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가구 20% "유기동물과 산다"... 2030이 문화 주도

윤주영 2023. 6. 4. 15:3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023년 현재 반려가구 5가구 중 1가구가 유기동물을 입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20·30대 반려인의 유기동물 입양 비중이 높았다.

반려묘 가구의 62.1%가 한국 길고양이를 일컫는 코리안쇼트헤어와 살고, 이 중 57.7%가 유기묘를 입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려가구 21.5%가 양육자금 운용 중● 28만2,000원: 평균 입양비● 38만 원: 평균 장례비.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B금융 '2023 반려동물보고서'
게티이미지뱅크

2023년 현재 반려가구 5가구 중 1가구가 유기동물을 입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20·30대 반려인의 유기동물 입양 비중이 높았다.

4일 KB금융그룹 경영연구소가 발간한 '2023 한국 반려동물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우리나라에서 반려동물과 함께 사는 가구는 약 552만 가구로 2020년(536만 가구) 대비 2.8% 증가했다.

"동물보호센터를 통해 유기동물을 입양하거나 직접 구조해 함께 산다"는 답변은 19.9%로 세 번째로 많았다. 친구나 지인을 통한 입양(33.6%)이 가장 많았고, 애견센터·반려동물 복합 매장 등 소위 펫숍에서 동물을 '구매하는' 사람(23.1%)도 여전히 많았다.

20·30대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유기동물 입양이 직전 조사(2년 전) 대비 4.4%포인트 증가한 것은 고무적이다. 20대의 23.4%, 30대의 23.3%가 유기동물을 입양했는데 친구·지인을 통한 입양에 이어 각각 두 번째로 많았다. 40·50·60대에서도 유기동물 입양 가구가 직전 조사 대비 소폭 증가(1.8~6.2%포인트)하는 등 전반적인 인식이 개선되고 있다.

유기동물 발생 원인 중 하나인 특정 품종 선호 현상도 옅어졌다. 반려묘 가구의 62.1%가 한국 길고양이를 일컫는 코리안쇼트헤어와 살고, 이 중 57.7%가 유기묘를 입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양이 품종을 잘 모르겠다는 답변도 12.5%에 달했다. 믹스견(혼종견) 가구의 비중은 2년 전 10.7%에서 20.3%로 2배 가까이 증가했다. 다만 '몰티푸(몰티즈+푸들)', '폼피츠(포메라니안+스피츠)'처럼 의도적으로 혼종한 경우도 믹스견에 포함돼 유의해야 한다.

반려동물 입양처 변화. 그래픽=김대훈 기자
반려동물 입양처 변화. 그래픽=김대훈 기자

책임의식도 성숙되고 있다. 반려생활에 만족하는 비율은 67.3%로 직전 조사 대비 5.8%포인트 증가했으나, 타인에게 추천할 의향(41.9%)은 4.6%포인트 감소했다. 보고서는 "가족의 일원인 반려동물을 기르면서 무거운 책임감을 느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고 밝혔다. 충분한 입양 준비를 위해 독일, 스위스처럼 반려인 자격시험을 도입해야 한다는 의견(49.2%)도 절반에 가까웠다.

같은 이유로 반려가구의 34.5%가 입양까지 1개월 이상 걸렸다. 대부분(61%) 책임지고 잘 키울 수 있는지 고민하느라 입양이 늦어졌다고 답했다. 반려동물이 혼자 지내는 시간은 하루 평균 5시간 17분으로 2년 전에 비해 23분 줄었다. 반려가구 80%는 TV·조명을 켜 두거나(34.1%), 유치원·펫시터 같은 위탁 돌봄 서비스를 이용(33.5%)하는 등 조치를 취하고 있었다. 특히 위탁시설 이용은 2년 전 대비 22.1%포인트나 증가했다.

숫자로 보는 2023년 반려가구 현황
[반려견 vs. 반려묘]
● 473만 vs. 239만: 2022년 말 기준 마리 수
● 71.4% vs 27.1%: 가구 비중. 2년 전 대비 반려견 가구 3.2%포인트 감소, 반려묘는 1.9%포인트 증가

[비용]
● 15만4,000원: 월평균 총 양육비. 식비 지출이 50.8%
● 25만9,000원: 양육 자금 마련 위한 월평균 저축액. 반려가구 21.5%가 양육자금 운용 중
● 28만2,000원: 평균 입양비
● 38만 원: 평균 장례비. 현재 장묘 시설 이용은 29.6%에 불과. 향후 이용 계획은 64.5%
● 78만7,000원: 지난 2년간 평균 치료비. 51.9%가 정기 검진 및 장비(CT, MRI 등) 검진 비용

[반려가구 vs. 비반려가구]
● 81.6% vs. 46.9%: '반려동물은 가족'이라고 생각하는 비율
● 63.7% vs. 17.1%: '반려가구가 펫티켓을 잘 지킨다'고 생각하는 비율
☞ 공존을 위해 반려가구의 법·제도 숙지 및 준수 노력 필요. 비반려가구도 포용의 자세 요구됨

윤주영 기자 roza@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