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리톤 김태한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 우승···또 다른 K클래식 스타 떴다

한순천 기자 2023. 6. 4. 09:4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K클래식계에 또 하나의 샛별이 탄생했다.

2000년생 바리톤 김태한이 세계 3대 콩쿠르 중 하나인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에서 우승한 것이다.

4일(현지 시간) 벨기에 브뤼셀에서 폐막한 2023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에서 김태한은 성악 부문 1위의 쾌거를 올렸다.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에 성악 부문이 신설된 1988년 이후 아시아 출신의 남성 음악가가 우승한 것은 처음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亞 남성 성악가로서는 최초
韓, 작년 첼로 최하영 이어
2년 연속 우승자 배출 쾌거
3일(현지 시간) 폐막한 2023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 성악 부문에서 우승한 바리톤 김태한. 사진 제공=금호문화재단
[서울경제]

K클래식계에 또 하나의 샛별이 탄생했다. 2000년생 바리톤 김태한이 세계 3대 콩쿠르 중 하나인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에서 우승한 것이다.

4일(현지 시간) 벨기에 브뤼셀에서 폐막한 2023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에서 김태한은 성악 부문 1위의 쾌거를 올렸다. 이번 콩쿠르는 전 세계 18세에서 33세 이하의 412명이 참가했으며 한국인 18명을 포함한 68명의 성악가들이 본선에 진출했다. 기권 13명을 제외한 55명이 본선에 참가해 지난달 21일부터 준결선을, 이달 1일부터 결선을 진행했다. 올해 심사위원장은 벨기에의 음악가 베르나르 포크룰이 위촉됐고 소프라노 조수미 등 17명이 심사위원을 맡았다.

성악가 김태한이 2일(현지 시간)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 결선 무대에서 노래하고 있다.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 유튜브 캡처

김태한은 결선 무대에서 알랭 알티놀뤼가 지휘한 라 모네 교향악단과 함께 주세페 베르디의 오페라 ‘돈 카를로’ 중 ‘오 카를로 내 말을 들어보게’, 에리히 볼프강 코른골트의 오페라 ‘죽음의 도시’ 중 ‘나의 갈망, 나의 망상이여’ 등 4곡을 선보였다. 그는 베르디의 곡을 이탈리아어가 아닌 프랑스어로 불렀다. 이는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벨기에를 공략하기 위한 맞춤 전략이었다.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에 성악 부문이 신설된 1988년 이후 아시아 출신의 남성 음악가가 우승한 것은 처음이다. 이번 대회 결선 진출자 중 최연소였던 김태한은 1위 상금 2만 5000유로를 받게 된다.

김태한은 “음악에 잠겨 살았던 것 같다”며 “세계 각국을 돌며 노래하는 오페라 슈퍼스타가 꿈”이라고 소감을 전했다. 또 “음정·박자뿐 아니라 시와 시인에 대해 공부하는 등 곡에 대해 깊이 이해하는 공부를 했다”며 “그래서 좋은 결과가 나올 수 있었다”고 밝혔다.

4일(현지 시간)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에서 우승한 뒤 축하받고 있는 바리톤 김태한. 오른쪽은 심사위원을 맡은 소프라노 조수미.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 유튜브 캡처

김태한은 지난해 스페인 비냐스 국제 콩쿠르와 리카르도 찬도나이 국제 성악 콩쿠르에서 특별상을 받았고 노이에 슈티멘 국제 성악 콩쿠르에서 브라이언 디키 젊은 음악가 특별상을 받은 재원이다. 나건용 교수 사사로 서울대 음악대학을 졸업했고 올해 9월부터 2년간 독일 베를린국립오페라의 오페라 스튜디오 멤버로 활동하게 된다. 이번 콩쿠르 우승을 통해 병역 의무도 면제받게 됐다. 김태한은 “조연·단역부터 차근차근 경력을 쌓아나가려고 한다”며 “바리톤에게는 꿈 같은 역할인 조아치노 안토니오 로시니의 오페라 ‘세비야의 이발사’의 피가로 역을 해보고 싶다”고 전했다.

3일(현지 시간) 폐막한 2023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 성악 부문에서 우승한 바리톤 김태한. 사진 제공=금호문화재단

쇼팽 피아노 콩쿠르, 차이콥스키 콩쿠르와 함께 세계 3대 콩쿠르로 손꼽히는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에서 K클래식 신성들의 돌풍이 계속되고 있다. 지난해 열린 첼로 부문 콩쿠르에서는 첼리스트 최하영이 우승해 한국은 2년 연속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 우승자를 배출하게 됐다. 2011년에는 소프라노 홍혜란이, 2014년에는 소프라노 황수미가 성악 부문에서 우승했다. 2015년에는 바이올린 부문에서 임지영이 우승을 차지했다. 올해 결선에 오른 베이스 정인호는 5위를 차지했다. 이 외에도 바리톤 다니엘 권이 결선에 진출했다.

3일(현지 시간) 박보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2023년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에서 우승한 바리톤 김태한에게 축전을 전달했다. 사진 제공=문화체육관광부
한순천 기자 soon1000@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