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경데스크] 해외 건설수주 이제 실적으로 보여야

서찬동 기자(bozzang@mk.co.kr) 2023. 6. 4. 17:3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우디와 인니·우크라이나
해외 수주 3대 큰 시장 열려
원희룡 장관 해외 잇단 방문
협력 MOU 체결하고 있지만
실제 수주 실적 감감무소식
전략 옳은지 재점검 나서야

해외건설 수주시장을 겨냥한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의 발걸음이 분주하다.

최근 원 장관은 국내 기업들의 우크라이나 전후 재건사업 참여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폴란드를 다녀왔다. 현지에선 우크라이나·폴란드 정부 관계자와 재건사업에 관한 정보 교류 등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우크라이나 전후 재건사업은 최소 500조원에서 최대 1200조원까지 막대한 복구 비용이 추산되고 있다. 국토가 황폐화됐기 때문에 맨땅에 새로운 도시를 건설하는 것이나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다. 한국은 러시아와 관계 등을 감안해 정부 차원에서 그동안 적극 나서지 못한 측면도 있다. 이 때문에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 포럼에 장관급 인사가 참여한 것도 이번이 처음이라고 한다.

포럼에서 원 장관은 "스마트시티와 첨단기술 기반의 교통망 조성 등 우크라이나의 인프라 재건을 위해 우수한 역량을 가진 한국의 공공기관과 기업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며 정부의 디딤돌 역할을 강조했다.

이미 폴란드는 물론 미국이나 독일 덴마크 오스트리아 등 유럽 국가들을 중심으로 우크라이나 재건사업에 나서고 있다. 인프라 건설이나 에너지 등 분야별 사업뿐만 아니라 한 도시를 통째로 맡아 재건하는 방식도 추진 중이다. 이달 21~22일 영국 런던에서 '제2차 우크라이나 재건회의'가 열리면 이들 국가를 중심으로 보다 구체적인 재건사업이 논의될 전망이다. 정부 차원에서 뒤늦게 뛰어든 한국이 어느 정도 수주사업에 참여할 수 있을지 미지수다.

앞서 지난 3월에는 인도네시아를 방문해 신수도 개발사업 수주 지원 활동을 펼쳤다. 인도네시아 수도 이전 사업은 2045년까지 단계적으로 정부 핵심 구역과 수도지역, 수도확장지역을 개발하는 프로젝트로 40조원 규모가 투입될 전망이다. 국내 대형 건설사들도 정부와 '원팀코리아'를 구성해 스마트시티와 모빌리티 등의 사업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다. 원 장관과 현지에 다녀온 한 건설사 관계자는 "인도네시아 정부는 신도시 건설은 현지 업체에 맡기고, 한국 기업엔 투자를 희망하고 있다"며 "신도시 건설에 국내 업체들이 큰 수주를 따내기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사우디아라비아가 추진하는 미래도시 '네옴시티' 수주와 관련해 원 장관은 작년 말과 올해 초 두 차례 출장을 다녀왔다. 네옴시티는 2030년까지 총사업비 600조원가량을 투입해 첨단 도시를 건립하는 사업이다. 작년 11월 방문 때 원 장관은 "이르면 12월, 늦어도 1~2월부터 몇조 원대의 프로젝트들이 실제로 수주되거나 MOU(업무협약)를 넘어서는 협약이 이뤄질 것"이라고 예상했지만 아직 수주 소식은 없다. 이처럼 정부가 '3대 해외 수주시장'에 집중한 사이 전체 해외 수주는 급감하고 있다.

해외건설협회에 따르면 4일 현재 기준 해외건설 신규 수주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 105억달러보다 18% 줄어든 86억7498만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올해 목표치인 350억달러의 25% 수준으로, 자칫 지난해까지 '3년 연속 300억달러 돌파'라는 실적마저 올해는 위태로운 상황이다.

올해 해외건설 수주가 유난히 중요한 이유는 그만큼 국내 건설시장이 어렵기 때문이다.

대한건설협회에 따르면 지난 1분기 국내 건설공사 수주액은 47조5574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8.9% 줄었다. 주택 분양시장도 침체되면서 신일 대창기업 대우조선해양건설 우석건설 등 시공능력 100위권 안팎 업체들이 줄줄이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하반기 더 많은 업체가 쓰러질 것으로 업계는 우려하고 있다. 위기 돌파를 위해 건설업계는 내년도 정부 SOC 투자를 대폭 확대해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세수가 크게 줄어 이마저 가능할지 미지수다.

이제 '3대 해외수주 시장'에서 실질적인 수주를 거두기 위한 전략을 재점검할 필요가 있다. MOU 체결만 하다 자칫 닭 쫓던 개 지붕만 쳐다보지 않을까 하는 우려도 있다.

[서찬동 부동산부장]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