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멘트값 내달 4번째 인상… 속타는 건설업계
국내 시멘트 업계 1위 회사인 쌍용C&E는 최근 각 거래처에 “오는 7월부터 시멘트 가격을 t당 10만4800원에서 11만9600원으로 올릴 계획”이라는 내용의 공문을 보냈다. 인상률은 14.1%다. 업계 1위인 쌍용C&E가 가격 인상 카드를 먼저 꺼내 든 만큼, 삼표·한일·아세아 등 다른 시멘트 회사들도 인상 대열에 합류할 가능성이 크다. 이렇게 되면 2021년 7월 이후 네 번째 가격 인상이다.
시멘트 업계는 “생산원가의 20%를 차지하는 전기 요금이 계속 올라 영업이익이 급감했다”며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반면 시멘트 수요자인 건설업계는 “시멘트 원가에서 비율이 가장 높은 유연탄 가격이 큰 폭으로 내렸는데, 또 가격을 인상하는 것은 부당하다”며 반발하고 있다. 시멘트 가격 인상으로 공사비가 상승할 경우, 최근 급등하는 아파트 분양가가 더 오를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주택 공급이 더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까지 나오고 있다.
◇시멘트 업계 “전기료 급등에 인상 불가피”
쌍용C&E는 수요처에 보낸 공문에서 “내수 수요 증가와 더불어 유연탄 가격 안정세로 회사 경영 여건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했지만, 지난 1분기 영업손실이 발생해 부득이 가격 인상을 단행한다”고 밝혔다. 쌍용C&E는 올 1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보다 30.6% 증가한 4914억원을 기록했으나, 17억원 영업손실로 적자 전환했다. 수요 증가로 매출은 늘었지만, 올해 1월 1일 kWh당 13.1원(9.5%) 오른 전기 요금 때문에 수익성은 나빠졌다는 게 쌍용 C&E 측의 설명이다.
이미 시멘트 업계는 핵심 원료인 유연탄 가격이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급등하자 지난 2년 동안 3차례에 걸쳐 가격 인상을 단행했다. 2021년 상반기까지 t당 7만5000원이었던 시멘트 7사의 평균 가격은 작년 11월 10만5000원으로 40% 올랐다. 그러나 최근 유연탄 가격은 안정되는 추세다. 우리나라가 주로 수입하는 호주 뉴캐슬 고품질 유연탄(6000㎉/㎏ 기준) 가격은 작년 1~8월 t당 344.7달러였지만, 지난달에는 평균 가격이 166.9달러로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에 대해 시멘트 업계 관계자는 “환율이 크게 오르는 바람에 유연탄 값 하락 효과를 거의 보지 못했다”고 했다.
유연탄 다음으로 제조 원가에서 큰 비율을 차지하는 전기 요금도 올 들어 급등해 시멘트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쌍용C&E는 “시멘트 제조원가의 20%를 차지하는 전력 요금은 작년 이후 지금까지 44% 올랐다”며 “정부의 탄소 중립 정책에 따라 탄소 저감을 위한 대대적인 생산 설비 개조·개선 투자도 원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했다.
◇건설 업계 “원자재 가격 내렸으니 인하해야”
건설 업계는 시멘트 업계의 가격 인상을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인상 폭 역시 터무니없다”며 반발하고 있다. 30여 중대형 건설사 구매 담당자 모임인 대한건설자재직협의회(건자회) 관계자는 “작년 2차 인상 요구 시점(7~9월)과 비교하면 5월 현재 유연탄 가격이 50%가량 내렸다”며 “시멘트 업계 주장대로 유연탄의 원가 비율이 30%라면 현재 단가 기준 3만원 정도인데, 절반이 내렸으니 1만5000원을 인하하는 게 맞는다”고 했다. 건설사 관계자는 “하락 요인도 분명히 있는데, 인상 요인만 가격에 반영해 구매처에 전가하는 게 말이 되느냐”고 항변했다. 실제 국내 주요 시멘트 회사 7곳 가운데 쌍용C&E와 성신양회를 제외한 5사는 지난 1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늘었다. 건자회 측은 곧 ‘수용 불가’ 입장을 정리한 공문을 시멘트 7사에 발송하기로 했다.
시멘트 업계와 건설 업계 갈등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올해 초에는 시멘트 공급이 부족해지자, 건설업계에선 “가격을 올려받으려고 시멘트 회사들이 출하량을 조절한다”며 반발하기도 했다.
두 업계 갈등이 첨예해지면, 공사 지연으로 일반 국민들이 피해를 볼 가능성도 있다. 고종완 한국자산관리연구원장은 “이미 공사비 급등으로 올 들어 주택 인허가와 착공 등 공급 지표들이 일제히 급감한 상황에서 시멘트 가격이 인상되면 주택 공급 부족 문제가 심화할 수 있다”며 “주택뿐 아니라 철도와 도로 등 기반 시설 공기도 늦어질 수 있다”고 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세훈, 트럼프 당선에 “잠재적 핵 능력 강화해야”
- 예산국회 시작… 예결위, 이틀간 대정부 질의
- Editorial: What Trump’s return means for South Korea
- 트럼프 당선에 실리콘밸리도 웃을까...빅테크 총수들, '당선 축하'
- ‘은둔의 영부인’ 멜라니아, 트럼프와 함께 백악관으로 돌아갈까?
- 조세호가 밝힌 ‘까치발 키스’…“아내 키 180㎝ 아닌 174.5㎝”
- “문 좀 열어주세요” 쾅쾅…역무원 늦잠 때문에 새벽 첫차 놓친 승객들
- [Minute to Read] S. Korean firm wins Bulgarian nuclear project with U.S. partner
- 트럼프 당선 첫 날 뉴욕증시, 3대 지수 모두 ‘사상 최고치’
- 해리스 승복연설 “트럼프 승리 축하...선거 결과 받아들여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