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빌라 `깡통전세` 여전히 불안… 관악구 전세가율 99% 위험도 1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신축 연립·다세대(빌라) 평균 전세가율(매매가격 대비 전셋값 비율)이 내리고 있지만, 서울 관악구 등 일부 지역의 전세가율은 여전히 80%를 웃도는 등 주의가 필요한 곳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준혁 다방 마케팅 실장은 "수도권에서 전세가율이 80%가 넘어가는 신축 빌라 거래가 꾸준히 이어지면서 전세금 미반환 우려가 커진 상황"이라면서 "새로운 전셋집을 찾을 때 주택의 전세가율, 근저당권 설정 여부 등을 꼼꼼하게 확인하는 등 세입자의 주의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신축 연립·다세대(빌라) 평균 전세가율(매매가격 대비 전셋값 비율)이 내리고 있지만, 서울 관악구 등 일부 지역의 전세가율은 여전히 80%를 웃도는 등 주의가 필요한 곳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일 부동산 플랫폼 다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을 분석한 결과 수도권 신축 빌라 평균 전세가율이 최근 3년 동안 눈에 띄게 하락했다. 서울 평균 전세가율은 2021년 86%, 2022년 83%, 2023년 68%로 나타났다. 경기는 같은 기간 87%, 82%, 73%, 인천은 95%, 85%, 50%로 수도권 평균 전세가율이 하락했다.
다만 지역별로 보면 여전히 위험 수준인 80%를 웃도는 곳이 많다. 올해 기준 서울에서 전세가율이 가장 높은 곳은 관악구로 99%를 차지했다. 이어 양천구 97%, 강서구 95%, 구로구와 중랑구 81% 등 순이었다.
경기와 인천으로 가면 전셋값이 매매가격을 웃도는 '깡통전세' 현상이 나타난 곳도 있다. 경기에서는 용인 기흥구의 전세가율이 104%로 가장 높았다. 의왕시(91%), 고양 덕양구(81%) 순이다. 인천의 경우 올해 전세가율이 집계되지 않았는데 금리 인상, 전세 사기 여파 등으로 매매와 전세 수요가 없어 수치가 나오지 않는다는 게 다방 측 설명이다.
여전히 전세가율이 80%가 넘어가는 거래도 꾸준히 맺어지고 있다. 전세가율 80% 이상인 매물의 거래량 비중은 지난해 기준 서울이 74%, 경기가 66%, 인천이 53%로 전체 거래의 과반을 차지했다.
장준혁 다방 마케팅 실장은 "수도권에서 전세가율이 80%가 넘어가는 신축 빌라 거래가 꾸준히 이어지면서 전세금 미반환 우려가 커진 상황"이라면서 "새로운 전셋집을 찾을 때 주택의 전세가율, 근저당권 설정 여부 등을 꼼꼼하게 확인하는 등 세입자의 주의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박순원기자 ssun@dt.co.kr
Copyrights ⓒ 디지털타임스 & d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모델 이평 암투병 끝 사망…이선진 "미안해 사랑한다"
- 펄펄 끓는 기름솥에 개 던져 죽인 멕시코 범인은 경찰관…"술 취했다"
- "룸살롱에 女 접대부도 있었다"…WBC 대표팀, 대회 전날 음주 의혹
- 12살 초등생과 성관계 후 출산시킨 20대男…징역 1년8개월
- 칸에 등장한 `올가미 드레스`…여배우가 온몸으로 외친 메시지
- 바이든, 차노조 파업현장서 시위동참…"현직 美 대통령으론 처음"
- [ESG성패, 데이터에 달렸다] 객관적 데이터없이 `친환경` 위장… 가면 쓴 `그린워싱` 이제 그만
- 내집마련 `영끌` 2030의 그늘… 1인당 연소득 3배 빚졌다
- 美 포드·中 CATL 합작공장 중단… K-배터리에 `불똥` 우려
- "매출 25조 넘긴다"… AI에 올인한 SK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