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알지식 Q] 일론 머스크는 왜 중국서 ‘마씨 형’이 됐나

베이징/이벌찬 특파원 2023. 6. 2. 03:0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지난달 31일 중국 베이징의 숙소를 나서는 모습. 중국 언론은 그를 ‘마스커(馬斯克)’라고 쓴다. 애칭은 ‘마거(馬哥·마씨 형)’다. /로이터 뉴스1

지난달 30일 중국을 찾아 화제가 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이름을 중국 언론은 ‘마스커(馬斯克)’라고 쓴다. 중국서 그의 애칭은 ‘마거(馬哥·마씨 형)’다. 비(非)한자권 외국인의 중국 이름은 어떻게 작명할까.

외국인의 중국어 이름은 국영 신화통신 산하 역명실(譯名室·이름번역실)의 표기법을 대체로 따른다. 머스크 같은 기업 대표의 경우 이를 참고해 회사 측에서 결정한 다음 홈페이지에 공개하기도 한다. 표기법에 따라 머스크는 이름 첫 글자로 ‘무(穆)’가 적절하지만, 중국 내 더 흔한 성인 ‘마(馬)’를 선택했다. 실제로 2015년 이전에는 중국 관영 매체들이 머스크의 이름을 무스커(穆斯克)로 주로 표기했다. 테슬라가 자동차 회사인 만큼 ‘말’을 뜻하는 한자가 잘 어울린다는 평가도 있다.

‘스’와 ‘커’는 중국어에서 각각 ‘이(this)’와 ‘그램(g)’을 뜻하는 글자로 별다른 의미는 없다. 이름 중 일론은 아이룽(埃隆)이라 되어 있지만 언론도 대부분 마스커라고만 쓴다. 머스크는 2006년 대만에 공장을 지을 때 마이랑(馬誼郞)이란 이름을 쓰기도 했다. 그런데 이랑을 풀면 ‘우정이 넘치는 사나이’란 뜻이어서 중국인 사이에 과하다는 평가가 나왔다. 이후 마스커로 ‘개명’했지만 마씨 성은 유지했다. 머스크는 지난달 30~31일 베이징·상하이에 머문 기간에 딩쉐샹 국무원 부총리(중국 최고 지도부 7인 중 한 명)를 비롯해 친강 외교부장, 진좡룽 공업·정보화부장, 왕원타오 상무부장, 천지닝 상하이시 당서기(1인자) 등 고위급을 만나며 환대 받았다.

팀 쿡 애플 CEO가 지난 3월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중국개발포럼' 참석 후 회의장을 나오는 모습. 그는 '쿠커(庫克)’라는 중국 이름을 쓴다. 쿠는 중국에서 ‘멋지다’는 의미의 ‘쿠(酷·cool)’와 음이 같아 ‘쿠거(멋진 형)’, ‘쿠셴셩(멋진 선생님)’이란 애칭을 얻었다. /로이터 연합뉴스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는 중국에서 ‘쿠커(庫克)’로 불린다. 창고를 뜻하는 고(庫)자를 써서 일부러 특별한 의미 부여를 피했다. 그렇지만 애플 팬들은 쿠는 중국에서 ‘멋지다’는 의미의 ‘쿠(酷·cool)’와 음이 같다는 점에 착안해 그를 ‘쿠거(멋진 형)’, ‘쿠셴셩(멋진 선생님)’으로 부르고 있다.

중국 관영 매체에서 번역한 이름을 그대로 쓰는 경우도 있다.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의 중국어 이름은 일반적인 외래어 표기를 따른 비얼가이츠(比爾·蓋茨)이고, 마크 저커버그 메타(옛 페이스북) 회장의 이름은 자커보거(扎克伯格)다. 중국인이 보면 아무런 의미도 없는 발음 기호로 느껴지는 표기다.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CEO의 중국 이름은 자커보거(扎克伯格)다. 중국인이 보면 아무런 의미도 없는 발음 기호로 느껴지는 표기다. 사진은 저커버그 CEO가 2019년 미 의회 청문회에 참석했을 때의 모습. /로이터뉴스1

최근에는 중국 시장을 노리고 아예 중국인처럼 보이는 이름을 쓰는 외국 기업인도 생기고 있다. 중국에서 리조트 사업을 하는 남아프리카공화국 사업가 그랜트 호스필드(Grant Horsfield)는 ‘가오톈청(高天成)’이란 이름을 쓴다. 덴마크 패션그룹 ‘베스트셀러’의 중국 계열사인 ‘베스트셀러패션그룹차이나(BSFGC)’의 댄프리스 CEO는 단페이(丹飛)란 이름을 스스로 지었다.

한국 기업인들은 중국에서 대부분 본인의 한자 이름을 그대로 쓴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중국어 이름은 있을 ‘재(在)’ 쇠 녹일 ‘용(鎔)’을 그대로 써서 ‘리자이룽’이고,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클 ‘태(泰)’ 근원 ‘원(源)’자를 써서 ‘추이타이위안’이 된다. 한국은 한자 문화권에 속하기 때문에 이런 식으로 이름을 써도 큰 무리가 없다. 최 회장의 이름은 중국에서 흔한 이름처럼 느껴질 정도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