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북한 발사체 잔해물 이르면 오늘 인양…한미 공동조사 합의

나윤석 기자 2023. 6. 4. 08:1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군은 이르면 4일 서해에서 북한의 우주발사체 '천리마 1형' 잔해물을 인양할 것으로 보인다.

군은 전날 오전 발사체 낙하 수역인 전북 군산 어청도에서 서쪽으로 약 200㎞ 떨어진 바다에 해난구조전대(SSU)를 투입했다.

이런 가운데 한미는 우리 군이 북한 발사체를 인양하면 이를 공동 조사하기로 합의했다.

한미는 지난 2012년 12월 서해에서 인양한 북한 장거리로켓 은하3호 잔해 조사 때도 공동조사단을 구성한 바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3일 해난구조전대 투입, 잔해에 밧줄 묶는 작업 일부 성공
추가로 결박,선상으로 끌어올려 평택해군기지로 옮겨조사
지난 31일 발사 직후 인양된 북한 정찰위성 천리마-1형 2·3단 발사체 추정 잔해물. 15m 길이로 해저에 가라앉아 해군이 인양작전을 수행 중이다. 합참 제공

군은 이르면 4일 서해에서 북한의 우주발사체 ‘천리마 1형’ 잔해물을 인양할 것으로 보인다.

군은 전날 오전 발사체 낙하 수역인 전북 군산 어청도에서 서쪽으로 약 200㎞ 떨어진 바다에 해난구조전대(SSU)를 투입했다. 잠수사들은 바닥에 가라앉은 15m 길이의 잔해에 고장력 밧줄을 묶는 작업에 일부 성공한 것으로 알려졌다. 잠수사들은 추가로 밧줄을 결박해 잔해가 손상되지 않게 선상으로 끌어올리고, 최종적으로 평택 해군기지로 옮겨 조사할 계획이다.

전날은 바닷속 시야가 좋지 않고 물이 잔잔한 정조(停潮) 시간이 한정돼 작업을 오래 이어가지 못했다. 현장의 유속은 잠수사의 몸이 휘청일 정도인 2노트(시속 3.7㎞)에 달했다고 군 당국은 설명했다. 이날도 바다 상황에 따라 인양되는 시간은 다소 늦어질 수 있다.

북한이 공개한 사진을 분석한 결과 천리마 1형의 전체 길이는 29∼30m가량으로 추정된다. 서해에서 식별된 잔해물은 2단과 3단 추진체가 붙어 있는 형태일 가능성이 있고 이 경우 발사체 상단에 탑재된 군사정찰위성 ‘만리경 1호’가 발견될 수도 있다. 현재 해역에는 3천500t급 수상함구조함 통영함(ATS-Ⅱ)과 광양함(ATS-Ⅱ), 3천200t급 잠수함구조함(ASR)인 청해진함 외에도 선박 여러 척이 투입돼 인양과 새로운 잔해 수색을 이어가고 있다.

이런 가운데 한미는 우리 군이 북한 발사체를 인양하면 이를 공동 조사하기로 합의했다. 이종섭 장관은 전날 싱가포르 샹그릴라 호텔에서 진행 중인 제20차 아시아안보회의(샹그릴라 대화)를 계기로 로이드 오스틴 미국 국방부 장관과 회담하고 이같이 결정했다. 한미는 지난 2012년 12월 서해에서 인양한 북한 장거리로켓 은하3호 잔해 조사 때도 공동조사단을 구성한 바 있다.

나윤석 기자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