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입학 전 식물성 식품 많이 먹으면 비만 위험 70% 이상 감소 [헬시타임]

임지훈 기자 2023. 6. 4. 07: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초등학교 입학 전 아이가 채소·과일 등 식물성 식품을 많이 먹으면 비만 위험이 70% 이상 낮아진다는 연구결과가 국내에서 나왔다.

4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박미영 서울대 보건환경연구소 연구교수팀이 2013~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3~5세 학령 전 어린이 1196명(남 623명, 여 573명)을 대상으로 파이토케미컬 섭취와 비만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어린이 비만은 성인 비만으로 발전 위험성 ↑
DPI가 높은 식품은 통곡물·과일·채소·콩류
서울대 박미영 교수팀, 3~5세 1196명 분석
사진 제공=이미지 투데이
[서울경제]

초등학교 입학 전 아이가 채소·과일 등 식물성 식품을 많이 먹으면 비만 위험이 70% 이상 낮아진다는 연구결과가 국내에서 나왔다. 아이의 식물성 식품 섭취 정도는 식이 파이토케미컬 지수(Dietary Phytochemical Index, DPI)로 평가했다.

4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박미영 서울대 보건환경연구소 연구교수팀이 2013~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3~5세 학령 전 어린이 1196명(남 623명, 여 573명)을 대상으로 파이토케미컬 섭취와 비만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박 교수팀은 어린이를 DPI에 따라 4개 그룹(1그룹 최소, 4그룹 최다)으로 나눴다. 4그룹 남아의 비만 유병률은 1그룹 남아의 29% 수준이었다. 이는 남아의 DPI가 높을수록 비만 위험이 낮아진다는 것을 뜻한다. 그러나 여아의 DPI와 비만 유병률 사이에서는 이렇다 할 연관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박 교수팀은 논문에서 “어린이 비만은 성인 비만으로 발전할 위험이 커, 어린이 비만을 잘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을 다니는 동안 형성된 음식 선호도와 식습관은 잘 변하지 않으며, 이는 성인 비만을 부를 수 있다”고 지적했다.

DPI, 즉 파이토케미컬 지수는 식물성 식품에서 얻은 에너지를 총 일일 에너지 섭취량으로 나눈 값(백분율)이다. 파이토케미컬이 풍부한 식품으론 통곡물·과일·채소·견과류·콩 등이 꼽힌다. 대표적인 식이 파이토케미컬인 폴리페놀은 지방 대사 조절, 플라보노이드 체내 지방 축적 감소를 돕는다.

이 연구결과(Association between the Dietary Phytochemical Index and Lower Prevalence of Obesity in Korean Preschoolers)는 영양 분야 국제 학술지인 ‘뉴트리언츠(Nutrients)’ 최근호에 실렸다.

임지훈 기자 jhlim@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