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경제둔화에 잘나가던 명품 흔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국 경제의 둔화 조짐 속에 세계 명품 기업들의 주가 상승세가 꺾이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직전까지는 중국의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기대감 속에 명품주들의 평가 가치가 기록적으로 오르면서 작년 10월 초부터 시작된 50% 가까운 상승세가 이어지던 상황이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국 경제의 둔화 조짐 속에 세계 명품 기업들의 주가 상승세가 꺾이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지난 4월 유럽 기업으로는 처음으로 시가총액 5천억달러(약 653조원)를 돌파한 프랑스의 명품그룹 루이비통모에헤네시(LVMH)는 불과 몇주 사이에 500억 달러(약 65조 원) 이상 하락했다. 이에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를 제치고 세계 부자 1위에 등극했던 베르나르 아르노(74) 회장도 시총 1위 자리를 다시 내주게 됐다.
유럽 명품기업들로 구성된 ‘스톡스(Stoxx) 유럽 명품 지수’는 지난달 거의 5% 떨어졌다. 올해 들어 첫 월 단위 하락이다. 직전까지는 중국의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기대감 속에 명품주들의 평가 가치가 기록적으로 오르면서 작년 10월 초부터 시작된 50% 가까운 상승세가 이어지던 상황이었다.
블룸버그는 세계 명품 소비 시장에서 5분의 1 비중을 차지하는 중국의 경기 둔화 조짐이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4월 중국의 소매 판매와 산업 생산이 예상을 밑돌았고, 청년 실업률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소비 여건은 갈수록 불안정해지고 있는 것이다.
김선영 기자
Copyrights ⓒ 문화일보 & www.munhw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100억 건물주’ 하지원, 으리으리한 자택…“휴양지 같아”
- [단독]이경규·유세윤·장도연…10억 육박 출연료 ‘아직도’ 못받았다
- 中, 이번에는 군함으로 ‘칼치기’...대만해협서 中 함정 美 군함에 돌진해 충돌할 뻔
- 개그맨 이상호 결혼…신부는 열살차 ‘프듀’ 출신 김자연
- [속보] 한국 U-20 월드컵 2회 연속 4강 진출, 나이지리아에 1-0 승
- [속보] 러 국방부 “우크라, 대규모 군사작전 시작”
- 전직 정보당국자 “미국 정부 ‘UFO 잔해 확보 의혹’ 공개해야” 요구
- 홍준표, “尹 지지율 정상 아냐…난 할말 하는 스타일”
- 통일사업 한다면서 유흥업소 방문… 할말 잃게 하는 국고보조금 부정 사용 실태
- 로버트 드니로에 알 파치노에…“남성 고령 출산, 아기 건강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