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컵라면 먹는 비둘기 무서워요"… 쓰레기 넘치는 서울 길거리 [Z시세]
[편집자주]세상을 바라보고 해석하는 시각이 남다른 Z세대(1990년대 중반~2000년대 초반 출생 세대). 그들이 바라보는 세상은 어떤 모습일까요. 머니S는 Z세대 기자들이 직접 발로 뛰며 그들의 시각으로 취재한 기사로 꾸미는 코너 'Z세대 시선으로 바라본 세상'(Z시세)을 마련했습니다.
"거리에 쓰레기통이 없으니 너무 지저분해요."
지난 24일 오후 광화문 일대를 걷는 기자의 눈에 비친 사람들의 모습은 다양했다. 시선을 휴대폰에 고정한 채 걸어가는 사람, 이어폰으로 음악을 듣는 사람, 한 손에 커피를 들고 발길을 재촉하는 사람 등. 그런데 다 마신 테이크아웃 커피컵이나 음료수병, 비닐봉지 등 쓰레기를 들고 다니는 사람도 많았다. 마땅히 버릴 곳이 없어서다.
━
직장인 이모씨(20대·여성)는 "버스를 기다릴 때 무심코 아래를 봤더니 내용물이 든 컵라면이 널브러져 있었다"며 "비둘기가 주위를 맴돌며 먹고 있어 기겁했다"고 밝혔다. 이어 "비둘기가 파닥파닥 날갯짓을 해 무섭고 불쾌했다"고 토로했다.
그는 "직장인은 출·퇴근, 학생은 등·하교하기 위해 버스정류장을 찾을 것"이라며 "하루의 시작과 끝을 쓰레기와 함께하니 기분이 썩 좋지 않다"고 눈살을 찌푸렸다.
버스정류장 쓰레기 투기 문제는 테이크아웃한 커피를 들고 시내버스를 탈 수 없게 되면서 심화됐다. 서울시는 지난 2018년 1월부터 '서울시 시내버스 재정지원·안전 운행기준에 관한 조례'의 일부를 개정, 시내버스 내 음식물 반입 제한을 시행하고 있다.
━
처음으로 한국을 방문했다는 일본인 A씨(여·20대)는 "드라마 속 한국은 깨끗한 이미지였는데 생각보다 거리에 쓰레기가 많아 놀랐다"고 밝혔다. 이어 "일본 거리도 한국과 마찬가지로 쓰레기통이 별로 없다"며 "하지만 길에 쓰레기를 버리는 사람은 거의 없다"고 일침을 가했다.
A씨는 "(일본에서는) 편의점 밖이나 안에 비치된 쓰레기통에 버린다"며 "쓰레기가 있으면 편의점에 들러 버린다"고 부연했다. 편의점 점원이 싫어할 수도 있지만 일본인 모두 그렇게 한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또 다른 일본인 B씨는 "기본적으로 자판기 옆에 쓰레기통이 있다"며 "거기에 플라스틱 컵 등을 버린다"고 밝혔다. 그는 "한국에서는 다른 가게에 들어가기 전에 마시던 음료를 밖에 두고 가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며 "밖에 쓰레기를 버리는 것과 같기 때문에 일본에서는 하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
이 같은 이유로 서울 시내 쓰레기통은 감소 추세다. ▲2018년 6542개 ▲2019년 6940개 ▲2020년 6242개 ▲2021년 5613개 ▲2022년 4956개로 최근 5년 동안 1586개 줄었다.
그 결과 관련 민원이 늘었다. 서울시 한 자치구 복지정책 담당자는 "코로나19 엔데믹이 본격화되고 날씨가 좋아지면서 시민의 야외활동이 늘어났다"며 "이에 거리 쓰레기통 설치·이동·수리 등 관련 민원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해당 자치구의 거리 쓰레기통 불편 민원은 ▲2021년 21건 ▲2022년 25건 ▲2023년 1~5월 18건으로 나타났다. 이 관계자는 "지난 2년 동안 평균 23건이 발생했지만 올해 상반기가 지나지 않은 시점에 벌써 18건이 발생했다"고 말했다.
따라서 서울시는 버스정류장과 유동인구 밀집지역 위주로 가로 쓰레기통 설치를 검토하고 있다. 서울시 생활환경과 도시청결팀 관계자는 "무단투기 예방과 시민 불편 해소를 위해 유동인구 밀집지역 위주로 가로 쓰레기통의 설치를 자치구에 적극 권장했다"며 "이에 따른 예산도 편성해 지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자치구가 지역 여건에 맞게 자율적으로 설치·관리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게 서울시의 설명이다.
다만 가로 쓰레기통이 늘어날지에 대해선 확답을 피했다. 그는 "생활폐기물 처리 등은 자치구의 고유 업무"라며 "가로 쓰레기통을 추가 설치해도 노후된 가로 쓰레기통 교체·철거 등에 따라 늘거나 줄어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도시 미관을 해치지 않는 특색 있는 쓰레기통을 설치하는 자치구를 지원할 뜻도 밝혔다. 재활용품 분리 배출을 높여 얌체족이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그는 "자치구 중에는 올바른 쓰레기 배출을 위해 특색 있는 쓰레기통을 설치한 사례가 있다"며 "도심 가로에 설치하는 쓰레기통의 디자인은 도시미관과 조화, 안전성, 관리 편리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색 쓰레기통은 서초구에 설치된 '서리풀컵'이 대표적이다. 서리풀컵은 재활용품 분리 배출을 높이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빨대와 컵 뚜껑 등 커피컵 모양을 하고 있다 . 플라스틱과 비닐, 병·캔류를 버릴 수 있다.
시민들은 "쓰레기통 모양이 직관적이라 분리수거에 효과적"이라고 호평했다. 한 시민은 "디자인이 예쁘다"며 "일회용 컵 모양이어서 재활용 쓰레기 배출에 도움이 될 것 같다"고 밝혔다. 이어 "쓰레기통을 생각하면 더럽고 지저분한 이미지인데 커피 컵 모양은 깨끗한 느낌이 든다"고 덧붙였다.
정원기 기자 wonkong96@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못된 건 혼자 다 한듯"… '선우은숙♥' 유영재, 억울함 토로 - 머니S
- [단독] "어디로 대피해야 하나요?"… '묵묵부답' 119 - 머니S
- '톱배우' 송혜교도 이건 못 참지… "얼굴 찍고 싶은데" - 머니S
- "사이비 포교 1순위"… '이다인♥' 이승기 지목된 이유? - 머니S
- "같이 대피소 갈 여자 구함"… 경계경보에도 철없는 대학생들 - 머니S
- 임영웅, 美 대저택 입성 '감탄'… "신발 신고 들어가요?" - 머니S
- 집에서 진료받고 약은 약국서만?… 6월부터 달라지는 비대면진료 - 머니S
- "혼전임신 아냐"… '10세 연하♥' 레이디제인, 60평대 신혼집 마련? - 머니S
- 선심쓰는 넷플릭스에 난감해진 '망사용료' - 머니S
- "서울만 대한민국이냐"… 착잡한 경기도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