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넘어지고, 쓰러지고, 끼이고' 경기도 내 지하철 에스컬레이터·계단서 사고 다발

수원=손대선 기자 2023. 6. 4. 10:3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기도 내에서 혼잡도가 높은 지하철 환승역 10곳에서 발생한 구급 출동 6건 중 1건은 에스컬레이터와 계단에서 발생하는 넘어짐과 쓰러짐, 끼임 사고로 나타났다.

경기도소방재난본부는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최근 4년 동안 경기지역 지하철 환승역 10곳에서 접수된 119신고 4597건을 분석한 결과를 4일 발 표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기도소방재난본부 청사. 사진 제공 = 경기도소방재난본부
[서울경제]

경기도 내에서 혼잡도가 높은 지하철 환승역 10곳에서 발생한 구급 출동 6건 중 1건은 에스컬레이터와 계단에서 발생하는 넘어짐과 쓰러짐, 끼임 사고로 나타났다.

경기도소방재난본부는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최근 4년 동안 경기지역 지하철 환승역 10곳에서 접수된 119신고 4597건을 분석한 결과를 4일 발 표했다.

신고 내용을 부면 구급 신고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4357건으로 전체 95%를 차지했다. 이어 구조 신고 155건(3%), 화재 신고 85건(2%)순이었다.

월별로는 5월(429건?9.3%), 8월(427건?9.3%), 11월(417건?9.1%) 순이었다.

요일별로는 토요일(744건?16.2%), 월요일(684건?14.9%), 화요일(667건?14.5%) 순으로 신고가 많았다.

시간대별로는 오후 9~10시(342건?7.4%), 오후 10~11시(333건?7.2%), 오후 6~7시(314건?6.8%) 순으로 저녁 시간대에 신고가 집중됐다.

구급 신고 4357건에 소방당국은 5167번 출동했다. 이 중 2091건은 병원 이송을 시켰지만 2980건은 신고 취소 및 거부 등의 이유로 이송하지 않았다. 96건은 다른 신고 연계 이송 등 기타로 분류됐다.

이송현황을 원인별로 보면 복?두통, 경련, 구토 등 급?만성질환이 1711건으로 전체 이송의 81.8%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이어 열상 253건(12.1%), 호흡곤란 45건(2.2%), 골절?염좌 14건(0.7%) 등의 순이었다.

특히 에스컬레이터와 계단에서 넘어짐과 쓰러짐, 끼임 사고가 346건(16.5%)으로 분류돼 지하철 환승역사 이용 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구조출동 155건 중에서는 엘리베이터 등 갇힘 구조가 68건(43.9%)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안전조치 48건(31%), 동물구조 14건(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경기도소방재난본부는 ▲지하철 환승역에서 에스컬레이터 이용 시 디딤판에 표시된 황색 안전선 안에 발을 놓고 ▲손잡이(핸드레일)를 반드시 잡으며 ▲옷이나 가방이 끼이지 않도록 주의해 달라고 부탁했다.

박기완 경기도소방재난본부 119종합상황실장은 “인파가 몰리는 지하철 환승역에서 넘어짐과 끼임 사고가 잇따르는 만큼 뛰거나 이동 중에 스마트폰을 보면서 걷는 습관을 삼가야 한다”며 “앞으로도 도민 안전을 위해 다양한 분야의 재난정보를 분석해 이를 바탕으로 소방 정책을 펼쳐 나가겠다”고 말했다.

수원=손대선 기자 sds1105@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