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예상과 조금 다른 K콘텐츠산업 성공 이야기
이 기사는 언론사에 의해 수정되어 본문과 댓글 내용이 다를 수 있습니다.
편집자에게 듣는 경제와 책 | 한류 외전
김윤지 지음ㅣ 어크로스ㅣ 1만8800원
▶이코노미 인사이트 구독하기http://www.economyinsight.co.kr/com/com-spk4.html
방탄소년단(BTS) 지민이 빌보드 ‘핫 100’ 차트 1위를 차지한 데 이어 신인 아이돌 그룹 피프티피프티가 같은 차트 41위를 차지했다는 소식이 들려온다. 영화 <기생충〉과 배우 윤여정이 받은 아카데미 시상식 당시 오스카상이 청룡영화상처럼 느껴진다는 말을 했는데, 이제는 빌보드가 멜론 차트같이 보인다는 농담이 떠돈다. 자연스럽게 이런 질문이 떠오른다. “도대체 그동안 무슨 일이 일어난 거야? 우리가 잘한 거야, 세계가 이상한 거야?”
<한류 외전>은 지난 30여 년 동안 케이(K)컬처산업에서 어떤 일이 벌어졌는지 자세히 설명한다. 한국인의 끼와 흥, 한, 성실함 그리고 김치에 이르기까지 K콘텐츠의 성공을 설명하려는 수많은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산업사의 맥락에서 한류를 분석하려는 시도는 부족했던 것이 사실이다. 한류를 한국이 뜻하지 않게 획득한 ‘보너스’처럼 여기는 분위기가 강했기 때문이다(물론 보너스치고는 지나치게 수익이 크다). 대체로 산업 자체보다 각각의 작품이 어떤 강점을 가졌는지에 현미경을 들이대곤 했다.
문화산업 연구자 김윤지는 개별 작품의 성공 요인보다는 성공을 지속할 수 있었던 역량 축적의 과정에 초점을 맞춘다. 한류를 한 가지 원인으로 설명하기 힘들고, 새로운 성공 이야기를 써나가려면 지금의 K컬처산업을 만든 토양을 이해해야 하기 때문이다.
설계되지 않은 성공
저자는 한류를 ‘설계되지 않은 성공’이라고 부른다. 한류를 기획한 주체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얘기다. 기업, 정부, 기술 발전, 경제위기 등 여러 힘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K컬처산업의 성공을 이끌었다. 저자는 한류가 만들어진 과정을 9개의 결정적 장면으로 정리한다. 그 안에는 우리가 미처 예상하지 못했던 의외의 순간이 존재한다.
한류는 위기를 기회로 만드는 과정에서 탄생했다. 1990년대 후반 외환위기가 아시아를 덮치자 동아시아 나라들은 값비싼 일본 드라마를 수입하기 어려워졌다. 자연스럽게 가격이 일본 드라마 10분의 1이지만 퀄리티는 뒤지지 않는 한국 드라마가 눈에 들어왔다. 당시 민주화 이후 자유로운 제작 환경으로 한국 드라마는 질적 도약을 이룬 상태였다. 대체품으로 동아시아에 수출된 한국 드라마는 <사랑이 뭐길래> <대장금> <별에서 온 그대〉 등으로 성공 계보를 이어갔다.
한류는 또 끊임없이 변화를 시도하는 역동성 속에서 성장했다. 1990년대 행사 수익과 10대 팬덤 위주로 개편된 가요계에서 혹독한 트레이닝을 거친 아이돌 그룹이 등장했다. 호황도 잠시, 엠피스리(MP3) 확산에 따른 음반시장 축소와 과열된 경쟁 때문에 가요 기획사들은 세계시장으로 눈을 돌렸다. 에스엠(SM)엔터테인먼트의 이수만 프로듀서는 동아시아를 타깃으로 동방신기와 슈퍼주니어를 기획했고, 카라와 소녀시대는 일본에서 큰 성공을 거뒀다. 이어 사회관계망서비스(SNS)와 유튜브를 적극 활용해 북미와 유럽으로 시장을 확장했다.
주먹구구식 업계 관행을 개선한 산업화도 성공 요인에서 빼놓을 수 없다. 과거 영화계에서는 자본조달이 큰 문제였다. 극장 사업을 기반으로 한 대기업이 영화산업에 진출하면서 영화 제작을 위한 자금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었다. 기업은 실력 있는 국내 충무로 제작자와 손잡고 뛰어난 퀄리티의 영화를 만들었다. 또 전체 프로세스를 관리하면서 복마전 같았던 과거 영화계의 제작과 정산 과정을 투명하게 바꿨다.
팬덤 기관차
K컬처산업은 콘텐츠뿐 아니라 열성적 팬들의 집단인 팬덤도 세계로 수출했다. 한국의 팬덤문화가 퍼진 덕분에 미국 아미들은 BTS 노래를 틀어달라고 미국 라디오 방송사에 적극적으로 요청할 수 있었다. 자발적으로 자막을 만드는 팬들 덕분에 북미와 유럽에서 한류 드라마를 함께 즐길 수 있었다. 기술 발전이 팬덤을 하나로 뭉치게 했고, 개방된 세계에서 팬들은 자발적으로 2차 콘텐츠를 만들었다.
이런 모든 현상을 종합해 내릴 수 있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자율성, 역동성, 산업화 그리고 개방성이 문화산업 성공의 조건이라는 것이다. 설계되지 않은 성공을 ‘준비된 성공’으로 바꾸는 비밀이 바로 이 책에 담겨 있다.
홍민기 어크로스 편집부 대리 redmk@acrossbook.com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단독] 총선 의식 양대노총 갈라치기 구상…곤봉 내려치기에 깨졌다
- [단독] ‘경찰관 성범죄 사건’ 경찰에 넘긴 검찰…그 결과는 증거인멸
- 박정희 그림은 ‘짝퉁’, 전두환 국정은 미화…청와대 특별전 구설
- [인터뷰] 휘두르지 않은 ‘정글도’…휘둘렀다 둔갑시킨 경찰
- ‘최고령 대통령’ 바이든 이번엔 공사 졸업식에서 ‘꽈당’
- 국내 첫 트랜스젠더 선수 출전…‘이슈와 논란’ 두 바퀴로 힘껏 달린다
- 100살 키신저의 고언 “미국-중국, 충돌 넘어 공존의 길 찾아야” [책&생각]
- “회동아, 라이터 버려…억울함 풀게 판사 만나러 가자 녀석아”
- ‘조선일보’ 쪽 분신방조·유서대필 의혹, 단순 오보 아니다
- ‘원펀치 마석도’ 스타일 아니잖아…‘범죄도시3’ 변칙 개봉 뒷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