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北, 2차 발사 계획 철회를"… 한미 핵협의그룹 곧 가동

김미경 2023. 6. 1. 19:5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은 1일 북한의 군사정찰위성 발사가 실패로 돌아간 것에 대해 "머지 않아 우주궤도에 진입해 임무수행을 하게 될 것"이라며 재발사를 예고했다.

외교부는 북한이 정찰위성 재발사를 시도하겠는 의사를 표현한 것에 유감을 밝히며 철회를 요구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북한이 지난달 31일 북한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새발사장에서 쏜 첫 군사정찰위성 '만리경 1호'를 실은 위성운반로켓 '천리마 1형'을 발사하고 있다.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은 1일 북한의 군사정찰위성 발사가 실패로 돌아간 것에 대해 "머지 않아 우주궤도에 진입해 임무수행을 하게 될 것"이라며 재발사를 예고했다.

우리 외교부는 "발사계획을 철회해야 한다"며 유감을 표명했다.

김 부부장은 이날 조선중앙통신에 '그 누구도 위성발사에 대한 우리의 주권적 권리를 부정할 수 없다'는 제목의 담화를 내고 "군사정찰 위성 발사는 북한의 자위권"이라고 주장했다. 군사정찰위성 발사를 규탄한 한국과 미국에 각을 세웠다.

그는 "우리의 위성 발사가 굳이 규탄을 받아야 한다면 미국부터 시작하여 이미 수천 개의 위성을 쏘아올린 나라들이 모두 규탄을 받아야 한다는 것"이라며 "그야말로 자가당착의 궤변 외에 다른 아무 것도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금 이 시각도 조선반도 상공에 숱한 정찰위성들과 고고도무인정찰기 등 형형색색의 정찰자산들을 꽉 채워놓고 눈이 빠지도록 우리의 일거일동을 살피기에 여념이 없는 미국이 우리의 군사정찰위성 발사를 걸고드는 것이야말로 적반하장격이며 어불성설"이라고 비난했다.

김 부부장은 "불안·초조해하는 미국과 그 주구들의 심리를 읽으며, 정찰수단 개발에 더 큰 힘을 쏟아부어야 하겠다는 것을 의식하고 있다"며 "우리와 대결을 추구하며 나가는 것이 얼마나 위험한 것인가를 인정하지 않을 수 없게 더욱 공세적인 자세에서 우리식 대로의 대응을 계속해나갈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국과 미국이 북한에 대화복귀를 요구한 것에는 "대화할 내용도 없고 대화의 필요성도 느끼지 않는다"고 했다.

북한은 전날 오전 6시29분쯤 북한 평안북도 동창리 일대에서 남쪽 방향으로 군사정찰위성 '만리경 1호'를 위성운반로켓 '천리마 1형'에 실어 발사했으나 엔진 고장으로 서해에 추락했다.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의 발사체가 추락한 뒤 어청도 서쪽 200㎞ 해상에서 떠다니던 잔해를 수거했고, 바다에 가라앉은 우주발사체 동체 일부를 인양 중이다. 합참은 이날 브리핑에서 "(인양에) 함정 수척과 항공기를 투입했다"며 "여러 안전 요소를 고려해 포화 잠수가 가능한 잠수함 구조함을 추가 투입해 작전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우주발사체 동체는 약 15m 길이, 직경은 2~3m가량이다.

외교부는 북한이 정찰위성 재발사를 시도하겠는 의사를 표현한 것에 유감을 밝히며 철회를 요구했다. 임수석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이 국제사회의 우려·경고에도 불구하고 '가까운 시일 내 (정찰위성) 2차 발사' 등 도발을 위협하고 있는 걸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북한이) 발사계획 철회 등 국제적 의무를 다할 것을 다시 한 번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임 대변인은 특히 "북한의 소위 '위성' 명목의 장거리탄도미사일 발사는 그 성공 여부와 무관하게 유엔안전보장이사회 결의에 대한 중대한 위반"이라며 "한반도와 국제사회의 평화·안전을 위협하는 심각한 도발"이라고 비판했다.

조현동 주미 한국대사도 3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특파원 간담회를 열고 "북한이 2차 발사를 하겠다고 했지만, 어떤 발사도 응분의 대가를 치를 것"이라며 "북한의 발사는 국제사회로부터 북한의 고립을 더욱 심화하고 한미 동맹을 더욱 강력하게 만들뿐"이라고 경고했다. 한미는 북한에 추가 제재 및 유엔 안보리 조치 등을 협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한미 정상이 합의한 핵협의그룹(NCG)을 정식 출범하고 조만간 1차 회의를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김미경기자 the13ook@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