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에 1위 자리 내주나... 카톡·네이버 아성 흔들
국내 모바일 앱 시장에서 카카오톡이 3년 간 지켜온 1위 자리를 유튜브에 내줄 위기에 처했다.
5일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 앱 1위인 카카오톡의 앱 월간활성사용자수(MAU)는 4145만8675명으로 2위인 유튜브(4095만1188명)와의 격차가 50만7487명까지 좁혀졌다. 둘의 차이가 50만명대로 떨어진 건 이번이 처음이다. 그 뒤를 네이버(3888만5316명)와 크롬(3141만924명)이 이었다.
업계에선 올해 하반기 유튜브가 카톡의 MAU를 추월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지난 3년간 국내 플랫폼 기준 1위 자리를 지켜온 카카오톡과 2위인 유튜브와의 MAU 차이가 꾸준히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두 앱의 MAU차이는 2020년 5월 298만7225명에서 2021년 5월 227만2538명, 지난해 153만494명으로 줄어든 뒤 올해 50만여 명대까지 크게 감소했다.
월간총사용시간에서는 유튜브가 이미 카톡을 앞지른 지 오래다. 지난달 기준 앱 총 사용시간은 유튜브가 15억2223만시간으로 카톡(5억3654시간)보다 약 3배 많다. 업계 관계자는 “10대를 중심으로 영상과 이미지를 활용한 플랫폼을 선호하면서 앱 이용 자체도 네이버같은 활자 중심의 검색 엔진에서 영상 플랫폼으로 옮겨가는 것”이라고 말했다.
모바일 앱 시장 뿐 아니라 웹 검색 점유율에서도 인공지능(AI)을 탑재한 구글이 네이버를 빠르게 추격하고 있다. 웹사이트 분석 업체 인터넷트렌드에 따르면 웹 MAU 1위인 네이버의 검색 점유율은 지난 1월 64.5%에서 2월 59.6%로 처음 60% 아래로 떨어진 뒤 3월 57.3%, 4월 55.9%, 5월 55.7%로 매달 떨어지고 있다. 반면 2위 구글의 점유율은 같은 기간 26.5%에서 34.8%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거제 242㎜ 물폭탄… 남부 기습 폭우에 도로 곳곳 잠겼다
- 가명으로 정체 숨긴 이 나라 대통령… 철인3종 출전해 ‘깜짝 2등’
- [Minute to Read] Heat wave drives up agricultural prices in S. Korea
- [더 한장] 기록적 폭염 속, 삶을 지키는 물과 땀방울
- “물 바꾸면 요리가 달라진다” 제주삼다수, 쿠킹 클래스 개최
- 국내 첫 ‘자율주행 마을버스’, 동작구서 오늘부터 달린다
- 이순희 강북구청장 “‘백맥축제’, ‘강북형 웰니스 관광’ 추진으로 지역경제 활성화 할 것
- 그림으로 남긴 파리의 감동··· 93세 화가 ‘미셸 들라크루아 회고전’
- 숲속 휴양 즐기러 장시간 운전? 노원구 ‘수락휴(休)로 오세요
- 은평구 ‘서울형 키즈카페’ 수색동에 오픈... 돌봄 인프라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