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개발 ‘5G 소형기지국’ 기술 전세계가 주목

2023. 6. 4. 12: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연구진이 개발한 5G 소형기지국으로 불리는 스몰셀(Small Cell) 기술이 글로벌 우수성을 입증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지난달 22일 영국 런던에서 개최된 스몰셀 월드 서밋(SCWS-2023) 포럼에서 최우수 기술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이를 바탕으로, ETRI 스몰셀 연구진은 지난해 최우수연구성과로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장상 수상을 비롯, 2021년 ETRI 대표성과, 2019년 국가연구개발우수성과에 선정 등 성과를 인정받은 바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ETRI, 세계적 스몰셀 SW 분야 최고상 수상
ETRI 연구진이 개발한 5G 스몰셀 상용 SW 기술로 2Gbps가 넘는 통신속도를 구현하는 모습.[ETRI 제공]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국내 연구진이 개발한 5G 소형기지국으로 불리는 스몰셀(Small Cell) 기술이 글로벌 우수성을 입증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지난달 22일 영국 런던에서 개최된 스몰셀 월드 서밋(SCWS-2023) 포럼에서 최우수 기술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ETRI는 상용목적의 스몰셀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기술 분야에서 공동연구기관인 유캐스트와 함께 ‘스몰셀포럼 산업대상’을 받았다.

ETRI는 이번 수상 경쟁에서 ‘유연한 5G 스몰셀 SW와 5G 스몰셀 서비스’ 관련 ▷5G NSA/SA 5G NSA ▷밀리미터파/Sub-6GHz 대역지원 ▷기능 분할 지원 등이 모두 가능한 세계 최고 수준의 5G스몰셀 SW 성능을 유감없이 선보였다.

또한 공동연구기관인 유캐스트가 본 SW를 활용해 브라질의 가로등에 포함된 스몰셀 기지국 상용화 사례도 큰 호응을 얻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그동안 ▷밀리미터파 대역서 2.2Gbps 제공 SW ▷5G 특화망 서비스에 유용한 SA 스몰셀 SW ▷지능형 스몰셀 SW 기술 등을 개발 등 국내 이동통신 인프라 확산과 스몰셀 중소기업의 경쟁력 제고에 크게 이바지해 왔다.

이를 바탕으로, ETRI 스몰셀 연구진은 지난해 최우수연구성과로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장상 수상을 비롯, 2021년 ETRI 대표성과, 2019년 국가연구개발우수성과에 선정 등 성과를 인정받은 바 있다.

스몰셀 관련 기술은 지난 5년간 SCIE 논문 11편, 3GPP 표준기고 23건, 국내·외 특허 30편 등록, 159건을 출원했고 관련기업에 기술이전도 마쳤다.

스몰셀포럼 산업대상을 수상한 ETRI 스몰셀 연구진. 로베트로 콤파니(왼쪽부터) SCF 수상 심사위원, 김경숙 ETRI 책임연구원, 나지현 실장, 유캐스트 전형준 연구소장, 오현주 ETRI 책임연구원.[ETRI 제공]

나지현 ETRI 지능형스몰셀연구실장은 “5G 스몰셀 소프트웨어 기술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과제원들이 부단히 힘써왔는데 이번 수상을 하게 되어 기쁘다”면서 “향후 보다 향상된 연구품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기술 상용화를 통해 우리나라 이동통신 산업에 이바지하겠다”고 밝혔다.

방승찬 ETRI 원장도 “이 기술은 국가전략기술인 오픈랜, 6G의 기반이 되는 분야로 향후 우리나라 이동통신 발전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이 상은 2009년부터 세계적 권위를 자랑하는 ‘스몰셀 포럼’에서 개최하는 시상식이다. ‘스몰셀 포럼’에는 국내 이동통신 3사를 비롯해 AT&T, BT, NTT도코모 등 세계 유수의 이동통신사들과 에릭슨, 퀄컴, 마비니어 등 통신장비 제조업체 등 약 80여개 기업들이 가입돼 있다.

시장조사기관 가트너(Gartner)의 전망에 따르면 글로벌 스몰셀 시장의 규모는 2026년에는 84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nbgkoo@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