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간호사 절반은 1년 안에 병원 떠났다”
2021년 신규 간호사의 절반 이상은 1년 이내에 병원을 그만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사의 평균 근무연수는 일반 직장인의 절반 수준이었다.
대한간호협회가 5일 병원간호사회의 ‘병원간호인력 배치현황 실태조사’를 분석해 공개한 자료를 보면 신규 간호사의 1년 이내 사직률은 2014년 28.7%, 2016년 35.3%, 2018년 42.7%, 2020년 47.4%를 거쳐 2021년 52.8%를 기록했다.
사직 이유로는 업무부적응이 32.6%로 가장 많았다. 이어 타병원으로의 이동(12.5%), 질병 및 신체적 이유(12.3%), 타직종으로의 전환(7.7%) 순이었다.
실태조사의 최근 5년간(2018~2022년) 자료를 분석해보니 간호사 평균 근무연수는 7년8개월로 일반 직장인 평균 근무연수(15년2개월)의 절반 수준으로 나타났다. 사직자 가운데 45.2%는 간호사 본래 업무범위 이상의 과도한 일로 ‘사직’을 선택했다.
아예 간호사를 그만두고 현장을 떠나는 탈간호사 비율도 2017년 9%, 2019년 10.2%, 2021년 12.1%로 매해 늘고 있다.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중 1년 이상~3년 미만인 경력자가 22.6%로 가장 많았다. 이어 1년 미만인 경력자 15.5%, 3년 이상~5년 미만인 경력자는 14%였다. 전체 간호사 중 절반(52.1%)이 5년 미만의 경력 간호사인 셈이다. 이는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내 숙련 간호사가 부족한 실태를 드러낸다.
지난달 30일 국회에서 간호법 제정안이 폐기되자 간협은 준법투쟁 및 간호법 재제정을 추진하고 있다. 간협은 오는 7일 ‘간호법 관련 준법투쟁 2차 진행결과 발표’ 기자회견을 연다. 이 자리에서 준법투쟁하는 현장 간호사의 애로사항과 의료기관 근로기준법 위반 사례, 향후 준법투쟁 진행 계획 등을 발표할 예정이다.
https://www.khan.co.kr/national/health-welfare/article/202305241046001
https://www.khan.co.kr/national/health-welfare/article/202305301650011
김향미 기자 sokhm@kyunghyang.com
ⓒ 경향신문 & 경향닷컴(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경향시소] 의사 정원을 늘릴 수밖에 없는 이유
- 간호법도 결국 폐기…여야 갈등, 극한으로
- [사설] 정치 실종이 폐기한 간호법, ‘환자 중심 의료입법’ 서둘러야
- 간협 “62만 간호인 ‘저항권’ 발동…간호법 재제정 추진”
- PA 간호사들 “출근해 하는 모든 일이 불법진료”
- “출근해서 하는 모든 일이 불법진료”···간호사 ‘자진신고’만 1만건
- 이재명 ‘부결 호소’ 역효과만 불렀나···민주당 의원 39명 이탈 추정
- 의정부 호원초 교사, 사망 전 학부모에 400만원 송금했다
- [스경X이슈] “아리송해요” 서인영 본인도 의심했던 결혼생활···파경설에 설왕설래
- 북한 최선희, 1300만원짜리 구찌백... 현송월은 만원짜리 중국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