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디폴트 우려 해소·금리동결 기대…하루새 환율 16원↓, 1305.7원

세종=유재희 기자 2023. 6. 2. 17:4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원/달러 환율이 하루 새 16원 수준 하락해 1300원대로 내려앉았다.

그는 "원/달러 환율이 팬데믹(감염병 대유행) 이전 수준으로 하락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밝혔다.

코로나19(COVID-19) 확산 이전 연평균 원/달러 환율은 2018년 1100.5원, 2019년 1166.11원 등 1100원 수준에서 2020년 1180원, 2021년 1144.6원, 2022년 1292.2원으로 높아지다가 최근 1300원대를 보이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뉴스1) 유승관 기자 = 2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명동점 딜링룸 전광판에 달러/원 환율이 전날보다 15.9원 내린 1305.7원을 나타내고 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32.19포인트(1.25%) 상승, 2601.36으로 장을 마쳤다. 코스피가 종가 기준으로 2600선을 넘어선 것은 지난해 6월9일 이후 처음이다. 2023.6.2/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원/달러 환율이 하루 새 16원 수준 하락해 1300원대로 내려앉았다. 미국의 통화긴축 완화, 채무불이행(디폴트) 우려 해소 등이 겹치며 위험자산 선호 심리가 강해진 영향이다.

2일 서울 외환시장에 따르면 원/달러 환율은 전일 대비 15.9원 내린 1305.7원에 거래를 마쳤다. 종가 기준 지난 4월 14일(1298.9원) 이후로 가장 낮다.

이날 환율은 역외 환율을 반영해 전 거래일 종가에서 8.6원 떨어진 1313.0원에 개장했다. 이후 1304.8원까지 내린 이후 소폭 오르며 마감됐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추가 금리인상 중단에 대한 기대감이 짙어진 탓이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FFR) 선물 시장은 연준이 이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정책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을 77.2%로 전망했다.

또 미국 상원의 부채한도 합의안 가결에 디폴트 우려가 부분적으로 해소되며 연준의 금리동결 기대감이 보다 커졌다. 금융시장의 불안이 약해지며 위험자산 선호 심리가 강해진 것이다.

미국 연방 상원은 1일(현지시간) 밤 조 바이든 대통령과 매카시 하원의장의 부채한도 합의안을 통과시켰다. 연방 정부의 부채한도(31조4000억달러) 적용을 2025년 1월까지 유예하는 대신 정부 지출을 감축하는 것이 골자다.

여기에 간밤 발표된 미국 제조업 기대 인플레이션 지표 하락도 한몫했다. 미국 공급관리협회(ISM)가 발표한 5월 제조업 구매자관리지수(PMI)는 46.9로 예상치(4.7%)를 밑돌았다.

이 여파로 달러가 약세를 보이며 환율은 내렸다. 이날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화 가치를 지수화한 달러인덱스는 2일(현지시간) 오전 3시 기준 103.47을 기록, 약보합권에서 등락 중이다.

한편 이날 서영경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은 원/달러 환율이 1100원대로 하락하긴 어렵다고 전망했다.

그는 "원/달러 환율이 팬데믹(감염병 대유행) 이전 수준으로 하락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밝혔다. 코로나19(COVID-19) 확산 이전 연평균 원/달러 환율은 2018년 1100.5원, 2019년 1166.11원 등 1100원 수준에서 2020년 1180원, 2021년 1144.6원, 2022년 1292.2원으로 높아지다가 최근 1300원대를 보이고 있다.

서 위원은 "경기적 요인뿐만 아니라 대(對)중국 경쟁심화, 인구 고령화, 기업·가계의 해외투자 수요 확대 등 구조적 변화가 작용하고 있어 환율이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하락하긴 어려울 전망"이라며 "무역수지를 통한 환율의 자동 안정화 기능이 약화됐으므로 무역수지 개선을 위해 수출 경쟁력 강화, 수출 시장 다변화, 중간재 수입 대체와 같은 구조적 노력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세종=유재희 기자 ryuj@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