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작의 미래] 26초 이후의 글은 낭비다

기자 2023. 6. 1. 03:0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어떤 창작물을 만들어야 사람들이 읽어줄까? 갈수록 책도 글도 읽지 않는 요즘 시대에 말이다.

김태권 만화가

26초. “시선 추적 연구에 따르면, 우리는 하나의 콘텐츠를 읽는 데에 평균 26초를 쓴다”고 한다. 새로 출간된 책 <스마트 브레비티>에 나오는 말이다. “26초 이후의 글? 낭비다.” 그렇다면 어떻게 글을 써야 할까? “그냥 요점만 이야기하는 것이다. 그러곤 멈춰라.”

창작물도 그래야 할까? 지은이들은 아니라고 말한다. “(소설이며 시며) 우리는 여전히 좋은 책을 읽고 <대부>를 봐야 한다.” 하지만 나는 안심이 안 된다. 창작물도 변화에 맞춰야 할 터이다. 창작자에게 주어진 시간 역시 26초 안팎. “몇 초 뒤면 다른 이메일, 웹 사이트, 알림에 독자를 빼앗긴다.”

그런데 <스마트 브레비티> 한국어판이 나온 바로 그날, <도둑맞은 집중력> 한국어판도 출간되었다. 집중하기 어려운 시대, 두 책은 같은 문제를 지적한다. 출간일자가 2023년 4월28일로 똑같다. 우연일까? 아닐 것이다. 세상이 변하는 방향에 대해, 우리 시대 사람들이 느끼는 바가 다들 비슷하다는 의미리라.

해법은 언뜻 보면 반대 같다. <스마트 브레비티>는 세상 사람들이 집중력을 잃었으니, 그 현실에 맞춰줘야 한다고 말한다. 개별 창작자가 살아남는 방법을 일러준달까.

<도둑맞은 집중력>은 세상을 바꾸자고 말한다. “우리가 할 일은 뻔하다. 속도를 늦추고, 한 번에 한 가지 일만 하고, 잠을 더 자면 된다.” 그런데 하지 못한다. 개인 탓이 아니란다. 우리가 그렇게 하지 못하도록 현대 사회가 방해하기 때문이다. 눈길을 끄는 지적이다.

지은이 요한 하리는 지금 세상이 불행하다고 본다. 이 책은 집중력과 행복을 같은 뜻으로 사용한다. 미하이 칙센트미하이가 쓴 몰입에 대한 책을 읽어본 분이라면 맥락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좋아하는 일에 집중할 때 인간이 행복을 느낀다고 칙센트미하이는 썼다(미리 읽지 않아도 괜찮다. <도둑맞은 집중력>에 칙센트미하이에 대해 설명이 잘되어 있다).

그렇다면 두 책은 입장이 정반대일까? 그렇지 않다고 나는 생각한다. 세상이 변해야 개인도 살기 좋아진다는 <도둑맞은 집중력>의 주장에, 나도 동의한다. 그렇다고 나 같은 개별 창작자가, 읽히지 않을 창작물을 내놓을 수는 없다. “아무도 자신의 노래를 듣고 있지 않다는 사실을 알게 된 성공한 가수의 심정을 상상해 보라.” 지금 같은 때 창작자라는 직업을 유지하려면 <스마트 브레비티>의 조언을 따라야겠다고 나는 마음먹는다. 폼 나는 일은 아니지만 말이다. ‘죄수의 딜레마’도 떠오르고.

이런 생각도 든다. 세상을 바꾸려면 사람들을 설득해야 하는데, 설득을 잘하려면 친절하게 말을 걸어야 한다(그러고 보니 내가 만화를 시작한 이유도 이것이었다).

<스마트 브레비티>에서 제안하는 짧은 호흡으로 글쓰기가, 요즘 시대의 친절한 말걸기 방법일 터이다. 역설이다. 짧은 호흡으로 달려가는 세상이 잘못되었다는 사실을 짧은 호흡의 글로 알려야 하다니.

김태권 만화가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