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제 없는 과수화상병 확산…'78개 과수농가에서 발생'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과수의 잎이나 줄기, 열매가 불에 탄 듯한 증상을 보이다가 말라죽는 과수화상병이 확산하고 있다.
이번에 발생한 증평군 사과 농가는 나무의 잎 등이 적갈색으로 마르고 새로 나온 나뭇가지가 낫 모양으로 구부러지는 전형적인 과수화상병 증상을 보였다고 농진청은 설명했다.
농진청은 과수화상병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6월을 맞아 농식품부, 검역본부, 종자원, 지자체와 협업으로 과수화상병 발생 및 확산억제에 총력 대응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위기단계 '경계'로 상향하고, 정기예찰 2주에서 3주로 확대 시행
농진청, 유관기관과 과수화상병 발생 및 확산억제에 총력 대응
과수의 잎이나 줄기, 열매가 불에 탄 듯한 증상을 보이다가 말라죽는 과수화상병이 확산하고 있다. 특별한 치료제가 없어 과수농가의 피해 우려가 커지고 있다.
5일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이날 현재까지 전국 78농가, 27.8㏊에서 과수화상병이 발생했다. 전년 동기 대비 농가수는 56.5%, 발생면적은 41.7% 수준이다.
최근의 경우 지난 3일 충북 증평군 증평읍의 한 사과 과수원 1곳 0.3㏊에서 과수화상병이 신규 발생했다.
이번에 발생한 증평군 사과 농가는 나무의 잎 등이 적갈색으로 마르고 새로 나온 나뭇가지가 낫 모양으로 구부러지는 전형적인 과수화상병 증상을 보였다고 농진청은 설명했다.
이에 따라 외부인의 출입 금지 조치가 내려졌고, 농림축산검역본부가 역학조사를 진행 중이다.
증평군은 사과, 배 재배 면적은 작지만 방제가 지연되면 주변지역으로 확산이 우려되고 있어 전 농가뿐만 아니라 인근 시군까지 예찰을 강화하고 신속한 방제를 추진하고 있다
과수화상병은 꿀벌이나 나비 등 곤충류로 전염이 가능해 봄철 개화기에 확산 속도가 빠르다.
현재까지 치료제가 없어 발생 나무가 발견되면 과수원 나무 전체를 태우거나 땅에 묻어 폐기해야 한다.
농진청은 과수화상병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6월을 맞아 농식품부, 검역본부, 종자원, 지자체와 협업으로 과수화상병 발생 및 확산억제에 총력 대응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달 21일 과수화상병 위기단계를 '위기'에서 '경계'로 상향했고 5월과 6월 정기예찰을 2주에서 3주로 확대했다.
또한 사과, 배 주산지역에는 대응 매뉴얼을 제작해 배부했고, 주산지 발생 시 인력 및 예산을 집중지원해 신속하게 확산을 차단한다는 방침이다.
농진청 관계자는 "과수에서 이상 증상이 발견되면 가까운 농업기술센터나 병해충 신고 대표 전화로 연락해야만 주변으로 확산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며 농가의 적극적인 예찰과 신고를 당부했다.
- 이메일 :jebo@cbs.co.kr
- 카카오톡 :@노컷뉴스
- 사이트 :https://url.kr/b71afn
CBS노컷뉴스 손경식 기자 chiljon@cbs.co.kr
▶ 기자와 카톡 채팅하기▶ 노컷뉴스 영상 구독하기
저작권자ⓒ CBS 노컷뉴스(www.nocut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부산 돌려차기男' SNS 털렸다…보복 암시 글 '소름'
- 술 못 먹는 장애 동생에 '위스키' 먹이고 살인 혐의…'무죄', 왜?
- 손잡이 잡는 척 女 손 잡기…시내버스 상습 추행범 징역 몇 년?
- 자전거 타다 넘어진 총리…잠시 의식까지 잃었다
- '이탈리아 나와' 韓, 최석현 연장 결승골로 U-20 월드컵 4강
- BTS 하이브 이어 이번엔 한앤컴퍼니 불공정 거래 적발
- 경찰 '한동훈 개인정보 유출' 최강욱 휴대전화 압수수색
- 심장이식 받은 예비부부 탄생…"누군가의 희망 되고파"
- 초대 보훈부 장관 "용산에 세계적 보훈공원 조성"
- [뉴스쏙:속]'골짜기 세대' 설움 딛고…'김은중호' 4강 진출 쾌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