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죄도시 3’ 300만 돌파…마동석의 마법

이정우 기자 2023. 6. 3. 15:2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마동석 주연의 액션 영화 '범죄도시 3'가 3일 누적 관객 수 300만 명을 돌파했다.

◆'민중의 몽둥이'= 전편의 금천경찰서에서 광역수사대란 더 큰 판으로 이동한 '범죄도시3'의 '마석도'(마동석)는 경찰은 '나쁜 놈'을 잡아야 한다며 이렇게 말한다.

"형, 이거 내가 할게." 이처럼 영화 속 마동석은 늘 솔선수범한다.

'범죄도시 3'는 마동석식 솔선수범을 극대화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영화 ‘범죄도시3’

마동석 주연의 액션 영화 ‘범죄도시 3’가 3일 누적 관객 수 300만 명을 돌파했다. 전날 200만 명 돌파에 이어 하루 만에 100만 명을 추가하며 마동석의 힘을 여실히 증명했다. 배우 마동석은 충무로에서 하나의 브랜드다. 맨주먹 하나로 야쿠자 일당을 제압해도, 힘으로 금고문을 뜯어도, 심각한 상황에 유치한 말장난을 던져도 마동석이라면 괜찮다. 마동석이 기획·제작하고, 각색까지 참여한 ‘범죄도시’ 시리즈는 마동석식 액션과 코미디를 잘 보여준다. ‘범죄도시3’ 역시 누구보다 강하고 누구보다 귀여운 모습을 보여주는 ‘마동석 유니버스’의 집약체다.

◆‘민중의 몽둥이’= 전편의 금천경찰서에서 광역수사대란 더 큰 판으로 이동한 ‘범죄도시3’의 ‘마석도’(마동석)는 경찰은 ‘나쁜 놈’을 잡아야 한다며 이렇게 말한다. “경찰이 뭐야. 민중의 몽둥이잖아.” 이어지는 동료 형사의 반문 “민중의 지팡이 아닌가.” 영화 속에서 마석도의 주먹은 그의 말마따나 몽둥이다. 탐욕에 눈 뒤집힌 빌런 ‘주성철’(이준혁)은 마석도의 ‘주먹 몽둥이’ 찜질에 “어흑”이란 신음을 토해낸다.

영화 ‘이웃사람’

마동석의 주먹은 악인을 상대로 한다는 점에서 관객들에게 통쾌함을 준다. ‘이웃사람’(2012)에서 마동석이 맡은 안혁모는 납치에 살인까지 서슴치않고 일삼는 ‘류승혁’(김성균)의 뒷목을 잡고 사정없이 팬다. 너무 일방적이라 맞고 있는 악역이 애처롭게 느껴질 정도다. ‘성난 황소’(2018) ‘악인전’(2019) 등에서도 압도적인 힘으로 악당들을 일방적으로 혼낸다. 이번 영화에서 수많은 일본 야쿠자들을 차례로 무너뜨리는 그의 모습은 흡사 삼국지 속 장판파의 장비 같다. 일본도를 쥔 야쿠자 살인무기 리키(아오키 무네타카)를 주먹 하나로 끝내는 모습은 마동석은 ‘개연성 너머’에 있음을 잘 보여주는 사례다.

◆“이거 내가 할게”= 건물에서 떨어진 여성에게 마약이 검출되자 심상치 않은 사건의 냄새를 맡은 마석도는 광수대 반장 장태수(이범수)에게 말한다. “형, 이거 내가 할게.” 이처럼 영화 속 마동석은 늘 솔선수범한다. 선배나 후배에게 궂은 일을 미루는 법이 없다. ‘범죄도시 3’는 마동석식 솔선수범을 극대화했다. 마석도가 악당들을 무찌르고 나면, 뒤늦게 동료들이 와서 말한다. “아, 벌써 끝났네요.” 이어지는 든든한 그의 대답. “어, 왜 이제 왔어.”

영화 ‘부산행’

‘부산행’(2016)의 ‘윤상화’도 마동석식 솔선수범 캐릭터의 대표적인 예다. 작중 최강의 전투 능력을 자랑하는 그는 누가 시키지도 않았는데 앞장서 좀비가 된 감염자들을 펀치로 쓰러뜨린다. 영화 속 마동석은 악당은 혼내줘야 하고, 약자는 구해야 한다는 목표에서 한순간도 흔들리지 않는, 책임감 넘치는 우리의 영웅이다.

◆악당에게 “짜잔”하며 등장하는 ‘마요미 = ‘범죄도시3’에서 최종 결투를 앞두고 주성철이 “아직 안 죽었네”라고 하자 마석도가 “짜잔”하며 등장한다. 영화 속 마동석은 어떠한 심각한 상황에도 포커페이스를 유지하며 귀여움을 발산한다. 관객들은 강력한 힘을 바탕으로 한 그의 느긋한 태도에 안심한다. 코미디 영화에서 작정하고 귀여움을 과시할 때도 있다. ‘굿바이 싱글’(2016)의 스타일리스트 ‘평구’는 파스텔톤 땡땡이 치마를 입고, ‘시동’(2019)의 거석이형은 단발머리 가발을 쓴다. ‘군도: 민란의 시대’(2012)의 우직한 장사 ‘천보’는 눈밭에서 매복하다가 쿨쿨 잠이 든다.

영화 ‘굿바이 싱글’

‘범죄도시3’은 전편의 인기에 기댄 속편의 강점과 한계를 고스란히 안고 있다. 강렬한 타격감을 주는 마동석의 통쾌한 액션은 시리즈 팬들을 만족 시키기 충분하다. 서울 강남 일대와 인천을 배경으로 야쿠자와 대결을 펼치며 스케일도 키웠다. 전편의 ‘장이수’(박지환)처럼 동료 형사 ‘민재’(김민재)와 ‘초롱이’(고규필), ‘양호’(전석호) 등 조연들의 감초 활약도 좋다. 다만 캐릭터들이 일차원적이고, 마동석과 빌런이 최후의 격투를 벌이는 등 이야기 전개가 비슷해 아쉬움을 남긴다. 악역이 두 명으로 나뉜 만큼, 강렬함도 함께 줄어들었다. 영화는 4편과 동시에 촬영됐고, 시리즈는 8편까지 계획돼 있다.

이정우 기자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