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단체 감사 결과…보조금 횡령·리베이트에 내부자 부당거래 등 적발

유설희 기자 2023. 6. 4. 21:0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부 “환수·고발·수사 의뢰”…‘신고 창구’도 늘려
회계감사 대상 ‘3억 이상’ 확대
공익 제보자에 파격적 포상도

대통령실은 4일 민간단체 보조금 감사 결과 드러난 주요 위반 사례를 총 여섯 가지 유형으로 분류해 소개했다. 보조금 횡령 및 사적 사용, 거래업체에서 리베이트 수령, 가족·임원 등 내부자 부당거래, 서류조작 등을 통한 부정수급, 목적 외 사용 등 부정집행, 임의적 수의계약 등 규정 위반이다.

대통령실은 첫 번째 유형인 보조금 횡령 및 사적 사용 사례로 A 협회연맹 사무총장이 지난해 국내외 네트워크 강화사업을 수행한다며 3건의 해외출장비 1344만원을 지급받았으나, 2건은 개인 국외여행으로, 1건은 허위출장으로 판명난 일을 들었다. 그는 제작하지도 않은 각종 자료 및 기념품 제작비 1937만원을 개인계좌에 입금하기도 했다.

두 번째 유형은 거래업체에서 리베이트를 받는 등 보조금을 편취한 사례다. B 기념사업회는 독립운동가의 초상화를 전시하는 단순한 기능의 앱 개발비로 5300만원을 업체에 지급한 후 500만원을 되돌려받는 방식으로 4개 거래업체로부터 리베이트 3300만원을 부당편취했다. 이 단체는 직원 2명의 5개월분 급여 2100만원 중 523만원을 기부금 명목으로 돌려받았고, 심사위원 4명으로부터 약 180만원을 리베이트로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가족, 임원 등 내부자 간 부당거래를 통해 보조금을 편취한 사례도 적지 않았다. C 교육은 남편이 대표인 업체에서 1900만원 상당의 노트북 42개를 임차하는 등 가족 간 내부거래로 3150만원의 부당이득을 편취한 것으로 조사됐다.

서류 조작을 통해 보조금을 부정수급한 사례도 있었다. 시민단체 ‘함께사는 D’는 무자격자임에도 불구하고 거짓신청으로 3110만원의 보조금을 부정수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 단체는 강의장, PC 등 시설과 상근직원이 없어 보조금 사업 수행자격이 없는 일종의 페이퍼컴퍼니였으나 시설과 기자재를 허위기재해 보조금을 타냈다.

사업 목적과 무관한 곳에 보조금을 집행한 곳도 적발됐다. E 문화연합은 ‘묻혀진 영웅들, 히든 히어로를 찾아라’라는 이름으로 민족 영웅을 발굴하는 사업을 수행하기 위해 보조금 6260만원을 수령했으나 ‘대통령 후보들께 보내는 사회협약’ ‘윤석열 정권 취임 100일 국정난맥 진단과 처방’ 등의 강의를 편성하고, 윤석열 정권 퇴진운동에 나서겠다는 내용의 강의 등에 강사비 211만원을 지급한 것으로 조사됐다.

일반 경쟁입찰을 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수의계약을 체결하는 등 규정을 위반한 단체들도 적발됐다.

대통령실은 보조금 비리 차단을 위한 네 가지 대책을 발표했다. 대대적인 예산 구조조정, 민간단체 보조금 사업자 관리 시스템 강화, 회계감사 대상을 기존 10억원 이상에서 3억원 이상으로 확대, 국민 신고를 통한 감시 활성화 등이다.

이관섭 국정기획수석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을 통해 “내년 예산에서 5000억원 이상을 절감토록 하고 그 이후로도 지속적인 구조조정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 수석은 “지난 5년간 보조금 예산은 매년 급증해온 반면 관리는 부실해서 부정과 비위를 막지 못했고, 비효율성에 대한 지적도 계속되고 있다”며 “정부는 내년 보조금 예산 편성에 있어서 이번에 적발된 사업이나 반복적, 선심성 보조금 사업 등에 대해 제로베이스(원점)에서 면밀히 검토해 강력하게 구조조정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민간단체 보조금 사업자 관리 시스템 강화와 관련, “시스템에 보조금 1차 수령단체뿐만 아니라 위탁, 재위탁을 받아서 실제 수행한 최종 보조사업자들까지 전부 등록, 투명하게 관리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대통령실은 보조금 부정·비리 신고 창구를 현행 국민권익위원회, 정부 부처, 수사기관에서 정부 대표 포털 ‘정부24’까지 확대하고, 공익 가치가 높은 제보에는 파격적인 포상을 하겠다고 밝혔다.

유설희 기자 sorry@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