욱일기와 제국군, 자위대

박병수 2023. 6. 5. 15: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일본 메이지 정부가 1870년 육군 군기로 채택한 욱일기는 해를 상징하는 붉은 원에서 햇살 열여섯 줄기가 뻗어 나가는 모양을 하고 있다.

육상 자위대기는 빛줄기를 16개에서 8개로 줄이고 테두리에 진노란 무늬를 둘러 옛 욱일기와 조금 달라졌지만, 해상 자위대는 옛 일본해군의 욱일기를 거의 그대로 다시 군기로 쓰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유레카]

일본 메이지 정부가 1870년 육군 군기로 채택한 욱일기는 해를 상징하는 붉은 원에서 햇살 열여섯 줄기가 뻗어 나가는 모양을 하고 있다. 햇살이 16줄기인 건 일본 왕실의 상징인 국화 꽃잎이 16개인 것과 무관치 않은 것 같다. 욱일기는 1899년 해군기로도 채택됐는데, 해군 욱일기는 육군기와 달리 붉은 원이 살짝 왼쪽으로 치우쳐 있다.

일본 제국군은 1894년 이 욱일기를 앞세우고 출병해 ‘반외세 반봉건’을 외친 동학농민을 무참히 학살했고, 청일전쟁·러일전쟁을 거쳐 식민지배의 길을 닦았다. 욱일기는 또 일본군이 1931년 만주사변, 1937년 루거우차오 사건을 거쳐 중국으로 진출하고, 1941년 진주만 기습을 통해 미국과 전면전에 나설 때도 함께했다.

그래서 욱일기가 일본인에게 욱일승천하는 일본의 기상을 나타낼지 모르지만, 한국과 중국 등 동아시아에는 일본 제국주의의 야만적이고 잔혹했던 침략의 상징이다. 또 일본인에겐 “자랑스러운 전통 문양에서 유래한 것”일지 모르지만, 우리에겐 다시 보고 싶지 않은 악몽이다.

이들 욱일기는 1945년 일제 패전과 함께 사라졌지만, 9년 뒤 일본 자위대 창설과 함께 되살아난다. 육상 자위대기는 빛줄기를 16개에서 8개로 줄이고 테두리에 진노란 무늬를 둘러 옛 욱일기와 조금 달라졌지만, 해상 자위대는 옛 일본해군의 욱일기를 거의 그대로 다시 군기로 쓰고 있다.

두 자위대의 욱일기 복원은 왜 달랐을까. 짐작할 만한 대목은 있다. 일본군을 해체한 미군은 옛 일본군 출신의 자위대 참여를 원칙적으로 금지했지만, 이 원칙은 결과적으로 육상 자위대에만 적용됐다. 일본 점령 뒤 기뢰 제거 등을 위해 함정 운영 인력이 필요했던 미군은 옛 일본해군 출신을 다시 기용했다. 그래서 육상 자위대는 비교적 옛 일본군 전통과 단절된 반면, 해상 자위대에는 옛 일본군 인맥과 문화가 이어졌다. 이런 차이가 군기 채택 과정에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지난주 자위대 함정이 6년 만에 욱일기를 달고 부산항에 들어왔다. 정부는 “해군 함정이 자국군 군기를 달고 입항하는 건 국제관례”라며 문제없다는 태도지만, 정서적으로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여론이 높다. 식민 침탈의 기억이 살아 있는 곳에 굳이 ‘가해자’의 욱일기를 펄럭이며 오는 모습에서, 내 눈에만 반성할 줄 모르는 일본이 겹쳐 보이는 걸까. 일본의 맹성을 촉구한다.

박병수 국제부 선임기자 suh@hani.co.kr

Copyright © 한겨레.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크롤링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