발 늦었기 때문이다. 국산 서빙로봇을 만드는 한 기업 관계자도 "우리 서빙로봇의 기술 잠재력이 높지만, 현재 상용화된 기술 수준만 따졌을 때 중국산이 국산 로봇에 비해 앞선 것은 맞는다"고 인정했다. 우리 기업의 기술 개발 노력이 절실한 대목이다.

국내 기업의 기술 개발과 성장을 위해서는 정부 차원의 좀 더 세심한 노력도 요구된다. 서빙로봇 구매 보조금 지급 정책을 자영업자 지원과 더불어 국내 로봇산업 육성까지 돕는 일거양득 차원에서 가다듬을 필요가 있다. 패밀리레스토랑 등 대규모 음식점을 운영하는 외식 기업부터 국산 로봇 도입에 앞장서길 바란다.

[최재원 컨슈머마켓부 choi.jaewon@mk.co.kr]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