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산섬 울릉도서 36년 만에 첫 모내기…‘울릉 쌀’ 독도 홍보용으로
2일 오전 경북 울릉군 서면 태하리. 산등성이를 계단처럼 깎아 평평하게 만든 1500㎡(약 450평)의 다랑논에 싱그러운 모들이 줄지어 심겼다. 이앙기가 없는 이곳에서 밀짚모자를 쓰고 목에 수건을 두른 20여명의 농민들은 일일이 손으로 정성스레 모를 심었다. 척박한 울릉도에서 36년만에 모내기가 이뤄진 순간이다.
경북 울릉군은 1987년을 마지막으로 사라진 벼농사가 서면 태하리 울릉군개척사테마파크 부지서 재개됐다고 2일 밝혔다. 이곳은 울릉군이 울릉도 개척사 테마파크를 조성하기 위해 사들인 땅으로 예전에 논이었던 곳이다.
울릉군 관계자는 “문화재 발굴조사 등으로 테마공원을 조성하는 데 시간이 걸리는 만큼 빈터로 방치하기보다는 우선 논으로 활용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울릉군은 가을 태풍 때 바람이 강하게 부는 등 자연환경을 고려해 키가 작고 쓰러짐에 강한 운광벼를 선정해 심었다. 오는 10월쯤 쌀 500㎏ 수확을 목표로 하고 있다.
1970~80년대까지만 해도 울릉도 곳곳에서 벼농사가 이뤄졌다. 1882년 고종의 개척령 반포 후 명에 따라 울릉도에 첫발을 내디딘 16가구, 54명이 처음 정착을 시작하면서다. 재배면적이 가장 넓었던 때는 1977년으로 48㏊의 논에서 178t의 쌀을 생산한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1987년 쌀 4200㎏ 수확을 끝으로 울릉에서 벼농사는 사라졌다. 농사를 지어 쌀을 생산하는 것보다 육지에서 쌀을 사 오는 비용이 더 저렴해지면서다. 울릉도에 천궁 등 약초 재배가 훨씬 높은 수익을 낸 것도 벼농사가 사라지게 된 배경이다.
울릉군은 사라진 벼농사를 복원해 옛 정취를 재현하는 한편 척박한 화산섬 땅을 개간해 비옥한 땅으로 만들었던 과거 울릉 주민들의 개척정신과 역사를 보여줄 교육장으로 이 논을 활용할 방침이다.
남한권 군수는 “생산한 쌀은 울릉도와 독도 홍보용으로 활용할 예정”이라며 “울릉도만의 독특한 벼농사를 새로운 관광자원으로 발굴하겠다”고 말했다.
김현수 기자 khs@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나도 부정선거라 생각했다”···현장 보고 신뢰 회복한 사람들
- 국힘 박상수 “나경원 뭐가 무서웠나···시위대 예의 있고 적대적이지도 않았다”
- 늙으면 왜, ‘참견쟁이’가 될까
- 공영방송 장악을 위한 이사장 해임 “모두 이유 없다”…권태선·남영진 해임무효 판결문 살펴
- 내란의 밤, 숨겨진 진실의 퍼즐 맞춰라
- ‘우리 동네 광장’을 지킨 딸들
- 대통령이 사과해야 되는 거 아니에요? 사과해요, 나한테
- 독일 크리스마스 마켓에 차량 돌진…70명 사상
- [설명할경향]검찰이 경찰을 압수수색?···국조본·특수단·공조본·특수본이 다 뭔데?
- 경찰, 경기 안산 점집서 ‘비상계엄 모의’ 혐의 노상원 수첩 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