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ismic changes in the intermediary goods trade (KOR)

2023. 6. 6. 05:3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무역수지가 15개월 내리 적자다.

중국 요인이 크다.

여기저기서 중국발 경보가 울린다.

지난 30여 년 중국 성장은 우리 경제에 축복이었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The changes of the intermediate goods trade mechanism are demanding fundamental solutions for 10, 20 years ahead.

HAN WOO-DUKThe author is a senior reporter at China Lab.

The trade balance has been in deficit for 15 months straight. Trade with China is the major factor. Exports to China, which used to make up about 30 percent of our exports, have shrunk for the past 12 consecutive months. Alarms from China are ringing here and there.

Looking back, it was sweet. China’s growth over the past 30 years has been a blessing to the Koran economy. The windfall came from the intermediate trade of parts and semi-finished products. When parts were made in Korea and exported to China, Chinese factories assembled them to make finished products.

The finished products were labeled as “Made in China” and sold to the United States at low prices. It was a win-win strategy for Korea, China, and the United States.

There were two underlying premises for the intermediate goods trade with China. The first is the global value chain (GVC). With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in the late 1980s, U.S.-centered globalism spread. After companies sought the most optimal environment and built production and distribution networks, densely intertwined GVCs were established. China joined the trend and entered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in 2001. It was the birth of China as the “factory of the world.” Korea served the role of providing intermediate goods to that factory.

The second premise is technological superiority. Intermediate goods use a higher level of technology than finished products. China was also lucky to be able to bring high-tech parts from its neighbor. Korean companies invested money earned in China back to technology, and the industry has become advanced.

But the sweet times are passing as the two premises are being broken. With the U.S.-China trade war in full swing, GVCs are distorted or disintegrated. China is eager to build a “red supply chain” to complete all production processes domestically. The room for Korean intermediate goods to penetrate is getting smaller.

Now, the technological advantage is also shaking. Hyundai Motor’s Beijing plant once took about 80 percent of all parts from Korea. Now, all parts are sourced from China. Instead, Korea has to import parts from China. Industry sources say, “Nothing is left except for semiconductors.”

The solution must also be found from GVCs and technology. Economic diplomacy should focus on securing GVCs that cross between the U.S. and China. How can security be possible without economy?

Internally, we need to draft new technology and industrial policies for Korean intermediate goods and technology to be appealing to China again. We also need to build multiple layers of “semiconductor iron fortresses” to withstand China’s offensive.

The trade deficit could turn into a surplus even next month. But we should not be in joy instantly. The changes of the intermediate goods trade mechanism are demanding fundamental solutions for 10, 20 years ahead.

“대중 교역, 이제 남은 건 반도체뿐?”한우덕 차이나랩 선임기자

무역수지가 15개월 내리 적자다. 중국 요인이 크다. 우리 수출의 약 30%를 소화하던 대중 수출이 지난 12개월 연속 쪼그라들었다. 여기저기서 중국발 경보가 울린다.

돌이켜보면, 달콤했다. 지난 30여 년 중국 성장은 우리 경제에 축복이었다. ‘중간재(부품, 반제품) 교역’ 덕택이다. 한국에서 부품을 만들어 중국에 수출하면, 중국 공장은 그걸 조립해 완제품을 만들었다. 완제품은 ‘Made in China’ 마크가 찍혀 싼 값에 미국으로 팔려 나갔다. 한국도, 중국도, 미국도 윈윈이다.

대중 중간재 교역에는 두 가지 전제가 깔렸다. 첫째 GVC(글로벌 밸류 체인)다. 1980년대 말 소련의 붕괴로 세계는 미국 중심의 글로벌리즘(세계화)이 확산됐다. 기업은 최적의 환경을 찾아 생산-유통 네트워크를 깔았고, 촘촘한 GVC가 구축된다. 중국은 그 흐름에 동참했고, 2001년 WTO(세계무역기구)에 가입했다. '세계 공장' 중국의 탄생이다. 한국은 그 공장에 중간재를 공급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둘째 기술 우위다. 중간재는 완제품보다 기술 수준이 높다. 중국은 이웃에서 고기술 부품을 가져올 수 있었으니 역시 행운이었다. 한국 기업은 중국에서 번 돈을 다시 기술에 투자했고, 산업은 고도화됐다.

그러나 달콤했던 시기는 지나가고 있다. 두 전제가 깨지고 있기 때문이다. 미·중무역 전쟁으로 GVC는 왜곡되거나 와해하는 중이다. 중국은 모든 생산 과정을 국내에서 완결하는 ‘홍색 공급망’ 구축에 열심이다. 한국 중간재가 파고들 틈은 점점 좁아진다.

기술 우위도 흔들린다. 현대자동차 베이징 공장은 한때 전체 부품의 약 80%를 한국에서 가져갔다. 이젠 모든 부품을 중국에서 조달한다. 거꾸로 우리가 중국 부품을 수입해야 할 판이다. 업계에서는 “이제 반도체밖에 남지 않았다”라는 말이 나온다.

타개책 역시 GVC와 기술에서 찾아야 한다. 미국과 중국을 넘나드는 GVC 확보에 경제외교의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 경제 없는 안보가 어찌 가능하겠는가. 안으로는 우리 중간재 기술이 다시 중국에 먹힐 수 있도록 기술·산업 정책을 짜야 한다. 중국의 공세에도 굳건하게 버틸 수 있는 ‘반도체 철옹성’을 몇 개 더 쌓아야 한다.

다음 달이라도 무역 적자는 흑자로 반전될 수 있다. 그렇다고 일희일비할 일이 아니다. ‘중간재 교역’의 메커니즘 변화는 우리에게 10년, 20년을 내다본 근본 대책을 요구하고 있다.

Copyright © 코리아중앙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